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inhibitor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3초

에틸렌 저해제에 의한 배추 자엽조직의 기내 재분화율 향상 (Enhancement of Shoot Regeneration by Ethylene Inhibitors from Cotyledon Explant of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 이혜승;조화진;김병동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67-271
    • /
    • 1995
  • 배추의 기내재분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엽을 치상재료로 하여 에틸렌 억제제인 AgNO$_3$와 STS를 첨가하여 그 영향을 조사하였다. AgNO$_3$의 경우에는 100 $\mu$M이 첨가되었을 때 STS에서는 5 $\mu$M이 첨가되었을 때, 무처리구의 4%, 2%에 비해 각각 가장 높은 22%와 15.3%의 재분화율을 보였다. 자엽연령에 대해서는 파종 후 3일 지난 자엽을 사용하였을 때 58%의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배양용기에 따른 효과는 1회용 페트리디쉬에서 가장 높았으나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뿌리유기 조건은 생장조절제가 포함되지 않은 처리와 NAA가 0.1 mg/L 농도로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그 형태 및 밀도, 활력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기내에서 뿌리가 형성된 식물체를 4$^{\circ}C$에서 4주간 처리하여 추대를 유기하였고 형태적으로 정상적인 화기를 볼 수 있었으며 이들로부터 종자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옥수수 일차뿌리에서 TIBA가 brassinolide에 의해 유도된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BA on the Brassiolide-induced Gravitropic Response in the Primary Roots of Maize)

  • 강병희;박지혜;김종식;장수철;김성기;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39-1144
    • /
    • 2009
  • 옥수수 뿌리에 BL을 처리하면 양성굴중성 반응이 촉진되고, ethylene 생성도 증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BL에 의해 유도된 굴중성 반응과 ethylene 생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ethylene 생성 억제제인 $10^{-4}$ M AVG를 처리하면 ethylene 생성은 90% 이상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13% 정도 억제되었다. AVG를 BL과 함께 처리한 뿌리는 ethylene 생성은 약 60%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대조구 보다 증가하였다. 다른 ethylene 생성 억제제인 cobalt ion을 처리하면 ethylene 생성은 약 10% 정도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억제되지 않았다. BL과 cobalt ion을 함께 처리한 뿌리는 ethylene 생성이 억제되었으나 굴중성 반응은 증가되었다. 이러한 BL의 효과가 auxin transport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uxin transport inhibitor인 TIBA를 처리하였다. $10^{-5}$ M TIBA와 BL과 TIBA를 함께 처리한 경우(BL+TIBA), ethylene 생성은 각각 96%, 132% 증가하였으나 굴중성 반응은 모두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BL, TIBA 그리고 IAA를 함께 처리한 뿌리 (BL+TIBA+IAA)는 음성굴중성 반응을 나타냈으나 뿌리 생장은 오히려 증가시켰으며, 이는 수평으로 있는 뿌리에서 IAA가 아랫면으로 transport 되지 못하고 윗면에 축적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BL이 뿌리 내에 존재하는 IAA의 차등분포에 영향을 주어 양성굴중성 반응을 촉진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애기장대 뿌리에서 ethylene 생성 억제제가 oryzalin에 의해 억제된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hibitors of Ethylene Production on Growth and Gravitropism Inhibited by Oryzalin in Arabidopsis Roots)

  • 박호연;안동규;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0-286
    • /
    • 2021
  • Oryzalin은 미세소관의 형성을 억제하는 dinitroaniline계 제초제이다. Oryzalin은 튜불린에 결합해 식물의 미세소관 배열을 무질서하게 하여 식물 세포의 비등방성 성장을 억제한다. 미세소관과 미세섬유는 세포벽을 구성하고 columella 세포에서 녹말체 침강에 관여하는 세포골격이다. 녹말체는 뿌리 끝에 있는 columella 세포에서 중력을 인지하여 물과 무기염류를 흡수하기 위하여 토양 속으로 자라도록 한다. 식물세포에서 미세소관의 배열은 에틸렌 수준에 따라 조절된다. Oryzalin이 ACC synthase와 ACC oxidase를 활성화시켜 에틸렌 생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졌다. 또한 oryzalin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을 억제한다고 보고 되었다. 이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Arabidopsis 뿌리에서 이 억제 효과가 에틸렌 생성 억제제인 10-4 M cobalt ions과 10-8 M aminoethoxyvinylglycine (AVG)를 처리하여 회복될 가능성에 초점을 두었다. 뿌리 생장과 굴중성 억제는 cobalt ions과 AVG에 의해 10-20% 회복되었다. 이 결과는 뿌리 생장과 굴중성 반응은 에틸렌의 수준에 따라 조절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Effects of Gibberellic Acid and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on Ethylene Production, Batatasins, and Free Sugars in Dormant Tubers of Chinese Yam

