• 제목/요약/키워드: Euphorbia helioscopi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대극과 등대풀의 수분연구 (Pollination study of Euphorbia helioscopia (Euphorbiaceae))

  • 김덕일;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81-287
    • /
    • 2014
  • 본 연구는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의 생장 특성, 수분매개자 및 이들의 방문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통영지역에 서식하는 등대풀의 자연집단을 대상으로 수분실험을 수행하였다. 등대풀은 3월 초에 싹이 올라와 3월 중순부터 개화하여, 4월 중순까지 수분이 이루어졌으며, 4월초에서 5월초에 열매를 맺고, 5월말에서 6월초 사이에 지상부가 소멸하는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초봄 성장형 종이었다. 3월 중순 꽃이 피기 시작하면서 수분 매개자들의 방문이 증가하였으며, 조사기간 동안 파리목, 딱정벌레목, 벌목, 노린재목에 속하는 11 종의 곤충이 방문하고 있어 기존의 대극속 종들의 연구결과와도 잘 일치하고 있다. 특히, 이들 중 파리목에 속하는 종들이 가장 높은 방문 빈도를 보여주고 있어 등대풀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수분매개자로 생각된다. 기존 연구에서 대극속 식물 종 당 방문하는 곤충은 상당히 다양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본 연구결과 등대풀의 경우 11 종에 불과해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와 같은 차이가 지역 곤충상의 특성과 연관이 있는지 혹은 초봄형 식물의 일반적 특징인지 더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등대풀의 주요 수분매개자인 파리목의 경우 오전 중에 가장 높은 방문 빈도를 보이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그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기존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로 파리목은 그 행동 특성상 이른 아침에 수분 활동을 주로 수행하며 외부온도의 변화와 방문빈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등대풀의 경우에는 배상화서의 수가 증가하는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까지 방문하는 곤충의 수도 전반적으로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어 화서의 수 증가와 방문자 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기존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helioscopia Extracts)

  • 김지영;이정아;김길남;송관필;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06-1112
    • /
    • 2007
  • 본 연구는 대극과 식물인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을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 및 용매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변화를 조사 비교함으로써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활성도 비례해서 증가되었으며, 특히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은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본 실험에 사용된 7종의 균주 모두에서 가장 효율적인 항균활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등대풀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별 항산화 및 항균활성 결과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의 비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한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부탄올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탄올 추출물>수용성 분획물>헥산 분획물 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탄올 추출물>헥산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수용성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다.

대극과식물 등대풀로부터 분리한 가수분해형 탄닌의 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Hydrolysable Tannins Isolated from the Euphorbia helioscopia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 김진준;이주상;김소영;김정아;정시련
    • 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14-219
    • /
    • 2001
  • Nineteen hydrolysable tannins isolated from the Euphorbia helioscopia (Euphorbiaceae) were tested for the inhibitory effect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gallotannin group exhibited more potent than that of phenolcarboxylic acid and ellagitannin groups against the enzyme activity. The inhibitory activity by pentagalloyl glucose on mushroom tyrosinase was more potent ($IC_{50}$/, 4.9 $\mu$M) than that of kojic acid ($IC_{50}$/, 8.7 $\mu$M).

  • PDF

등대(燈臺)풀 유래 Furosin의 glutamate에 의한 HT22 세포 사멸 억제 효과 (Protective effect of furosin isolated from Euphorbia helioscopia against glutamate-induced HT22 cell death)

  • 백지윤;송지훈;최성열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5-43
    • /
    • 2018
  • Objectives: In the brain, glutamate is the most important excitable neurotransmitter in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However, the high level of glutamate induces neuronal cell death due to exito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o evaluate a possible neuroprotective effect of furosin isolated from Euphorbia helioscopia against glutamate-induced HT22 cell death. Methods: Furosin was isolated from methanol extract of Euphorbia helioscopia and examined whether it protects glutamate-induced neuronal cell death. The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Ez-Cytox assay. Anti-oxidative effect of furosin was determined by DPPH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determined by the fluorescent intensity after staining the cells with $H_2DCFDA$. To evaluate apoptotic cell death, we performed nuclear staining and image-based cytometeric analysis. Results: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reatement with furosin compared with the treatment with glutamate. Furosin showed a stro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C50=1.83{\mu}M$) and prevented the accumulation of intra cellular ROS. Finally, the presence of 50 and $100{\mu}M$ furosin significantly the percentage of apoptotic cells compared with glutamate treatment.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furosin is a potent neuroprotectant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through inhibition of apoptotic cell death induced by glutamat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furosin as a bioactive compound of E. helioscopia can be a useful source to develop a drug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acute brain injuries.

