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검색결과 9,293건 처리시간 0.035초

저농도의 Ethanol에 의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증식억제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Low Concentrations of Ethanol)

  • 박찬성;김미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79-385
    • /
    • 1995
  • 저농도의 ethanol(3-7%, v/v)을 tryptic soy broth (TSB)에 첨가하여 L. monocytogenes의 증식과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이 세균의 최적온도(35$^{\circ}C$)와 저온(-20, 5$^{\circ}C$) 및 고온(45, 50, 55$^{\circ}C$)에서 검토하였다. 35$^{\circ}C$에서의 L. monocytogenes의 증식은 ethanol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저해되었으며, 5% ethanol의 존재하에서는 긴 유도기를 거친 후에 증식이 시작되었으나 ethanol 7%에서는 생균수가 계속 감소하였다. 3-7%의 ethanol을 함유한 TSB에 $10^{5}$-$10^{6}$ cells/$m\ell$의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저온(5$^{\circ}C$, -2$0^{\circ}C$)에 저장하였을 때 5$^{\circ}C$에서 세균은 5% 이하의 ethanol 첨가시에는 증식하였으나 -2$0^{\circ}C$에서는 저장초기에 생균수가 빠르게 감소한 후 감소속도는 느리게 진행되었다. 냉장과 동결저장에서 3%의 ethanol첨가로서 control의 90% 이상의 세균이 제거되었다. $10^{6}$-$10^{7}$ cells/$m\ell$의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고온(45, 50, 55$^{\circ}C$)에 저장한 경우, L. monocytogenes의 생균수는 45$^{\circ}C$에서는 느리게 감소하였으며 3% 이하의 ethanol 첨가에 의한 항균효과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5$0^{\circ}C$와 55$^{\circ}C$에서 생균수가 빠르게 감소하였는데 특히 55$^{\circ}C$에서는 3, 5, 7%의 ethanol첨가로서 세균의 사멸속도는 각각 control의 1.5배, 3배, 5배 정도 증가하였다.다.

  • PDF

D-xylose 발효효모의 분리 및 성질 (Isolation and properties of D-xylose fermenting yeast)

  • 이종수;우철주;송형익;정기택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5-350
    • /
    • 1990
  • D-xylose로부터 직접 ethanol을 생산할 목적으로 D-xylose를 유일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효모들을 토양, 톱밥, 썩은 나무들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균주들 가운데서 ethanol 생산력이 가장 우수한 균주는 썩은 나무로부터 분리한 Candida sp. L-16으로 동정되었다. 이균주를 이용한 ethanol 발효의 최적 조건은 진탕속도 60rpm, 배양온도 28C, 초기 pH 4.5 및 D-xylose 농도 5%이었다. 알코올 생산은 배양 4일째에 최대치에 도달했고 이때의 ethanol 농도는 2.4%(v/v)로서 이론적인 ethanol 수율은 총당에 대해 74.4%이었다.

  • PDF

Effects of Carnitine on the Lipid Metabolism in the Ethanol-Fed Rats

  • 최경힐;류태형;하재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2-328
    • /
    • 1989
  • The effect of dietary carnitine on ethanol-induced fattv liver and hvpertriglyceridemia was examined in an animal model. Consistent with literature, ethanol fed at 5g/Kg of b.w. to rats pro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hepatic concentrations of total lipid, kislycerine, phospholi-pid, free cholesterol and esteriaed cholesterol as well as elevated plasma concentrations of triglvceride. It was when the ethanol diet was supplemented with D.L. camitine that there was a singini-cant reduction in the accumulation of lipids in the ethanol-compromised liver. Dietary cacti-tine was also effective in ameliorating ethanol-induced hypeuriglyceridemia. Total protein con-tents in the plasma was not varied among the groups. Ethanol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영향중에 특징적인 것으로 과유지방혈증(hyperlipidemia) 까 지방간(fatty liver)을 거쳐 간경변에 이르는 간에 관계하는 일련의 증상들을 들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만성적 ethanol의 지방대사 장해에 대한 D.L.-carnitine의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험용 횐쥐를 사용하여 실험군(ethanol group)에게 체중 kg당 5g의 ethanol(30% in saline)을 투여하여 알콜유발성 지방간과 과유지방혈증을 일으키고, 그 실험군 흰쥐들에게 carnitine(0.4 mg/g of body weight)을 첨가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carnitine을 첨가하여 투여한 흰쥐들에서 ethanol처리군과 비교하여 볼 때 간과 혈장에서 지방축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생물학적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권대준;윤선주;조준구;최웅규;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91-96
    • /
    • 2006
  • 상황버섯에 대한 다양한 추출방법별 항산화 활성과 항돌연변이성, 세포독성 등의 생물학적 활성을 S. typhimurium과 인체암세포주들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열수로 추출한 것보다ethanol로 처리한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 ethanol 추출과 열수 후 ethanol 추출 시 각각 17.14, $17.79\;{\mu}g/ml$로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97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에서는 직접변이원 물질인 MNNG와 4NQO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2가지 변이원 물질에 대한 억제율은 추출물의 농도와 양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MNNG에 대해서는 ethanol 추출물이 70.7%로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였고, 열수후 ethanol 추출 시에도 50%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다. 4NQO에 대해서는 ethanol 추출물이 62.9%, 열수후 ethanol 추출물이 52.9%로 5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간접변이원 물질인 $B({\alpha})P$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는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 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즉 TA98 균주는 ethanol 추출물 61.5%, 열수후 ethanol 추출물이 50% 이상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TA100 균주에서는 ethanol 추출물과 열수 후 ethanol 추출물이 50%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간암세포인 HepG2에 미치는 영향으로 검토한 결과 각 추출물들이 추출농도에 따라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ethanol 분획물이 열수 분획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반면 시료 0.5 mg/ml 투여 시 HT-29 세포에 대해서 ethanol 추출물 59%, 열수 추출물 54%, 열수후 ethanol 추출물 57%로 5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ethanol 추출물과 열수 후 ethanol 추출물에서는 0.25 m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간암세포 HepG2의 경우 ethanol 추출물이 30%로 결장암세포인 HT-29에 비해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Ethanol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은 다양한 pH 조건에서 아질산염 소거증을 보여주었으며, 대체로 ethanol 추출물이 열수추출물 보다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삼투질농도가 Ethanol 흡수(吸收)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smolality on the Absorption of Ethanol in the Rabbit)

