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 Acetate Extraction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31초

추출 용매에 따른 오죽(Phyllostachys nigra Munro)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Effect of Solvents of Extraction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Phyllostachys Nigra Munro)

  • 김연순;조기안;최두복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6-10
    • /
    • 2010
  • 오죽(Phyllostachys nigra Munro)을 이용하여 추출용매에 따른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 아질산 소거능, tyrosinase활성 저해능,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을 in vitro에서 검토 했다. Ethyl acetate와 hexane을 추출용매로 이용할 때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각각 $44.1{\pm}2.3mg/kg$$47.3{\pm}2.4mg/kg$였다. 항산화 효과는 추출용매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고 hexane > ethyl acetate > n-butanol > methanol > water순이었다. 그러나 SOD 활성은 물 > methanol > n-butanol> hexane> ethyl acetate 추출 순이었다. 아질산 소거능은 pH 1.2에서 추출용매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54~69.2% 범위였다. 그러나 pH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용매에 관계없이 모두 감소하였다. 특히 pH가 1.2에서 6.0으로 증가 할 경우 ethyl acetate 추출물의 아질산 소가능은 $69.2{\pm}3.1%$에서 $7.8{\pm}2.4%$로 감소하였다. 오죽 추출물의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추출용매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15.2~21.3% 범위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water > methanol > n-butanol > hexane > ethyl acetate 추출 순이었다.

김치발효 관련 젖산균에 대한 향신료의 항균력 (Antimicrobial Activity of Exracts from Spices on Lactic Acid Bacteria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 김미경;정현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1-87
    • /
    • 1998
  •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spices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32 kinds of spices such as allspice, mount, basil, bay leaves, caraway, cardamon, celery, chilli powder, chives, cinnamon, clover, coriander, cumin, dill, fennel, garlic, horseradish, marjorarm, mugwort, mustard, nutmeg, onion, oregano, paprika, parsely, pepper, peppermint, rosemary, sage, tarragon, thyme and tumeric were extracted with water, 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ethanol. Fraction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The extracts of 28 kinds of spices except caraway, cardamon, paprika and tarragon by water extraction, those of 29 kinds except arrowroot, paprika and tarragon by ethyl ether extraction, those of 30 kinds except paprika and tarragon by ethyl acetate extraction, and those of 29 kinds except clover, paprika and tarragon by ethanol extraction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s of 28 kinds of spices except caraway, cardamon, paprika and thyme by water extraction, those of 27 kinds except cardamon, cumin, paprika, tarragon and thyme by ethyl ether extraction, thou of 30 kinds except paprika and thyme by ethyl acetate extraction, and those of 28 kinds except cardamon, cumin, paprika and thyme by ethanol extraction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euconostoc mesenteroides.

  • PDF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 이경석;김민규;이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2-1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연잎 추출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70\%$ ethanol로 추출한 추출수율은 $8.16\%$였으며 이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한 수율은 butanol층이 $36.1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극성이 높을수록 높은 분획수율을 나타내었다. 분회물간 총 페놀함량 측정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총 페놀함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또한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BHA, BHT와 비교한 결과 BHA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BHT보다 우수한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취하여 TBA가에 의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 주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BHT보다도 활성이 떨어졌으나 이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단일물질로 분리정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malonaldehyde 이외 다른 성분이 BHA와 반응하여 발색한 것으로 추측되어 졌다. AV와 POV 측정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나 ethyl acetate 분획물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BHT에 비해서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 잎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평가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Fractional Extracts from Ligularia stenocephala Leaves)

  • 김경희;김나영;김성환;한인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20-1225
    • /
    • 2012
  • 본 연구는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생리 효능을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8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검증하였다. 곤달비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21.36%이었으며, 이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한 수율은 water 분획물이 60.35%로 가장 높았으며, n-butanol, n-hexane, ethyl acetate 순이었다. 곤달비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254.00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곤달비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0.28 m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0.5 mg/mL 농도에서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96.67%의 활성을 보였다. FRAP 활성 역시 1 m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이 2.70 mM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은 B. cereus 균주에 대해 ethyl acetate 분획물 5 mg/disc에서 10.2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곤달비의 추출물 및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의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약간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천연물소재로서 식품첨가물 및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채소 중의 유기인제 및 유기염소제 농약의 단순화된 抽出과 精製 技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mplified Extraction and Cleanup Technique for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Vegetables)

