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richia coli O157:H7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7초

이산화염소가 E.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on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ure Cell Culture)

  • 염형준;고종관;김미리;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14-51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염소 처리를 이용하여 대표적 식중독 미생물인 E.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살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Pure cell culture 상태에서의 E. coli는 이산화염소 5 ppm에서 D-value가 3.37분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Salmonella와 Listeria의 생존곡선은 이산화염소 처리시간에 따라 biphasic curve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biphasic curve는 5분까지의 처리로 해당 농도에서의 살균효과는 대부분 나타나고 그 이후는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Listeria의 5ppm과 10ppm의 처리결과는 이산화염소의 처리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처리 시간보다는 처리농도가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이산화염소 허용치인 5ppm이 신선채소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 하기엔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판냉장, 냉동 및 포장육 중 식중독균의 분포 및 혈청형 (Prevalence and Serovar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Retail Fresh, Frozen and Packed Meats)

  • 강호조;김용환;석주명;이성미;김종염;정석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7-332
    • /
    • 1999
  • 1996년 3월부터 1998년 10월간에 경남지방 시판 냉장육 888건, 냉동포장육 222건 및 수입 냉동육 117건의 시료로부터 식중독관련 병원균의 분포와 혈청형을 조사하였다. 식중독균의 분리률은 Staphylocorcus aureus. Campylobarter jejuni/coli, Listeria monocytogenes 및 Salmonella spp 순으로 높았고, Escherichia coli O157:H7은 전시료를 통해서 분리되지 않았다. C. jejuni /coli는 냉장육에서 높은 오염률을 나타내고, 냉동포장육에서는 거의 분리되지 않는데 반해서 L. monocytogenes는 냉장육에 이해서 냉동포장 계육에서 높은 분리율을 나타낸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분리균의 혈청형 분포는 Sta. aureus의 경우 대부분이 enterotoxin type C와 D였고, Salmonella spp는 돈육유래균에서 모두 A group이었으며, 계육유래균은 대부분 B와 D group이었다. L. monocytogenes는 계육유래균의 대부분이 type 1 이었고, type 4는 소수로 분리되었다.

  • PDF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브로콜리에 있어 이산화염소 처리가 Escherichia coli O157:H7과 Listeria monocytogenes의 균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Broccoli Served in Foodservice Institutions)

  • 류시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622-162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식소나 외식업소에서 샐러드용 식재료로 많이 제공되는 브로콜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이산화염소의 농도 및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식중독균에 대한 살균 효과를 평가하였다. 브로콜리에 E. coli O157:H7을 접종한 직후의 균수는 5.91 log CFU/g이었고, 멸균수로 1분 처리한 후에는 5.74 log CFU/g로 별다른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5 ppm, 10 ppm, 20 ppm의 이산화염소로 각각 1분, 5분, 10분간 처리한 후의 균수도 멸균수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단지 $0.31{\sim}1.05log\;CFU/g$ 정도만 감소하여 충분한 살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브로콜리에 L. monocytogenes를 접종한 직후의 균수는 5.80 log CFU/g이었으나, 멸균수에 1분간 침지한 후에는 5.59 log CFU/g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10 ppm과 20 ppm의 이산화염소로 처리한 후에는 멸균수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균수가 각각 $2.19{\sim}2.48log\;CFU/g$$3.31{\sim}3.87log\;CFU/g$만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접종된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균수는 모두 이산화염소의 처리농도 및 시간과 각각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회귀식은 각각 $Y_1=5.934-0.046X_1-0.028X_2$$Y_2=5.630-0.177X_1-0.043X_2$이었고, 설명력은 각각 95%와 93%이었다. 이산화염소수로 세척한 브로콜리에서의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균수를 예측함에 있어 이산화염소의 처리시간보다는 처리농도가 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5 ppm의 이산화염소는 브로콜리에 부착된 식중독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산화염소를 생채소 세척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세척농도를 높여 사용함이 효과적이겠다. 또한 본 연구를 토대로 급식소와 외식업체에서 제공되는 샐러드용 채소에 대한 미생물적 안전성 보장을 위하여 다양한 채소에 대해 이산화염소 처리에 따른 식중독균의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아울러 과일이나 채소에 이산화염소 처리 시 산화작용으로 인해 색깔이나 맛이 변할 수 있으므로 관능검사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하겠다.