  • 김신윤;김병국;유경무;김형진;박재식;황수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1호
    • /
    • pp.53-59
    • /
    • 1981
  • In the present study, an effort was direct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osmolality on the absorption of ethanol in rabbits. A single dose of 13.67 ml(2. 16 gm ethanol/kg BW) of hypo-, iso-hyphen and hypertonic ethanol per kg BW was administered into the stomach to albino rabbits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30 th, 60 th and 120 th minute. The blood ethanol level was determined by the method of Williams et al, and hematocrit(Hct) was determined by the conventional Hct centrifuge and read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The blood ethanol level showed the highest value at 60 min after the ethanol ingestion in the hypo- and isotonic groups, $171.3{\pm}13.3\;mg%$ and $204.5{\pm}23.0\;mg%$, respectively, but in the hypertonic group, the highest value was observed at 120min after the ingestion. The absorption rate of ethanol between 0 to 30 min after the ingestion of hypo- and isotonic ethanol was $88.54{\pm}12.04$ and $94.73{\pm}8.33\;mg/min$, respectively, but a decreased value of $44.72{\pm}6.69\;mg/min$ was noted after hypertonic ethanol ingestion comparing with hypo- and isotonic groups, The Hct value after hypo- and isotonic ethanol ingestion was decreased at 30 min but returned to the control level at 120 min. In contrast with hypo- and isotonic ethanol ingestion, hypertonic ethanol ingestion produced an increase of the Hct value at 30 min and returned to the control level at 120 min. The heart rate was increased but the respiratory rate was decreased after ethanol ingestion regardless of the osmolality.

  • PDF

Ethanol이 시상하부 및 미주신경의 전기자극에 의한 심맥관계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on the Cardiovascular Respones to Electrical Stimulation of Vagus Nerve and the Hypothalamus)

  • 신홍기;김기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9권2호
    • /
    • pp.23-31
    • /
    • 1975
  • The effects of ethanol intravenously administered on the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responses to electrical stimulation of vagus nerve and the hypothalamus were studied in the cats. Also investigated were the effects of ethanol on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to bilateral carotid occlusion and to intravenously injected epinephrine and acetylcholine separate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In 1.0 ml/kg and 2.0 ml/kg of ethanol infused groups the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increased gradually and reached plateaus in 10 minutes after ethanol infusion while no marked changes in blood pressure were observed in 0.5 ml/kg of ethanol infused group. 2. The pressor responses elicited by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hypothalamus were depressed directly proportionally to amount of ethanol infused. In 0.5 ml/kg of ethanol infused group the pressor response was reduced to 84.5% of control value and it declined to 17.0% of control in 2.0 ml/kg of ethanol infused group. 3.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the heart rate decreased slightly and also was decreased positive chronotropic effect elicited by hypothalamic stimulation. In several cases even negative chronotropic responses were observed during electrical stimulation in the hypothalamus. 4. Since the pressor responses to bilateral carotid occlusion was reduced by ethanol administration it is suggested that activity of baroreceptor is inhibited by ethanol. 5. No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negative chronotropic effect Produced by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egus nerve of ethanol infused animal.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to intravenously injected epinephrine and acetylcholine were not influenced by ethanol either.

  • PDF

Ethanol내성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E211의 분리 및 특성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Ethanol Tolerant Strain Saccharomyces cerevisiae SE211)

  • 서민재;유상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6-222
    • /
    • 2002
  • 고농도의 ethanol을 갖는 청주를 생산하기 위하여 일본양조협회 Saccharomyces cerevisiae 10호 균주로부터 ethanol 내성 균주 Saccharemyces cerevisiae SE211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는 10%(v/v) ethanol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서의 성장속도가 빨랐으며, 높은 ethanol 농도에서도 성장이 가능하였다 또한 ethanol내성, 내삼투압성, 내열성 등이 원균주에 비해 우수하였다. 선발균주의 세포막 성분을 분석한 결과 sterol, phospholipid의 함량은 원균주와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산의 조성비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분리균주는 외부자극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진 세포내 trehalose의 함량이 원균주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선발균주의 ethanol내성 및 ethanol배지에서의 높은 성장속도는 세포막의 fatty acid및 세포내 trehalose함량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높은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되었다.