  • 전옥경;이용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6-73
    • /
    • 1997
  • This procedure describes the method for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31 organophosphorus and 28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10g of spinach, tomato and onion. After the pesticides were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the amount of coextractives and recovery rates of acephate and methamidophos were calculated. Samples for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cleaned up with florisil solid phase extraction columns. NaBH$_4$ was added to onion extracts, which contained sulfur compound. All the concentrated extrac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with ECD and NPD. The smallest amount of coextractives resulted from the spinach samples extracted with 5% MeOH in ethyl acetate. 5% EOH in ethyl acetate had the highest extractability for acephate and methamidophos and gave the best overall performance as an extraction solvent. The ability of 5% EOH in ethyl acetate to extract various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from spinach, tomato and onion was examined. Recovery of 59 insecticides ranged from 58.0% to 110.5%. The average recoveries of fortified spinach, tomato and onion were 90.08%, 94.54% and 84.90%, respectively.

  • PDF

고상추출카트리지를 이용한 잔류농약 다중분석과정에서 정제용매에 따른 회수율 비교 (Efficiency of Eluting Solvents for Solid-Phase Extraction During Multiresidue Analysis of 16 Pesticides in Cucumber)

  • 두옥주;김경식;정의근;김진곤;김명희;정보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0-95
    • /
    • 2002
  • 채소류 중 비교적 matrix효과가 적고, 수분 함량이 적절하여 회수율이 양호한 오이를 대상으로 하여 총 16종의 농약성분을 A, B 두 group으로 나누어, 농약의 동시 다성분 분석의 전처리 과정 중 정제에 사용하는 용출용매로서 5%$\sim$20%의 acetone/hexane과 5%$\sim$2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각각의 회수율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Acetone/hexane을 사용한 경우 5% acetone에서 총 16종의 농약 성분 중 ethalfluralin, trifluralin, chlorothalonil 등 11종의 농약은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나, alachlor와 iprodione, endosulfan sulfate, bifenthrin, fenarimol은 매우 낮은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10% 이상의 acetone/hexane에서는 bifenthrin과 fenarimol을 제외한 14종의 농약에서 높은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bifenthrin은 20%의 acetone/hexane을 사용한 경우는 용출되지 않았고, fenarimol은 10% 이하의 acetone/hexane을 사용하였을 때는 낮은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총 16종의 농약 성분의 회수율 분석을 한 결과, 5% ethyl acetate에서 ethalfluralin,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 (A group), vinclozolin, tetradifon, cypermethrin fenvalerate (B group)에서만 70% 이상의 회수율을 얻었다. 1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는 trifluralin, chlorothalonil,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 endosulfan sulfate(A group), vinclozolin, procymidone, tetradifon cypermethrin, 그리고 fenvalerate(B group)에서는 70% 이상의 회수율을 얻었고, 2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는 5%나 1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분석했을 때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전체 16종의 농약 중 14종에서 75% 이상의 회수율을 얻었으나, alachlor와 bifenthrin은 매우 낮은 회수율을 보여서 ethyl acetate와 hexane의 혼합용매가 이들 두 농약성분의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은 용출 용매임을 알 수 있었다.

Extraction and separation of glabridin from licorice by 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Choi, Du Young;Row, Kyung Ho
    • 분석과학
    • /
    • 제19권6호
    • /
    • pp.455-459
    • /
    • 2006
  • The extraction and separation of glabridin from licorice root by HPLC was performed in this work. First,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extraction methods and extraction times, a one-hour ultrasonic extraction procedure with ethyl acetate as the extraction solvent was optimized. Then the ethyl acetate extraction was applied to RP-HPLC for separation of glabridin. The column efficiencies and resolution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with different mobile phase compositions. Baseline separation of glabridin was obtained under the mobile phase composition of 50/50 vol.% (ACN/water). The retention time of glabridin was 20.3 min. The peak of glabridin was collected from the HPLC elution for several times and identified by LC/MS. Under the optimum extraction and HPLC separation methods, 1.26 g of glabridin per kg licorice root could be extracted.

