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hetic Experienc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7초

악교정 수술을 위한 한국 성인 정상교합자의 연조직 기준치 (CEPHALOMETRIC NORMS OF THE SOFT TISSUES OF KOREAN FOR ORTHOGNATHIC SURGERY)

  • 김경호;최광철;김진갑;박광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3호
    • /
    • pp.231-238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soft tissue cephalometric norms for Korean adults which can be implemented in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using selected horizontal reference plane especially for Koreans (Male: $SN-7.5^{\circ}$, Female: $SN-9.0^{\circ}$) and a simplified analytical method. 70 males and 70 females consisting of freshmen of Yonsei University from 1996 to 1997 and students from the Dental College of Yonsei University were chosen according to clinical examination and cephalometric analysis. The samples had normal profiles, normal anteroposterior skeletal relationship(ANB angle of $0^{\circ}\;to\;4^{\circ}$ and Wits appraisal of -4.0mm to 0mm), and Class I molar and canine relationship. They had no missing or supernumerary teeth and had no experience of orthodontic or prosthetic treatment. After the selection of 15 soft tissue landmarks and the constru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reference lines, 25 measurements were taken. These consisted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ar measurements and angular measur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ments were calculated in males and females. 2. Vertical measurements were comparably bigger in males than females whereas anterior facial height ratio(sN-Sn/Sn-sMe) and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ratio(Sn-Stms/Stmi-sM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3. Most of the horizontal measurements in relation to the vertical reference line(G-perpendicula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4. Nasofacial angle, columellar angle, nasolabial angle and facial contour ang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5. The upper and lower lip were positioned about $-1.0{\pm}2.0mm$ and $+1.0{\pm}2.0mm$ in relation to the Ricketts' esthetic line in both sexes. In this study, soft tissue cephalometric norms of Korean adults for orthognathic surgery were obtained.

  • PDF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이용한 모설의 치료 ($CO_2$ Laser Application for Treatment of the Hairy Tongue)

  • 정다운;조은애;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97-101
    • /
    • 2013
  • 모설(hairy tongue)은 혀의 사상유두(filiform papillae)가 과도하게 신장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혀의 배면후방 1/3 부위에 주로 발생하며, 혀의 측면과 첨부에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섭취하는 음식물과 색소유발 박테리아 등에 따라 백색에서 갈색, 검은색까지 다양한 색의 착색을 보인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환자들은 주로 심미적인 문제로 병원을 찾으며, 드물게 오심, 구취, 미각이상, 불쾌한 느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정확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구강위생 관리 소홀, 구강 내 세균총의 변화, 감염, 방사선치료, 항생제, 면역 억제제 등의 사용, 과도한 음주, 흡연, 타액분비 감소 등이 소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임상 소견이 매우 전형적이므로 육안으로도 진단이 충분히 가능하며, 생검은 필요하지 않다. 모설의 치료는 기본적인 유발요인들을 찾아서 제거해 주며, tongue cleaner 등을 이용해 혀를 부드럽게 닦아주도록 교육하고,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keratolytic agent를 사용하기도 한다. 모설 치료에 외과적 술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유발 요인 제거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호전이 없는 모설 환자에서, 이산화탄소 레이저(Carbondioxide laser, $CO_2$ laser)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과보존 보철에 대한 인식도 (A Cognitive Degree on the Operative Dentistry, Prosdontis)

  • 김정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7
    • /
    • 1996
  • 본 연구는 대구시내에 거주하는 일반인으로서 치과병원을 내원한 진료환자중 215명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지식정도와 치과보존, 보철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구강보건 정책과 국민구강보건 교육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해서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치과 보철물의 관리에 대한 지식에서는 유의성이 차는 없었지만 치료지시도에서는 치주병을 예방할 수 있다가 71.6%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러므로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알 고 있었다. 2. 치아교정에 대한 인식에서는 심미적인 이유로 교정치료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7.9%) 통계상의 유의성은 없었지만 교정의 시기와 기간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지식을 나타냈다.(P<0.01) 3. 치과보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필요하다가 72.2%로 유의성은 없었다. 치과보철 재료의 선호는 도재(45.6%)와 금(43.7%)으로 비슷한 차이를 보여 예전의 금에 대한 인식이 현대에 와서는 자연치아의 색조와 유사한 도재치아를 선호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일반인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과 실천이 구강건강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치아관리 지식과 보존, 보철에 대한 구강보건 교육은 계속적인 등기여부를 시키는 것이 치과계의 중요한 당면과제라고 생각된다.

  • PDF

도시물순환 개선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 개발 및 시범적용 - 부산시 연제구 및 남구를 대상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ramework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Focused on Yeonje-Gu and Nam-Gu in Busan, Korea)

  • 강정은;이명진;구유성;조연희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3호
    • /
    • pp.43-73
    • /
    • 2014
  •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과거 급격한 도시화를 겪으면서 방재, 안전의 개념이 도시개발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개발에 따른 불투수층 확대에 따라 강수, 저류, 침투, 증발산 및 유출로 이어지는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의 왜곡을 초래했다.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를 활용하여 도시 물순환 체계를 개선하고 도시의 홍수저감 효과를 높이는 노력들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접근성이나 심미성의 측면으로만 그린인프라를 계획하고 있어 그린인프라가 가지는 다양한 효과들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도시 물순환을 개선하고 홍수저감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시범지역에 적용하고자 한다. 프레임워크의 1단계에서는 해당지역의 여건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홍수취약성 분석을 통해 취약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그린인프라 우선 설치지역을 도출하는 공간계획을 수립한다. 홍수취약성은 빈도 비모형과 GIS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였다. 3단계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리적 여건, 홍수 경험, 재정 등 다양한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그린인프라 기법을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부산시 연제구와 남구에 적용하여 주요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공원, 빗물정원, 투수성 포장 등을 활용한 구체적인 그린인프라 계획을 제안하였다.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가 도시계획, 환경계획, 개발계획 등 다양한 도시공간계획과 연계되어 반영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그린인프라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조선시대 와유문화의 전개와 전통조경공간의 조성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Mental Stroll about Nature and the Building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pace in Choseon Dynasty)