Prediction of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 : H7 in Lettuce Treated with Alkaline Electrolyzed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s

  • Ding, Tian;Jin, Yong-Guo;Rahman, S.M.E.;Kim, Jai-Moung;Choi, Kang-Hyun;Choi, Gye-Sun;Oh, Deog-Hwa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2-237
    • /
    • 2009
  • 본 연구는 오염된 양상치를 알카리전해수로 세척한 처리구와 비처리구에 오염된 E. coli O157 : H7균이 다양한 온도 (4, 10, 15, 20, 25, 30, $35^{\circ}C$)에 저장할 경우 이균의 specific growth rate (SCR) 과 lag time (LT) 생육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E. coli O157 : H7의 specific growth rate (SGR) 과 lag time (LT)를 결정하기 위해 생육도를 Gompertz 식을 사용하여 fitting한 결과, $R^2$값이 0.994로 나타났다. 실험값으로부터 얻은 SGR과 LT는 저장온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circ}C$에서 $35^{\circ}C$까지 온도가 증가할수록 성장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EW 처리구 또는 비처리구의 양상치 에서 E. coli O157 : H7의 성장 kinetics에 대한 저장 온도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RG에 대한 두개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유도된 2개의 모델 검증은 $R^2$, $R^2_{Adj}$ (adjusted determination coefficient) 및 MSE (mean square error)를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R^2$, $R^2_{Adj}$가 1 (>0.93)에 근접하였으며, 알카리 전해수 처리구 및 비처리구 양상치 모델의 MSE는 각각 0.031, 0.025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의 생육변수는 실험 치에서 얻은 E. coli O157 : H7의 생육변수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Antibody Layer Fabrication for Protein Chip to Detect E. coli O157:H7, Using Microcontact Printing Technique

  • KIM HUN-SOO;BAE YOUNG-MIN;KIM YOUNG-KEE;OH BYUNG-KEUN;CHOI JEONG-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141-144
    • /
    • 2006
  • An antibody layer was fabricated to detect Escherichia coli O157:H7. The micropattern of 16-mercaptohexadecanoic acid (16-MHDA) as alkylthiolate was formed on the gold surface by using the PDMS stamp with microcontact printing $({\mu}CP)$ techniques. In order to form antibody patterns on the template, protein G was chemically bound to the 16-MHDA patterns, and antibody was adsorbed on a self-assembled protein G layer. The formation of the 16-MHDA micropattern, self-assembled protein G layer and antibody pattern on Au substrate was confirmed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spectroscopy. Finally, the micropatterning method was applied to fabricate the antibody probe for detection of E. coli O157:H7, and monitoring of antigen by using this probe was successfully achieved.

Interaction Between the Quorum Sensing and Stringent Response Regulation Systems in the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EDL933 Strain

  • Oh, Kyung-Hwan;Cho, Seung-Ha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401-407
    • /
    • 2014
  • Quorum sensing and the stringent response are well-known regulation systems for the expression of virulence genes in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However, how these two systems interact is not well known. E. coli strains with mutations in two regulation systems, ${\Delta}luxS$ (ECM101) and ${\Delta}luxS{\Delta}relA{\Delta}spoT$ (ECM201), and the ${\Delta}luxS$ complement strain to ECM201 (ECM202) were created from EHEC O157:H7 EDL933 to investigate how the regulatory systems interact. The phenotypic changes of the mutant strains were characterized and compared with the wild type. The mutant strains exhibited no obvious growth defects, although acid resistance and cellular cytotoxici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e mutant strains. Phenotypic characterization revealed that mutations in the stringent response system (ECM201 and ECM202) influenced the metabolic (defective utilization of arabinose and L-sorbose) and enzymatic activities (decreased trypsin activity, and increased ${\alpha}$-glucosidase activity). In contrast, the quorum sensing system mutant (ECM101) did not display these phenotypes. The motility of the quorum sensing system mutant (ECM101) was unchanged, but mutation in the stringent response system influenced the motility. Our results suggest that quorum sensing interacts with the stringent response regulation system.

