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acetate extract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33초

Antioxidant Activity of the Various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 Choi, Hae-Yeon;Jung, Kyung-Hee;Shin, Han-S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1051-105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The total phenolic contents in leaf, stem, and root were 165, 74, and 30 tannic acid equivalent mg/g of dried extract or fraction respectively. The butanol and ethylacetate fractions of lotus parts showed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showed the similar result 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was the highest among fractions and its fraction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한국산 도꼬마리 추출물의 항균효과 및 분리 정제

  • 김현수;신재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3-188
    • /
    • 1997
  • Antimicrobial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of Xanthium strumarium L. was tested against 25 strains of bacteria, yeast and fungus. The crude ethylacetate extract exhibited strong growth inhibition to the tested strains with the exception of partial Gram-negative bacteria. The property of antimicrobial compound was very stable under heat treatment at $120^{\circ}C$, but it was unstable in acid (pH 3.0) and alkali (pH 10.0) treatment. The antimicrobial compounds were purified by boiling water extraction, ethylacetate extraction, charcoal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column chro- matography and reverse phase HPLC. The purified compound A and B were detected in a single peak (each above 98% purity) through the HPLC analysis. The compound A and B showed a strong growth inhibition against Gram-negative and positive bacteria in the agar diffusion method. When tested by the FDA method using the esterase, compound A mainly inhibited the growth of bacteria and compound B showed the growth inhibition of both bacteria and yeasts.

  • PDF

털며느리밥풀의 식물화학적 성분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Melampyrum roseum var. hirsutum Beauv.)

  • 노종화;지옥표;문형인
    • 생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7-162
    • /
    • 2000
  • The herb of Melampyrum roseum var. hirsutum Beauv.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n-buthanol.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of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Lobar-A lichroprep Si 60 led to the isolation of five compounds from n-hexane layer and ethylacetate layer.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apigenin, linarin, pectolinarin, wogonin and mussaenoside, respectively, by the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properties.

  • PDF

양파의 Quercetin 관련 물질의 분리 기술 개발 2. 양파의 Quercetin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 (Development of Separating Techniques on Quercetin-Related Substances in Onion(Allium cepa L.) 2. Optimal Extracting Condition of quercertin-Related Substances in Onion)

  • 강성구;김용두;현규환;김영환;서재신;박양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87-692
    • /
    • 1998
  • To use onion(Allium cepa L.) residue as raw materials of food product, yields of onion-juice according to various extracting methods and optimal extracting condition of quercetin and its related glycosides were carried out. Onion juices gained by the methods of pressing, rotary crushing, freeze pressing and enzyme treatment. The yield by the method of enzyme treatment was higher than others. The yields of juice from fresh onion and heat-treated onion(8$0^{\circ}C$/10min) by pressing were 66% and 83%, respectively. Ethanol extraction of onion was efficient at 75$^{\circ}C$ and acetic acid extraction was proper at 3% concentration for 3 hours at 11$0^{\circ}C$. The onion extract was fractionated in the order of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anol to test flavonoids. The highest abundant flavonoids were found in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

  • PDF

인체 암세포에 대한 당근 추출 성분의 세포독성효과 (Cytotoxicity of Daucus Carota L. on Various Cancer Cells)

  • 배송자;한은주;노승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3-160
    • /
    • 2000
  • We investigated the cytotoxic effects of roots and seeds Daucus carota L. on HepG2, HeLa, MCF7, SW626, C6 and NB41A3 cell lines by the MTT assay. Among extracts, the ethylacetate partition layer (DCMEA) of root of Daucus carota L.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on HepG2, HeLa, C6 and NB41A3 cell lines. On the other hand, methanol(DCM), n-ethylacetate(DCMEA) and n-butanol(DCMB) extract of the seeds of Daucus carota L. also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activities for all six cell lines. $\beta$-carotene, a well-known main component of Daucus carota L. was also tested for its cytotoxic effect. However, in all six cell lines, $\beta$-carotene falied to show significant cytotoxicity. Therefore, the anticancer effect of DCMEA of root fo Daucus carota L. and DCM, DCMH, DCMEA and DCMB extracts of seeds may be caused by components other than $\beta$-carotene. Futher studies are under way to isolate the compounds responsible for the significant cytotoxic activity.

  • PDF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Alpinia oficinarum

  • Shin, Ji-Eun;Han, Myung-Joo;Ma, Eun-Mi;Kim, Dong-Hyun;Baek , Nam-I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34.2-334.2
    • /
    • 2002
  • As the part of our continuing study for antihyperlipidemic agents from the herbal medicinal resources.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of Alpinia officinarum water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We isolated some compounds from the ethylacetate fraction of Alpinia officinarum and measured their antihyperlipidemic activities. The active components isolated by silicagel column lmproved serum TG. HDL and LDL level in corn oil feeding and triton WR-1339 induced hyperlipidemic mice. The most active compound was 3-Methylethergalangin. Consequently. these biologically active gerbal functional foods could be used for preparing the healthy food which might diabetas. hyperlipidemia and other disease.

