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richia coli(E. coli)

검색결과 2,519건 처리시간 0.032초

Escherichia coli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의 유전자 argI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Escherichia coli Ornithine Transcarbamylase Gene, argI)

  • 류기중;유장걸;고영환;김찬식;송성준;오영선;이선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18-122
    • /
    • 1995
  • Escherichia coli의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는 오르니틴과 카바밀인산으로부터 시트룰린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효소이다. 이 효소의 기능과 구조와의 상관관계, 반응메카니즘 등 생화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대량의 효소를 추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의 대량생산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하여 E. coli argI 유전자를 E. coli $DH5{\alpha}$ 세포의 염색체 DNA를 추출한 후에 PCR 방법으로 증폭시켜 얻었다. 증폭된 argI 유전자를 단핵생물 단백질 발현벡터인 pKK223-3에 접합시킨 후,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가 존재하지 않은 E. coli TB2 세포에 클로닝 시켰다. 이 세포로부터 생산된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는 암모늄염에 의한 분할, 열변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사용하여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SDS 단백질 전기영동 결과 약 38 kDa 크기의 효소가 순수하게 얻어졌다. 반응속도론적 실험결과 $K_{cat}$$1{\times}10^5m^{-1}$, $K_M$은 오르니틴에 대하여는 0.35 mM, 카바밀인산에 관하여는 0.06 mM이 각각 얻어졌다. 이 결과는 야생형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의 반응속도 인자들과 비슷한 값이다. 본 연구는 이들 결과로부터 오르니틴 트란스카바밀라제의 기능을 하는 E. coli argI 유전자가 클로닝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마늘 물추출물의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Aqueous Garlic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 이승윤;남상현;이현정;손송이;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0-216
    • /
    • 2015
  • 본 연구는 마늘의 물추출물(AGE)의 E. coli O157:H7, S. typhimurium, 그리고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AGE의 E. coli O157:H7, S. typhimurium, and S. aureus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는 각각 24, 48 그리고 24 mg/mL이었으며, 최소살균농도(MBC)는 모든 균에 대하여 96 mg/mL이었다. AGE 24 mg/mL을 E. coli O157:H7에 투여하고 배양 24시간 후에, 균의 증식이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1). 그러나 AGE 24 mg/mL을 S. aureus에 투여하고 배양 24시간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AGE 96 mg/mL을 투여한 경우에서는 배양 24시간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가 나타났다(p < 0.01). AGE 48 (p < 0.05)과 96 mg/mL (p < 0.001)을 S. typhimurim에 투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늘의 물추출물은 항생제와 화학적 식품보존제의 대체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61-nm LED조사와 산의 병행처리가 Staphylococcus aureus와 Escherichia coli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461-nm LED Light and Combination with Acid Stress Treatment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 김세훈;방우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26-529
    • /
    • 2013
  • 이 연구는 $15^{\circ}C$에서 10시간동안 pH 5 환경과 461-nm LED를 조사하였을 때 S. aurues (MRSA 포함), E. coli (E.coli O157:H7 포함)의 살균 효과를 측정하고자 수행하게 되었다. 461-nm LED만을 10시간동안 조사하였을 때. S. aureus (MRSA 포함)은 4 log CFU/mL 감소하였다. 그리고 E. coli (E. coli O157:H7 포함)는 9시간동안 조사하였을 때 불활성화되었다. 그러나 pH 5와 461-nm LED를 함께 조사한 결과, 모든 균주들은 7시간동안 조사하였을 때 불활성화되었다. 이 가시광선 불활성화 결과는 외인성의 광감각제없이 이루어 졌다. 461-nm LED만을 조사하였을 때, 가장 높은 D값은 S. aureus (ATCC 27664)으로 5.05시간이었으며 가장 낮은 D값은 E. coli O157: H7 (ATCC 35150)으로 1.39시간이었다. pH 5와 461-nm LED를 함께 조사한 결과, 가장 높은 D값은 S. aureus (ATCC 19095)의 1.58시간이었으며, 가장 낮은 D값은 S. aureus (ATCC 27664)의 0.83시간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pH 5와 461-nm LED를 함께 조사한 것이 461 nm LED 한가지 환경보다 살균효과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Escherichia coli O157:H7의 살균을 위한 감마선과 가열처리의 효과 (Effects of Gamma-Ray and Heat Treatment on Steriliz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 권오진;육홍선;김성애;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16-1020
    • /
    • 1997
  • 본 연구는 Escherichia coli O157:H7 균주를 살균하고자 감마선 단독 및 가열과의 병용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E. coli O157:H7 균주의 가열 단독처리시 D값은 $50^{\circ}C$에서 129.2분, $55^{\circ}C$에서 27.1분, $60^{\circ}C$에서 2.4분으로 나타났다. E. coli O157:H7 균주는 0.03 M cysteine, 1% sodium citrate 및 5% sucrose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열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였고 1%, meat extract, 1% casein 및 1% casamino acid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감소하였다. 감마선 단독처리시는 $D_{10}$ 값과 불활성화 계수가 0.116 kGy와 $17{\sim}25$ 이였으나 가열과의 병용처리시는 약 0.07 kGy와 $25{\sim}41$로 나타났다. 이로서 가열과 방사선의 병용처리는 E. coli O157:H7 균주의 방사선 감수성을 현저하게 상승시켜 본 균주의 살균에 효과적이었다.