  • 김수아;최기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51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조경공간과 관련한 기록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다양한 전개양상을 보인 와유문화와 전통조경공간과의 문화사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현실의 유교적인 삶과 자연의 도교적인 삶을 절충하며 살아야 했던 조선시대 문인들의 산수자연에 대한 태도는 다방면의 문화가 난숙해지면서 점차 철리적(哲理的)인 태도에서 심미적(審美的)인 태도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산수자연관의 변화와 명말청초 시은(市隱)하고자하는 성시산림(城市山林)의 문화가 전래되면서 산수자연을 일상공간에서 쉬이 즐기고자 하는 바람이 간절해졌다. 그러한 바람은 현실 속에서 소요유(逍遙遊)한다는 의미를 갖는 와유문화(臥遊文化)에 주목하게 되고 다양한 와유문화의 양상들을 만들어냈다. 국문학분야에서는 일상공간에 앉아 산수의 감흥을 글로 즐길 수 있는 산수유람기(山水遊覽記)가 발달하고, 미술분야에서는 이상향을 그렸던 관념산수화(觀念山水畵)가 실제의 경관을 옮겨 핍진(逼眞)한 산수의 미를 즐길 수 있는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로 발달하게 되었다. 조경분야에서는 개인의 이상(理想)을 표현할 수 있는 일상공간에 산수자연을 담아 감상의 측면에서 가장 생생함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였다. 또한, 전통조경공간은 방안에 누워서도 꿈꾸고 싶은 대상으로 실제 산수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의 측정과 비교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Emotions Felt by Each Type of Hanbok)

  • 박은정;정상훈;서종환
    • 감성과학
    • /
    • 제25권4호
    • /
    • pp.33-44
    • /
    • 2022
  • 최근 들어 한옥마을과 같은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장소에서 한복 대여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한복을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복을 착용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인증샷을 찍어 SNS에 공유함으로써 한복 체험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한옥마을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서 할 수 있는 한복 체험을 제외하고는 일상생활에서 한복의 대중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한복을 일상복으로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한복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한복에서 느껴지는 감성적인 만족까지 반영하여 한복을 디자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한복에서 느끼는 소비자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감성 어휘 28개를 활용하여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소비자의 감성을 7점 리커드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한복 유형별로 '느껴진다'에 해당하는 5점 이상의 점수를 기록한 감성 어휘와 감성 카테고리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복 유형별로 성별에 따른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호감 카테고리에서만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복 유형을 전통 한복(배냇저고리, 색동저고리, 성인 전통 한복, 전통 혼례복)과 현대 한복(아동 생활 한복, 여자 생활 한복, 남자 생활 한복)으로 구분하여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6개의 감성 카테고리인 '유쾌감, 심미감, 조화감, 신선감, 호감, 안정감'에서 전통한복과 현대한복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어휘에 대한 분석 결과는 소비자에게 보다 감성적인 만족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육안과 분광 측정기를 이용한 자연 치아의 색조비교분석 (Shade comparative analysis of natural tooth measured by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methods)

  • 김범석;신수연;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43-454
    • /
    • 2008
  • 도재 수복물 제작을 위해 자연치아의 색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색견본 (shade guide)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과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중 통상적인 육안 관찰을 통해 색조를 선택하는 것은 임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는 하나 주관적이며 일관되지 않은 결과로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자연치의 색조는 매우 다양하여 같은 치아라 할지라도 부위별로 다양한 색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순히 shade tab을 이용한 색조 비교만으로는 정확한 치아의 색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지속적인 기술발달로 computer color matching system, 치과용 비색계, 분광 측정기 등의 기계를 이용한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이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계를 이용한 방법은 색조 선택에 있어 객관적이며, 재현성이 있는 정확한 정보를 술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원, 개인,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육안과 기계를 통한 관찰 시 치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치과대학병원 전공의인 1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오전, 정오, 오후 각 3번의 측정을 통해 시간대별 자연광하에 육안, 기계 측정의 색조 선택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5명의 치과대학병원 전공의와 5명의 치과대 학생, 총 10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정오에 육안, 기계 관찰을 통해 개인차에 따른 정확성을 실험하였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두 번째 실험의 결과를 5명의 치과대학 전공의, 5명의 치과대학생 군으로 나누어 숙련도에 따른 육안, 기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는 기계 측정 결과가 육안 측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P < .05)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나타내었고, 두 번째 실험에서 역시 기계 측정시 개개인의 육안 측정에 의한 색조 선택 값에 비해 재현성 및 정확성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세 번째 실험에서 이전 실험의 결과를 숙련자, 비숙련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군 내 기계 측정값이 육안 관찰값보다 숙련도에 상관없이 정확도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하지만 군 간 육안, 기계 측정값을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치아 색조를 육안, 기계 측정할 때 술자의 숙련도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계를 이용하는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색견본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에 비해 더 정확하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의 측색 오류를 고려해야하며 수복물 제작 시 정확한 재현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시각적인 방법과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