Biological Activities and the Metabolite Analysis of Camptotheca acuminata Dence.

  • Cho, Jwa Yeong;Park, Mi Jin;Ryu, Da Hye;Kang, Young-Hwa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4-14
    • /
    • 2018
  • This Camptotheca acuminata Decne. (CA), belonging to Nyssaceae, is a deciduous tree. an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The CA produces camptothecin a natural indole alkaloid, and reported to have anti-cancer effects. But the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CA leav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diabetic,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metabolism analysis by HPLC-MS/MS of CA leaves. The $RC_{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n-Butanol fraction, methanol extraction, water fraction and n-Hexane fraction were $12.23{\pm}0.01$, $15.93{\pm}0.42$, $55.12{\pm}0.45$, $56.29{\pm}4.15$ and $427.29{\pm}6.13ug/mL$, respectively. The $IC_{50}$ values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n-Butanol fraction, methanol extraction, n-Hexane fraction and water fraction were $24.29{\pm}0.14$, $47.86{\pm}0.45$, $54.23{\pm}1.21$ $466.76{\pm}2.21$ and $623.91{\pm}9.67ug/mL$, respectively. The nitric oxide release activity of n-Hexane fraction, methanol ext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water fraction and n-Butanol fraction were $31.49{\pm}5.74$, $29.79{\pm}0.71$, $26.89{\pm}0.71$, $8.24{\pm}5.83$ and $7.75{\pm}4.08%$ at 25 ug/mL, respectively. The anti-cancer activity of n-Hexane fraction, methanol ext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water fraction and n-Butanol fraction were $31.49{\pm}5.74$, $29.79{\pm}0.71$, $26.89{\pm}0.71$, $8.24{\pm}5.83$ and $7.75{\pm}4.08%$ at 25 ug/mL,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 fraction activities showed high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fractions. Thus, Addi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ethyl acetate fraction. Metabolit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LCMS-8040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As a result, Five compounds (1-5) were identified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CA leave. The identification of these compounds was generated by the analysis of fragmentation methods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ion modes. F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gallic acid (1), chlorogenic acid (2), isoquercetin (3), astragalin (4) and camptothecin (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 leave can be used for functional materials.

  • PDF

분석방법에 따른 시판 게향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Crab-like Flavorants by Analyzing Methods)

  • 차용준;조우진;정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243-1249
    • /
    • 2006
  • 시판 수입 게향료 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PME법과 LLCE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동정된 86개의 휘발성 화합물 중 71개가 positive하게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함황화합물류 (13종), 알데히드류(3종), 케톤류(2종), 에스테르류(26종), 알콜류(5종), 방향족화합물류(3종), 테르펜류(8종), 산류(2종) 및 기타화합물류(9종)로 구성되었다. 인조 게향의 분석 및 동정에 있어서는 SPME법이 LLCE법에 비해 검출 감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산류를 포함한 휘발성이 낮은 화합물들은 LLCE법에서만 검출되었다 제품 A-D의 특성에 따라 화합물의 조성에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인조 게향에서는 함황 및 함질소화합물류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epropyl disulfide, e(methylthio)propyl acetate, 3-(methylthio)propanal, 3-(methylthio)propanol, 2-methyl-3-(methylthio)pyrazine, 2-methyl-5-(methylthio)pyrazine)와 에스테르류 (styrallyl acetate,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benzyl acetate, ethyl pentanoate, butyl pentanoate, isoamyl pentanoate, furfuryl acetate) 등이 대표적인 물질로 추정되었다.

지치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 the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23-8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지치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지치를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 aureus, B. cereus, Sal. enteritidis, S. flexneri, E. coli, Sal. typhimurium, S. dysenteriae, P. aeruginosa, S.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지치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지치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 aureus와 S.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지치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산두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지치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aureus 및 S. dysenteriae의 배양액에 지치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각각 4,000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S. aureus의 생육이 48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dysenteriae의 생육도 12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