  • PDF

적콜라비 새싹채소 종자에서 분리한 Escherichia coli strain RC-4-D의 생장예측모델 (Mathematical modeling of growth of Escherichia coli strain RC-4-D isolated from red kohlrabi sprout seeds)

  • 최수연;류상돈;박병용;김세리;김현주;이승돈;김원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78-785
    • /
    • 2017
  • 본 연구는 시중 유통되고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적콜라비 종자에서 분리한 E. coli strain RC-4-D의 생장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온도조건(10, 15, 20, 25, $30^{\circ}C$) 별로 적콜라비 중 E. coli strain RC-4-D 밀도 변화를 조사하였고 Baranyi model을 1차 생장예측모델로 이용하였고 각 온도별로 최대생장률(${\mu}max$)과 $10^{\circ}C$를 제외한 유도기(LPD) 값을 도출하였다. E. coli strain RC-4-D의 최대생장률에 대한 2차 생장예측모델로써 suboptimal Ratkowsky square-root, suboptimal Huang square-root, suboptimal Arrhenius-type 세 종류의 모델을 비교하였다. 모델 적합성 검정 결과, suboptimal Huang square-root 모델이 정확도가 가장 높고 suboptimal Ratkowsky square-root 모델이 편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RMSE가 0.100, $A_f$가 1.255, $B_f$가 0.999인 suboptimal Ratkowsky square-root 모델이 온도의 영향을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2차 생장예측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은 적콜라비 새싹채소 생산에 있어서 E. coli의 생장을 예측하고 미생물 위해성평가를 수행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유통중인 생닭 및 닭가공품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분리 및 특성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Diarrheagen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Raw Chicken and Chilled Chicken in Korea)

  • 조용선;이다연;김희언;이명기;이주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9-134
    • /
    • 2017
  • 병원성 대장균군은 전세계적으로 식중독을 발생하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유통중인 생닭과 조리된 닭가공품 356시료에서 대장균 80균주(22.5%)를 분리하여 병원성 유전자 multiplex PCR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astA 유전자가 26균주(32.5%)에서 검출되었으며, escV 유전자는 17균주(21.3%) eaeA 유전자는 16균주(20.0%) 검출되었다. 특히 식품에서 문제가 되는 장출혈성 대장균 유전자 stx 1는 3균주(3.8%)와 stx 2, EHEC-hly는 각 1균주(1.3%)에서 검출되었다. 병원성 유전자를 토대로 STEC, EPEC, EHEC, EIEC or EAEC의 병원성 대장균으로 분류한 결과 45균주(56.3%)가 검출되었으며 typical EPEC, EIEC and ETEC의 병원성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STEC 병원성 대장균은 O152, O1, O116, O26, O25, O119, O153 혈청형이 분리되었다. 특히 생닭에서 병원성 대장균에 대한 검출률이 높으므로 생닭을 가공 조리 시 교차 오염이 발생하기 않도록 조리 도구, 조리 환경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Escherichia coli Prolidase with Organophosphorus Compounds