  • Kim Sang-Kuk;Lee Sang-Chul;Kim Kil-Ung;Choo Yeon Sik;Kim Hak Yoon;Lee In-J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0-304
    • /
    • 2004
  • Gibberellic acid did not affect ethylene production, whereas gibberellin biosynthesis inhibitors triggered ethylene production in dormant tubers. Gibberellic acid did not induce sprouting of dormant tubers, however, treatment of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enhanced sprouting rates. Sprouting rate in ancymidol-treated tubers was highest among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Sprouting rate of tubers treated with ancymidol increased to $91.4\%$. Batatasin-III content in $GA_3$ treated tuber was increased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30{\mu}g\;I^{-1})$. Tubers treated with mepiquat chloride, Batatasin-I was increased steadily, but contents of Batatasin-III and V showed dramatic decrease at the $ 1,000{\mu}g\;I^{-1})$ concentration. This infers that gibberellin biosynthesis retardants play key roles in promoting breaking dormancy on dormant tubers of Chinese yam.

Effects of Corrosion Inhibitor on Corrosion of Al-based Alloys in Ethylene Glycol-Water Coolant Environment

  • Gwang-Soo Choi;Young-Man Kim;Chan-Jin Park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5호
    • /
    • pp.305-313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SDBS) as a corrosion inhibitor on the pitting corrosion behavior of aluminum alloys used in electric vehicle battery cooling systems within a mixture of ethylene glycol and water (EG-W) coolant.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sting revealed unstable passive film formation on the aluminum alloys in the absence of SDBS. However, the addition of SDBS resulted in a robust passive film, enhancing the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across all examined alloys. Pitting corrosion was predominantly observed near intermetallic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Cl? ions, which was attributed to galvanic interactions. Among tested alloys, A1040 demonstrated superior resistance due to its lower areal fraction of precipitates and donor density. The incorporation of SDBS inhibitors mitigated the overall pitting corrosion process by hindering Cl? ion penet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DBS can significantly improve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in aluminum alloys employed in battery coolant environments.

Determination of trace icing Inhibitors (ether type) in free-floating fuel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Shin, Ho-Sang;Ahn, Hye-Sil;Jung, Dong-Gyu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96-200
    • /
    • 2003
  •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ic assay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GME) and 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DEGME) in spilled aviation fuels. 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EGBE) and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GEE) were used as internal standard and surrogate, respectively. The sample preparation consists of back-extraction with 7 mL of methylene chloride after extraction of 50 mL of fuel with 2 mL of water. The extract was concentrated to dryness and dissolved with 100L of methanol and analyzed by CC-MS (SIM). The peaks had good chromatographic properties by using semi-polar column and the extraction of these compounds from fuel also gave high recoveries of 75 and 85 % with small variations for EGME and DEGME, respectively. Method detection limits were 1.3 ng/mL for EGME and 1.0 ng/mL for DEGME in spilled fuel. The method may be useful for fuel-type differentiation between kerosene and JP-8, which may originate from the storage tank.

  • PDF

완두 돌연변이체 ageotropum 뿌리의 중력불감성 (Insensitivity of the ageotropum Pea Mutant Roots to Gravity)

  • Kim, Jeong-Im;Bin G. Kang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45-350
    • /
    • 1995
  • 완두 돌연변이체 ageotropum 뿌리의 굴중성 결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정상 완두의 뿌리에서 에틸렌은 굴중성 반응을 억제하였다. 돌연변이체에서는 에틸렌이나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또는 작용 억제제 모두 뿌리의 굴중성 반응 결여를 회복시키지 못하였다. 옥신을 비대칭으로 처리한 뿌리에서 굴성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옥신의 작용은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내생적 또는 옥신유도에 의한 에틸렌 생성은 정상 완두나 돌연변이체에서 크게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정상 완두에서와는 달리 돌연변이체의 뿌리에서는 굴중성 반응의 작동체계인 옥신작용의 결함이 아니고 중력의 인식 또는 전달과정에 결함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Inhibitors Targeting ABA Biosynthesis and Catabolism Can Be Used to Accurately Discriminate between Haploid and Diploid Maize Kernels during Germination