New Compounds from Euphorbia helioscopia and Absolute Configuration Determination by Computational Methods

  • He, Jiang-Bo;Zhu, Hua-Jie;Luo, Gui-Fen;Liu, Guang-Ming;Chen, Hao;Li, Yan;Chen, Shaopeng;Lu, Xin;Zhou, Guochun;Cheng, Yong-Xi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8호
    • /
    • pp.2211-2214
    • /
    • 2010
  • The whole plant of Euphorbia helioscopia is an importan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m its BuOH soluble extract, one new lactam (1), three new terpenoids (2-4) including a new naturally occurring compound, and three known compounds were isolate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evidences. In particular, the absolute configurations of side chain of compounds 1 and 2 were determined using computational methods.

Anti-Allergic and Anti-Asthmatic Activity of Helioscopinin-A, a Polyphenol Compound, Isolated from Euphorbia helioscopia

  • Park, Kwan-Ha;Koh, Dong-Soo;Lee, Seung-Ho;Jung, Ill-Min;Kim, Kyung-Hyun;Lee, Chul-Hoon;Kim, Kye-Hoon;Lim, Yo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38-142
    • /
    • 2001
  • During the course of searching for anti-allergic substances from unexplored plant sources, an inhibitor of leukotriene $D_4$-induced tracheal contraction was isolated from Euphoribia helioscopia. This isolated polyphenol compound, known as helioscopinin-A, showed a certain inhibitory activity on capillary permeability in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responses of rats and also on antigen-induced bronchial constriction in an experimental asthma model of guinea pigs. The compound at a high concentration weakly inhibited histamine release from isolated mast cells of rats. It is suggested that this compound is an anti-allergic and anti-asthmatic which exerts its activity through antagonism on leukotrene $D_4$-induced responses. A partial inhibition of allergic mediator relase may also bee involved.

  • PDF

택칠에서 분리한 Corilagin이 Collagen 유발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I);Corilagin을 투여한 류마티스 관절염 유발 생쥐의 형광유세포 분석 (Studies on the Effect of Corilagin Isolated from Euphorbia helioscopia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Analysis of Fluorescence Flow Cytometry from Collagen II Induced Arthritis Mice Model)

  • 신삼기;장준복;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9-33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택칠에서 분리된 CRN(corilagin)이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동물 모델인 CIA(collagen induced arthritis) 생쥐에 CRN을 복강 투여하여 CIA의 발병률 및 관절염 지수 등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택칠에서 분리한 corilagin을 관절염 유발 생쥐에게 투여한 결과, 관절염의 발병진행이 억제되고 관절염 지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염증성 세포들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관절강이 잘 확보되었으며, pannus의 형성이 보이지않고 연골 또한 잘 보호되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관절염 유발 생쥐의 형광유세포 분석결과 각 조직에 침윤되는 염증세포가 감소하였다.

택칠에서 분리한 Corilagin이 Collagen 유발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II);Corilagin을 투여한 류마티스 관절염 유발 생쥐의 사이토카인 분석 (Studies on the Effect of Corilagin Isolated from Euphorbia helioscopia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I);CytokinesAnalysis of Collagen II Induced Arthritis Mice Model)

  • 신삼기;장준복;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6-340
    • /
    • 2008
  •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동물 모델인 CIA(collagen induced arthritisd) 생쥐에 CRN을 복강 투여하여 CIA의 발병률 및 관절염지수 등에 대한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RF(rhumatoid factor) 인자인 IgG와 IgM 생산량, 그리고 염증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alpha}$의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사이토카인 분석결과, 비장세포에서 Th1과 Th2 세포에서 분비되는 $IFN-{\gamma}$와 IL-4를 측정하여 CRN 투여로 Th1 세포에서 Th2 세포로 면역반응이 전환됨을 시사하는 것은 CRN의 치료효과로 사료된다. 혈청 중에서 RA 인자인 IgG와 IgM, 염증 사이토카인인 $TNF-{\alpha}$와 IL-6 및 type II bovine collagen antibody 생산량 이 대조군에 비하여 CRN 투여군이 감소하여 CRN이 관절염의염증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Euphorbiaceae)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Cytotaxonomic study of Korean Euphorbia L. (Euphorbiaceae))

