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cheuma cottonii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Philippine산(産) Eucheuma cottonii의 carrageenan 함량(含星)과 그 성상(性狀)에 대하여 (Carrageenan Content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of Eucheuma cottonii from the Coast of Philippine)

  • 김순선;김선봉;김인수;정미희;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3-70
    • /
    • 1979
  • Philippine산(産) 원조(原藻)인 Eucheuma cottonii의 carrageenan 함량(含量)과 이로부터 추출(抽出)한 carrageenan의 $SO_3$ 및 3,6-anhydro-D-galactose 함량(含量), KCl용액(溶液)에 대한 용해도(溶解度), KCl 농도별(濃度別)에 따라 분획(分劃)한 획분(劃分)의 함량(含量)에 대하여 조사(調査)하였으며 원과학적(原料學的)인 비교목적(比較目的)으로 우리나라산(産) 진두발(Chondrus ocellatus)의 carageenan함량(含量)과 그 화학적(化學的) 성상(性狀)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Carrageenan함량(含量)은 Eucheuma cottonii가 진두발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어 건물당(乾物當) 약 59%의 함량(含量)을 보였다. 2. Carrageenan의 $SO_3$ 및 3,6-anhydro-D-galactose의 함량(含量)을 보면 Eucheuma cottonii가 진두발보다 $SO_3$함량(含量)은 적고 3, 6-anhydro-D-galactose의 함량(含量)이 많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3. Carrageenan의 KCl용액(溶液)에 대한 용해도(溶解度)는 0.125M KCl농도(濃度)에서 침전(沈澱)하는 비율(比率) 및 0.125M과 2.0M KCI농도(濃度)사이에서 침전(沈澱)하는 비율(比率)은 Eucheuma cottonii가 진두발보다 높았으나 2.0M KCl농도(濃度)에서 용존(溶存)하는 비율(比率)은 진두발이 Eucheuma cottonii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4. Carrageenan을 KCl용액(溶液)에 대한 용해도(溶解度)의 차이(差異)로부터 3획분(劃分)으로 분획(分劃)하였을 때 劃分(분획)I, II의 수율(收率)은 Eucheuma cottonii와 진두발이 큰 차이가 없었으나 획분(劃分)III의 수율(收率)은 Eucheuma cottonii가 월등히 많아 약 8배(倍)의 값을 나타내었다. 5. 각획분(各劃分)의 $SO_3$ 및 3, 6-anhydro-D-galactose의 함량(含量)은 서로 역상관관계(逆相關關係)를 나타내었고, KCl용액(溶液)에 대한 용해도(溶解度)가 큰 획분(劃分)일수록 $SO_3$함량(含量)이 높고 3, 6-anhydro-D-galactose의 함량(含量)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Eucheuma cottonii로부터 산 가수분해를 통한 biosugar 생산 (Production of Biosugar from Red Macro-algae Eucheuma cottonii using Acid-hydrolysis)

  • 이상범;정귀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8-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홍조류 중 하나인 E. cottonii로부터 환원당을 생산하기 위하여 산 가수분해법을 수행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반응조건의 최적화를 통하여 환원당 생성에 미치는 반응인자들의 상호작용을 조사한 결과, 낮은 반응온도, 낮은 촉매농도, 그리고 짧은 반응시간의 조건에서 많은 양의 환원당이 생성되었고, 반면에 가혹한 반응조건일수록 당의 과분해산물인 5-HMF와 레불린산의 생성이 증가하였다. 환원당 생성의 최적 반응조건은 $160.1^{\circ}C$, 1.0% 황산, 그리고 13.1분의 반응시간 조건에서 25.8 g/l의 환원당 생성을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해조류로부터 바이오연료 및 화학원료로 전환가능한 당의 확보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상과 같이 얻어진 정보들은 향후 화석 자원을 대체하기 위한 기본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Eucheuma cottonii 추출물에 의한 인체 골육종암 Saos-2 세포의 자가사멸 유도 (Extract from Eucheuma cottonii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on Human Osteosarcoma Saos-2 Cells via Caspase Cascade Apoptosis Pathway)

  • 강창원;강민재;김경록;김난희;서용배;강건희;김상호;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7-1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간 골육종암세포주인 Saos-2 세포를 이용하여 Eucheuma cottonii 추출물(Extract of Eucheuma cottonii, EE)의 항암 활성 및 분자적 작용기전을 분석하였다. 먼저 EE가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WST-1® assay를 통해 확인한 결과 EE는 인간 위암세포 AGS, 인간 간암세포 SK-Hep 1, 인간 뇌교모세포종 U87MG, 인간 정상 신장세포 HEK-293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Saos-2 세포주의 생존율만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 하였다. 또한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aos-2 세포의 외형적 변화가 나타남을 도립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DAPI staining을 통해 apoptosis classical hall marker라고 할 수 있는 DNA fragmentation이 EE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EE가 Saos-2 세포에서 세포 내의 어떠한 기작을 통해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확인한 결과, Fas-Associated Death Domain(FADD)에 의한 caspase cascade signal pathway 발현이 증가하였고, apoptosis의 key protein 이라고 할 수 있는 cleaved caspase-3와 하위 인자인 cleaved PARP가 증가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된 분자적 기전 분석을 위한 immunofluorescence staining과 Flow cytometry analysis를 추가로 수행한 결과, EE 처리시 caspase cascade signal pathway의 시발점인 FAS와 cleaved caspase-3의 발현증가가 실제 세포 내에서 일어남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apoptosis 유발군인 sub G1기가 증가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EE는 인간 골육종암세포에서 FADD에 의한 caspase cascade signal pathway 발현증가가 유도되어 apoptosis를 유발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새로운 골육종암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과 기전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