  • Hong, Jin-Kyu;Park, Min-Sun;Frank M. Raushel;Khang, Yong-H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2호
    • /
    • pp.126-129
    • /
    • 2003
  • A relatively high homology between Escherichia coli prolidase and Alteromonas organophosphorous acid anhydrolase suggests that E. coli prolidase may have an activity to d egrade toxic organophosphorous compounds. To confirm this suggestion, we cloned and expressed a prolidase gene (pepQ) of E. coliBL2l. The recombinant E. coli prolidase that consisted of 443 amino acid residues exhibited activity and stereochemical selectivity against organopho sphorous compounds, although its activity was two to three orders of magnitude less than that of the other organophosphorous acid hydrolase isolated from Pseudomonas diminuta.

Secretion of Human Angiogenin into Periplasm and Culture Medium with Its Eukaryotic Signal Sequence by Escherichia coli

  • Jung, Woo-Jung;Choi, Suk-Jung
    • BMB Reports
    • /
    • 제30권1호
    • /
    • pp.80-84
    • /
    • 1997
  • The synthesis and secretion of human angiogenin in E. coli by the natural leader sequence has been studied. We constructed a recombinant plasmid containing human angiogenin cDNA which encompassed all the coding region including leader sequence required for secretion. The recombinant plasmid was introduced into a suitable E. coli host. The angiogenin was detected in the culture medium and periplasm upon the induction of gene expressio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secreted angiogenin was identical to that of authentic angiogenin purfied from human plasma when estimated by SDS-PAGE and immunoblotting. showing that the natural leader sequence was recognized and processed by the secretion machinery of E. coli. The angiogenin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um reached a maximum within 2 h when expressed at $37^{\circ}C$ with 0.02~2 mM IPTG. In contrast, the expression level increased gradually over time up to 11 h at $23^{\circ}C$ with 0.002~2 mM IPTG and at $37^{\circ}C$ with 0.002 mM IPTG.

  • PDF

Enhancement of the Escherichia coli Floc Strength with Water Soluble Polymers

  • KIM, CHAN-WHA;CHOKYUN RH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82-286
    • /
    • 1997
  • The floc strength of Escherichia coli was enhanced by adding water soluble polymer flocculants (BPA-5020 and BPA-5000) to the particulate flocculant (BPA-1000) as indicated by the increase in the shear index. The shear index of the E. coli flocs increased from 0.39 with the particulate flocculant alone to 0.94 with the particulate flocculant in conjunction with the water soluble polymer flocculant. In addition, the sedimentation rate of flocs was higher and the sedimented volume of flocs was smaller when the particulate flocculant was used with the water soluble polymer flocculant. When E. coli was flocculated first with the water soluble flocculant and the particulate flocculant was added later into the E. coli flocs formed, the sedimentation rate of the flocs was greater than that of any other combination. The shear index of the flocs was, however, independent of the sequence of the flocculant addition.

  • PDF

유기산의 저해를 조절하기 위한 Escherichia coli의 전기투석배양 (Control of Organic Acid Inhibition in Escherichia coli Culture with Eledtroudialysis)

  • 김인호;윤태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47-754
    • /
    • 1995
  • E. coli growth is inhibited by organic acids produced in the broth. In order to reduce the inhibition, an electrodialysis unit was used. Model solutions (acetic acid plus distilled water or M-9 medium) were tested in the unit for investigating the optimum condition of current and voltage. Electrodialysis cultures were performed with the optimum condition where the highest current efficiency could be attained. The distilled water plus acetic acid gave us a higher current efficiency than the M-9 plus acetic acid. Electrodialysis efficiently removed acetic acid and so enhanced the specific growth rate of E. coli compared with the control experiment without clectrodi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