  • 정규영;오병운;박기룡;김주환;김미숙;남기흠;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9-293
    • /
    • 2003
  •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13종의 체세포염색체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취급된 분류군들의 체세포염색체수는 2n= 12, 20, 22, 28, 40, 42, 56이었고, 기본염색체수는 x=6, 7, 10, 11이었다. 본 연구에서 체세포염색체수가 처음으로 밝혀진 분류군은 낭독(E. pallasii Turcz.; 2n=20), 단주낭독(E. hylonoma Hand.-Mazz; 2n=20.), 두메대극(E. fauriei H. L$\acute{e}$v. & Vaniot ex H. L$\acute{e}$v.;2n=28), 암대극(E. jolkini Boiss.; 2n=28)의 4종류이었으며,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는 분류군은 개감수(E. sieboldiana Moor. & Decne.; 2n=20), 붉은대극(E. ebracteolata Hayata; 2n=20), 땅빈대(E. humifusa Willd. ex Schlecht.; 2n=22)의 3종류이었다. 반면 기존의 보고와 다르게 나타난 종류는 흰대극(E. esula L.; 2n= 16, 20, 60, 64 vs 2n=20), 등대풀(E. helioscopia L.; 2n=12, 42 vs 2n=42), 참대극(E. lucorum Rupr.; 2n=28, 40 vs 2n=56), 대극(E. pekinensis Rupr. in Maxim.; 2n=24 vs 2n=28, 56), 큰땅빈대(E. maculata L.; 2n=28, 42 vs 2n=12), 애기땅빈대(E. supina Raf.; n=7 vs 2n=40)이었다. 낭독, 붉은대극, 단주대극은 염색체의 수와 크기 및 부수체의 존재에 의해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히 구분되었으며, 큰땅빈대, 땅빈대, 애기땅빈대는 외부형태, 해부, 화분학적 형질의 공통성에도 불구하고 기본염색체수 및 체세포염색체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체세포염색체에서 얻어진 결과는 Webster(1967)의 분류체계보다 Ma and Hu(1992)의 분류체계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얻어진 체세포염색체에 관한 형질은 절 수준에서 분류학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되었으며, 일부 종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유용성이 인정되었다.

Assessment of β-Lactamase Inhibitor Potential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Antibiotic-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Dawan, Jirapat;Ahn, Ju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78-585
    • /
    • 202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using medicinal plant extracts as β-lactamase inhibitors to control antibiotic-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susceptibilities of S. aureus ATCC 15564 (SAWT), ciprofloxacininduced S. aureus ATCC 15564 (SACIP), oxacillin-induced S. aureus ATCC 15564 (SAOXA), and clinically-isolated S. aureus CCARM 3008 (SACLI) to ampicillin were determined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medicinal plant extracts, including Cleyera japonica (CJ), Carpinus laxiflora (CL), Euphorbia helioscopia (EH), Euscaphis japonica (EJ), Oenothera erythrosepala (OE), and Rosa multiflora (RM). The phenotypic change in the clear inhibition zones around ampicillin disc was observed for SAWT, SACIP, and SAOXA, indicating the production of ampicillinase.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MICs of ampicillin against SAWT, SACIP, and SAOXA were decreased from 4 to 0.5 ㎍/mL in the presence of CL, 16 to 4 ㎍/mL in the presence of RM, and 32 to 2 ㎍/mL in the presence of CL, EH, and RM, respectively. The medicinal plant extracts, OE, EJ, and CL, effectively inhibited the β-lactamase activities of SAWT (78%), SACIP (57%), and SAOXA (76%)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medicinal plant extracts can be used as BLIs to control the antibiotic-resistant S. aure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