  • Kwak, Jun Soo;Kim, Sung-Il;Song, Jong Tae;Ryu, Si Wan;Seo, Hak Soo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204-212
    • /
    • 2017
  • There is a growing preference for using doubled haploids (DHs) in maize breeding programs because they reduce the time required to generate and evaluate new lines to 2 years or less. Howeve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efficient techniques that accurately discriminate between haploid and diploid maize kernels. Here,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veral hormones and chemicals on the germination of haploid and diploid maize kernels, including auxin, cytokinin, ethylene, abscisic acid (ABA) biosynthesis inhibitor (fluridone), ABA catabolism inhibitor (diniconazole), methyl jasmonate (MeJA), and NaCl. Ethylene effectively stimulated the germination of both haploid and diploid maize kernels. The ABA biosynthesis inhibitor fluridone, the ABA catabolism inhibitor diniconazole, and MeJA selectively stimulated the germination of haploid maize kernels. By contrast, gibberellin, 1-naphthaleneacetic acid (NAA), kinetin, and NaCl inhibited the germination of both haploid and diploid maize kerne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ermination of haploid maize kernels is selectively stimulated by fluridone and diniconazole, and suggest that ABA-mediated germination of haploid maize kernels differs from that of diploid maize kernels and other plant seeds.

Methylglyoxal-bis (Guanylhydrazone)와 에틸렌 생합성 저해제가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glyoxal-bis (Guanylhydrazone) and Ethylene Synthesis Inhibitor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from Soybean Cotyledon)

  • 조형일;한태진;하건수;이순희;김응식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27-332
    • /
    • 1994
  • MGBG와 에틸렌 저해제가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에틸렌 생성량과 내생 polyamine 함량을 조사하였다. 대두 자엽 절편을 부정근 형성 배지에 2주간 배양하면서 관찰한 결과 많은 양의 부정근이 형성되었으나 $10^{-3}$ M MGBG를 처리하면 부정근 형성이 거의 억제되었다. 그러나 MGBG + spermine, MGBG + Cocl$_2$ 및 MGBG + spermine + Coc1$_2$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부정근 형성 억제가 회복되었다. $10^{-3}$ M MGBG에 spermine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10^{-5}$ M의 spermine 혼합 처리시 다소회복되었다.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1$_2$ 처리구에서는 부정근 회복능이 $10^{-3}$ M MGBG +$10^{-5}$ M spermine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에틸렌 생성량과 polyamine 함량을 $10^{-3}$M MGBG, $10^{-3}$ M MGBG +$10^{-5}$ M spermine, $10^{-3}$ M MGBG +$10^{-4}$ M CoCl$_2$$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1$_2$처리구에서 조사한 결과 $10^{-3}$ M MGBG 단독 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며, spermidine과 spermine의 함량은 가장 낮았다. 부정근 형성능이 다소 회복된 $10^{-3}$ M MGBG+ $10^{-5}$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의 에틸렌 생성량은 대조구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정근 회복능이 가장 높았던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l$_2$ 혼합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olyamine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Silver nitrate and silver-thiosulphate mitigates callus and leaf abscission during Shisham clonal micro-propagation

  • Raturi, Manoj Kumar;Thakur, Ajay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173-178
    • /
    • 2021
  • Basal callus formation and leaf abscission is a problem in clonal micropropagation. We have described an in vitro clonal propagation protocol of Dalbergia sissoo Roxb (shisham) 'FRI-14' in which AgNO3 played important role not only in mitigating problem of leaf abscission and basal callus, but also improved shoot induction and multiplication. Best induction and shoot multiplication was obtained on MS media with 1.5 mg/l 6-BAP and 10 mg/l AgNO3 and half-strength MS media with 0.5 mg/l 6-BAP, 2 mg/l AgNO3 and 50 mg/l Adenine sulphate whereas best ex vitro rooting was obtained with 200 mg/l IBA in pulse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