이차원전기영동을 이용한 Escherichia coli O157:H7 균주간 항원 Spot의 비교 (Comparison of Antigenic Spots between Escherichia coli O157:H7 Strains by 2-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 안영창;신기욱;신용승;이응구;이형준;박미림;김영림;정태성;김곤섭;김용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31-239
    • /
    • 2002
  • Proteomics is an emerging powerful tool in studying protein expression and function. At present study, proteomics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antigenicity among Escherichia coli O157:H7 strains using 2-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 and immunoblotting, SDS-PAGE and immunblotting analysis revealed no big differences among E coli O157:H7 strains. 2-DE analysis, however, revealed common antigens as well as specific antigens. The immunoblotting analysis revealed 20 common antigenic spots among E coli O157:H7 strains. In addition, there were 3 and 13 spots as common antigens between ATCC 43894 and KSC 109, and between ATCC 43894 and ACH 5, respectively. Antigenic spots specific for individual strain were also identified as 15, 8 and 22 for ATCC 43894, ACH 5 and KSC 109, respectively. The common antigens would be useful by employing either vaccine development or diagnosis marker, or both, whereas the specific antigens of individual strains would be applicable for epidemiological study. This study suggest that proteome analysis, representative as 2-DE, is valuable tool in exploring the E. coli antigenicity.

육회 중에 분포하는 미생물과 주요 식중독 세균의 조사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nd Foodborne Pathogens in Yukae)

  • 이시형;김진만;김명희
    • 육가공
    • /
    • 통권35호겨울호
    • /
    • pp.34-45
    • /
    • 2008
  • 육회는 가열처리 없이 섭취하기 때문에 다양한 미생물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의 육회 전문점 5곳을 선정하여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식당에서 판매되고 있는 조리된 육회를 식품공전 방법에 따라 중온성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측정하였고 식품중에 검출되어서는 아니되는 병원성 세균인 Salmonella spp., Staph. aureu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의 검출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육회에는 중온성균이 6.6$\times$103-2.7$\times$105 CFU/g, 대장균군이 8.9$\times$101-2.1$\times$105 CFU/g으로 분포되었다. 모든 육회 시료에서 Salmonella spp., E.coli O157:H7,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한 시료에서 Staph. aureus가 검출되었다. 이외 임상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들이 동정되었다. 가열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육회는 원료의 생산 및 조리과정에서 엄격한 위생 감독이 요구된다.

  • PDF

육회 중에 분포하는 미생물과 주요 식중독 세균의 조사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nd Foodborne Pathogens in Yukae)

  • 이시형;김진만;김명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7-202
    • /
    • 2007
  • 육회는 가열처리 없이 섭취하기 때문에 다양한 미생물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의 육회 전문점 5곳을 선정하여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식당에서 판매되고 있는 조리된 육회를 식품공전 방법에 따라 중온성균 수와 대장균군 수를 측정하였고 식품 중에 검출되어서는 아니되는 병원성 세균인 Salmonella spp., Staph. aureu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의 검출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육회에는 중온성균이 $6.6{\times}10^3-2.7{\times}10^5\;CFU/g$, 대장균군이 $8.9{\times}10^1-2.1{\times}10^5CFU/g$으로 분포되었다. 모든 육회 시료에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한 시료에서 Staph. aureus가 검출되었다. 이외 임상학적으로 중요한 미생물들이 동정되었다. 가열과정 없이 바로 섭취하는 육회는 원료의 생산 및 조리과정에서 엄격한 위생 감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