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phorbia dentat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톱니대극(Euphorbia dentata Michx.)과 왕관 갈퀴나물(Securigera varia (L.) Lassen)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Euphorbia dentata Michx. and Securigera varia (L.) Lassen)

  • 이유미;박수현;정수영;윤석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4-119
    • /
    • 2009
  • 경북 영천시와 서울 여의도에서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을 발견하였다. 톱니대극으로 이름 붙인 Euphorbia dentata Michx.(대극과)는 경북 영천시 대창면 대창리 중부고속도로에서 확인되었으며, 동속식물인 포인세티아 (E. pulcherrima)와 비교하여 초본이면서 정상엽들이 한결같이 녹색인 특징으로 구별된다. 또한 왕관갈퀴나물로 이름 붙인 Securigera varia (L.) Lassen(콩과)는 서울 여의도 한강둔치에서 확인되었으며, Securigera속은 국내 미기록속이다. 형태적 유사종으로 묏황기속(Hedysarum L.) 식물에 비해 꽃이 담홍색이고 길이 5-10 cm의 꽃자루 끝에 20개 내외의 꽃이 산형으로 붙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아메리카대극과 털땅빈대 (Two Newly Naturalized Plants in Korea: Euphorbia heterophylla L. and E. hirta L.)

  • 지성진;박수현;이유미;이철호;김상용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4-170
    • /
    • 2011
  • 부산광역시와 제주도에서 대극과의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을 발견하였다. Euphorbia heterophylla L. (아메리카대극)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수영강변 공원에서 확인되었으며, E. dentata Michx. (톱니대극)과 비교하여 원줄기 잎은 호생하며, 소총포의 선체 입구는 원형인 특징으로 구별된다. 또한 Euphorbia hirta L. (털땅빈대)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예래동 예래마을에서 확인되었으며, E. hypericifolia L. (큰땅빈대)와 비교하여 삭과에 털이 있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대극속 Zygophy llidium절과 근연 분류군의 종자 형태 (Seed morphology of Euphorbia section Zygophyllidium and related taxa)

  • 진선미;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89-403
    • /
    • 2008
  • 대극과 대극속 Zygophyllidium절의 한계와 종간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Zygophyllidium절과 Poinsettia아속에 속하는 12종 종자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2종에 대해 종자의 특징을 기재하였으며,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9개의 종자 형질을 이용한 수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6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Type I(Euphorbia uniglandulosa)는 종자표면에 작은 구멍이 있으며, 세포표면에 미세입자가 존재한다. Type II(E. exstipulata, E. lagunensis, E. bilobata, E. hexagonoides, E. chersonesa)는 종자 표면의 testa cell 사이에 미세과립을 가진다. Type III(E. cyathophora)는 종자의 선단이 뾰족, 세포 표면에는 동심원의 주름을 가진다. Type IV(E. dentata와 E. pentadactyla)는 종부를 갖고 있으며 testa cell 사이에 미세과립이 없다. Type V(E. hexagona)는 둥근 난형으로 세포 간 미세과립이 존재하지 않는다. Type VI(E. eriantha, E. lacera)는 종자의 모양이 사각형이며, 종부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Zygophyllidium절을 E. exstipulata, E. lagunensis, E. bilobata, E. hexagonoides, E. chersonesa만을 포함하는 Type II의 분류군들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하며, 전통적으로 Zygophyllidium절에 포함시켰던 E. hexagona는 Poinsettia아속의 E. dentata와 유연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대극과 대극속 Zigophyllidium절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A Palynotaxonomic Study of Euphorbia Section Zygophyllidium (Euphorbiaceae))

  • 이은덕;박기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3호
    • /
    • pp.195-208
    • /
    • 2006
  • 대극과 대극속 Zygophyllidium절의 한계와 종간 유연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의 Zygophyllidium절에 속한 8종과 유연관계가 깊은 Poinsettia아속의 5종을 포함하여 13종 화분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화분의 특징을 기재하였으며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화분 표면의 무늬와 화분형질의 수리분석을 바탕으로 13종을 다음과 같이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표면 무늬가 미세망상인 Type I(E. hexagona, E. lagunensis, E. hexagonoides, E. bilobata), 망상인 Type II (E. delicatula, E. extipulata, E. dentata, E. heterophylla, E. pulcherrima, E. cyathophora), 표면 무늬는 미세망상이나 망벽의 표면이 편평한 Type III(E. lacera),표면 무늬가 유공상인 Type IV (E. chersonesa, E. eriantha). 본 연구를 통해 Zygophyllidium절을 E. hexagona, E. lagunensis, E. hexagonoides, E. bilobata 4종으로 축소하여 절의 한계를 설정하는 것을 제안하며 기존의 Zygophyllidium절에 포함되었던 E. delicatula, E. exstipulata는 화분 형질로 보아 Poinsettia아속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유공상의 특징을 갖는 E. eriantha는 E. chersonesa와 함께 Agaloma아속의 종과 유연성이 깊어 보이며, 더 많은 후속 연구를 통해 이들의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천연물질을 이용한 반추동물 항생제 대체용 친환경 펠렛코팅오일의 개발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Friend Pellet Coating Oil for Replacement of Antibiotics for Ruminant Aninmal)

  • 최빛나;송완선;추병길;조상범;함영주;김남형;양경희;김영준;이홍구;최낙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3-39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ated feed using mixed oil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sed on materials that were mixed. First, cashew nut and soybean oils were mixed with white mineral oil. And second, different plant extracts were mixed with white mineral oil. At first experiment, inclusion levels of mixed oil on diet (0.03%, 0.1%, 0.5%) were applied as variables. A coated diet was fermented with rumen inoculum according to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its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the result of first experiment, no negative effects on rumen pH were found. Significantly decreased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detected at 0.5% treatment (P<0.05). Total gas productions in control and 0.03%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others (P<0.05). Significantly reduced methane productions were found in all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Inclusion of mixed oil did not affect on ammonia production.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was also not influenced by coating with mixed oils.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were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introduced plant extracts at second experiment. The significantly lowest and greatest ammonia productions were found at treatments with Ixeris dentata and Plantago asiatica, respectively (P<0.05). The significantly greatest acetate and propionate productions were detected at treatments with Crucuma longa and Zizyphus vulgaris 1, respectively (P<0.05). All treatments, except Chrysanthemum idicum, Euyale ferox seed, Moringa leaf and fruit and Zizyphus vulgaris 1,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Only Paeonia lactiflora showed significantly lesser gas production than the control (P<0.05). In methane production, Ceramium, Zizyphus, Paeonia, Agrimonia, Torilis, Mugwort, Foeniculum, Euphorbia, Taraxacum, Artemisia, Momordica, Curcuma and Moringa reduced methan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