  • PDF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cancer Effect of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s)

  • 민경진;정승희;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1-237
    • /
    • 1999
  • 닥나무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닥나무뿌리 껍질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얻은 분획물(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aqueous 층)들의 0.05∼1.0mg/ml 농도에 대해서 MTT assay를 통한 세포독성 측정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in vitro로 검색하였고, in vivo에서 BALB/c mouse를 이용한 고형암 성장저지 실험 및 비장 장기 중량변화의 항암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세포독성 실험에 의한 MTT assay 결과 모든 분획물들은 농도 의존성으로 효과가 나타났으며 1.0 mg/ml 농도에서 ethylacetate층은 sarcoma 180 cell에 대하여 75.7%의 가장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 aqueous, hexane, butanol, chloroform 층 순으로 각각 62.7%, 58.7%, 52.6%, 40.1%의 효과를 보였다. 각 분획물들에 의한 sarcoma 180 cell에 증식억제 효과는 배양일(1, 2, 3, 6일)이 증가함에 따라 암세포수는 증가하였으며 처음 1일째에 암세포 증식억제가 가장 많이 되었다. 1.0mg/ml 농도로 시료를 첨가하여 6일간 배양했을 때 ethylacetate 층은 60%의 억제율로 가장 현저 한 활성을 보였고 aqueous(42%), hexane(31%), butanol(30%), chloroform(19%)층 순으로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암세포 증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을 해 본 결과 ethylacetate층은 대조군에 비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정도와 형태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BALB/c mouse에서 sarcoma 180 cell에 대한 각 분획물들의 고형암 성장저지효과는 1.0mg/kg으로 시료투여했을 때 ethylacetate 층은 대조군에 비하여 41%의 유의적인 저지율을 나타냈으며(p<0.05), 그 다음은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aqueous 층 처리구가 39%,의 저지율을 나타내었다. 비장의 체중에 대한 중량변화는 대조군의 경우 1.08%인데 비해, ethylacetate층 처리군은 2.10%로 증가하였고 나머지 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한편, mouse의 체중 변화는 대조군과큰 차이가 없었으므로 시료 추출물로 인한 체중 및 장기의 독성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닥나무 뿌리 껍질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얻은 분획물중 ethylacetate와 aqueous 층은 세포독성 효과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및 고형암 성장 저지 효과가 크게나타났으며, 체중에 대한 면역관련 장기인 비장의 중량증가로부터 면역계 활성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닥나무 뿌리 껍질의 효능이 큰 분획물로부터 항암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기전확립의 연구가 앞으로 더욱 보충되어야 할 것이며, 암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 가능성 확인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눈개승마 지상부의 항혈전 활성 (Anti-thrombosis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김미선;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15-521
    • /
    • 2014
  • 한방에서 지혈 및 어혈 제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눈개승마는, 최근 약용 산채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눈개승마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고자 눈개승마 지상부로부터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눈개승마의 에탄올 추출물(0.5 mg/ml)에서 1.4~2.3배의 우수한 TT, PT, aPTT 연장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내인성 혈액응고 인자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분획물에서는 ethylacetate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aPTT 연장효과를, butanol 분획에서는 혈액응고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눈개승마 에탄올 추출물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butanol 분획은 0.25 mg/ml 농도에서 아스피린 0.5 mg/ml 에 해당하는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활성 분획물들은 0.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아, 눈개승마가 천연물 유래의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활성분획들이 높은 함량의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total sugar를 포함함을 고려할 때, 활성물질의 정제시에는 더욱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눈개승마의 항혈전 활성의 최초 보고이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잎 추출물이 식품유해 미생물에 미치는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 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3-121
    • /
    • 2005
  • 인체에 무해한 천연 항균 소재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에 자생하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잎의 m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로 4종의 식품 유해 미생물(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살펴보았다. Paper disc 법을 사용하여 조사한 용매별 항균효과는 methanol 추출물이 4종의 시험균주 모두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S. aureus와 L. monocytogenes에 대하여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물 중에서는 water 분획물과 butanol 분획물이 S. aureus에 대하여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n-hexane 분획물과 chloroform 분획물은 4종의 시험균주 모두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ethylacetate 분획물은 S. aureus에 대해서만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동백나무 잎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균들의 생육도를 균주별로 조사한 결과, 공통 적으로 모든 균들이 methanol 추출물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분획물 중에서는 butanol 분획물, water 분획물에서 항균효과가 뚜렷이 나타났다. 항균 저해율을 확인한 결과, methanol 추출물은 모든 균에 대해 약 25%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분획물 중에서는 butanol 분획물이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균에서 50% 이상의 강한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ethylacetate 분획물과 water 분획물에서는 각각 S. aureus, L. monocytogenes가 30% 이상의 높은 생육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균의 최소저해 농도(MIC)를 측정한 결과는 S. typhimurium에 대하여 methanol 추출물이 $625{\mu}g/mL$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분획물 중에서 S. aureus에 대하여 butanol 분획물이 $625{\mu}g/mL$의 농도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적은 양으로도 항균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Chaenomelis Fructus Ethanol Extract)

  • 이유미;신형덕;이재준;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모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능을 검토하였다. 모과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9.23%이었고, 이를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한 수율은 water분획물이 1.5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ethylacetate 분획물 1.46%의 순이었다. 모과 에탄을 추출물의 총 flavonoid 함량은 $0.331{\pm}0.021\;mg/mL$이었고, 각 분획물의 총 flavonoid 함량은 n-hexane 분획 물이 $0.653{\pm}0.046mg/mL$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모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함량은 0.279mg/mL이었고, 각 분획물중 n-hexane 분획물이 $0.712{\pm}0.017\;mg/mL$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In vitro에서 모과 분획물별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 한 결과 n-hexane 분획물이 $27.3{\mu}g/mL$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인 합성 항산화제 BHT의 $26.5{\mu}g/mL$와 유사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냈다. 또한 rancimat으로 측정한 항산화지수도 n-hexane 분획물이 BHT와 유사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도 n-hexane 분획물이 62.5%로 가장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연구팀은 in vivo에서 모과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관찰하였는데, 모과에탄을 추출물과 알코올을4주간 경구 투여한 후 흰쥐의 간 조직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한 결과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억제시키고, glutathione 함량은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모과는 알코올 투여로 손상된 간조직의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32). 이상의 실험결과 모과에탄올 추출물은 in vivo와 in vitro 연구 모두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모과가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