마우스에 있어서 Diethylstilbestrol의 면역독성에 미치는 홍삼 Ethanol 유출물의 영향 (The Effect of Red Ginseng Ethanol Extract on the Immunotoxicity of Diethylstilbestrol in ICR Mice)

  • 이덕행;안영근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6권1_2호
    • /
    • pp.39-57
    • /
    • 1991
  • The effect of red ginseng ethanol extract on the immunotoxicity of diethylstilbestrol (DES) was studied in ICR mice. ICR male mice were divided into S groups (10 mice/group), and red ginseng ethanol extract (50, 100 and 200 mg/kg body wt., respectively) and DES (1 mg/kg body wt.)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i.p.) to ICR mice once a day for 2 weeks. Mice were sensitized and challenged with sheep red blood cells (S-RBC). Immune response were evaluated by humoral immunity, cell-mediated immunity, non-specific immunity, and circulating leukocyte cou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DES-treated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showed the tendency to decrease body weight rate and relative liver weight, decreased both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phagocyte activity, and circulating leukocyte counts, but increased the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2. Compared with the DES-treated control group,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treated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ody weight rate (P<0.01). Relative liver w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 (50mg/kg)-treated group (P<0.01),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 (100mg/kg)-treated group (P<0.01). Relative spleen and thymus weight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 (100 mg/kg)-treated group (P<0.01),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 (200 mg/kg)-treated group (P<0.01). 3. Both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treated groups rather than in the DES-treated control group (P<0.01). Especially, it weakened the decrease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 (100 mg/kg)-treated group. 4. Phagocyte activity and circulating leukocyte cou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treated groups rather than in the DES-treated control group (P<0.01). Especially, it weakened the decrease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 (100 mg/kg)-treated group. NK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 (100 mg/kg)-treated group (P<0.01),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DES plus red ginseng ethanol extract (50 and 200 mg/kg)-treated groups (P<0.01).

  • PDF

Schwanniomyces castellii에 의한 전분의 직접 알콜발효 (Direct Alcohol Fermentation of Starch by Schwanniomyces castellii)

  • 성정헌;고성환유연우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229-234
    • /
    • 1992
  • Schwanniomyces castellii NRRL Y-2477에 의한 전분의 직접 알콜발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균주의 150g/l glucose에 대한 알콜발효능력은 사용기질의 94%를 이용하여 ethanol를 63.9g/l를 생성하였으며, 이때의 ethanol yeild를 0.45g-ethanol/g-glucose로서 일반적인 알콜발효 효모인 Sacch. cerevisiae보다는 약간 낮았다. 전분이 상온에서 최대로 용해될 수 있는 20g/l전분의 직접알콜 발효에서는 통기인 경우 ethanol의 생성없이 세포성장만이 이루어졌으며, 통기를 하지 않은 경우는 9.1g/l의 ethanol를 생성하여 ethanol yeild는 이론값의 88%를 나타내었다. 반면 100g/l의 dextrin을 이용한 알콜발효에서는 통기에 의하여 ethanol의 생성이 1.8배 증가하였으며, 또한 $CaCO_3$첨가에 의한 pH를 조절한 경우 조절하지 않은 경우보다 ethanol생성이 2.1배 증가한 34.5g/l의 농도로서 이때의 기질에 대한 발효능력은 82%이고 ethanol yeild는 이론값의 약 84%였다. 또한 150g/l dextrin의 알콜발효에서는 약 79%의 기질을 소모하면서 52.1g/l의 ethanol을 생성하였다. 따라서 Schwanniomyces castellii NRRL Y-2477 에 의한 전분의 직접 알콜발효에서의 율속단계는 전분의 가수분해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 PDF

생면의 알코올 첨가에 따른 유통기한 연장 연구 (Extending Shelf-life with Addition of Ethanol of Wet Noodles)

  • 이지영;임찬원;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8-351
    • /
    • 2009
  • 본 연구는 생면산업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주정(ethanol)의 첨가에 따른 미생물의 증식변화와 유통기한 연장 효과를 과학적으로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thanol을 0, 1, 2% 첨가하였으며, $10^{\circ}C$ 에서 저장하는 동안에 생면의 총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면의 품질 기준인 6 log cfu/g을 적용하여 유통기한을 추산하였다. 그 결과 ethanol 첨가 생면의 유통 가능기한은 무첨가군의 경우 9.17일, 1% 첨가군의 경우 15.02일, 2% 첨가군의 경우 27.03일로 추정되어 무첨가군과 비교하여 63.8%, 194.8%의 유통기한을 연장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생면에 주정(ethanol)의 첨가는 유통기한 연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