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riophys macrodoni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구기자품종의 구기자혹응애 저항성 유전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Gall Mite(Eriophys macrodonis) in Boxthorn (Lycium chinese) Cultivars)

  • 최재을;차선경;김영창;김진희;강희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8-304
    • /
    • 2002
  • 구기자품종의 혹응애에 대한 저항성 반응 및 저항성 유전양식 을 검정하기 위하여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을 인공교배 하여 얻은F$_1$집단의 포장자연 발생율에 의하여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기자혹응애 저항성 품종인 일본 1호,중국 1호를 감수성인 CL42-56과 교배한 F$_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이 3 ; 1로 분리되었으며, 일본 1호와 중국 1호를 교배한 F$_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이 15 : 1로 분리 되었다. 2. 일본 1호와 중국 1호의 혹응애 저항성은 hetero 인 두 개의 우성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며, 저항성 유전자를 E1e1E2e2로 명명하였다. 3. 청양구기자를 CL42-56에 교배한 F$_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의 분리비가 명확하지 않았으며 변이 의 폭이 크므로 청양구기자의 혹응애 저항성은 주동유전자와 polygenes에 의해 지배되었다. 4. 일본 1호와 중국 1호는 혹응애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모본으로 우수하였으며, 청양구기자도 저항성 모본으로서 가치가 인정되었다.

친환경 구기자재배지에서 해충의 계절 발생소장 및 친환경유기농자재의 방제효과 (Seasonal Occurrences of Insect Pests and Control Effects of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in the Field of Lycium chinense under Environment- Friendly Management)

  • 류태희;박상은;고나연;김정곤;신효섭;권혜리;김영국;이보희;서미자;유용만;윤영남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2-410
    • /
    • 2013
  • 화학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구기자 재배지에서 해충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충남청양군 일원 친환경 구기자 재배지에서 2년간 해충의 발생상을 조사하고 주요 해충에 대한 친환경 방제제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구기자나무의 초엽기인 5월 하순과 6월 초순에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이 피해가 심하며, 6월 중순부터는 열점박이잎벌레(Lema decempunctata)의 피해가 심하고, 구기자혹응애(Eriophys macrodonis),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뿔나방류(Hedma spp.)의 피해는 연중 계속되었다. 열매가 열리는 7월 하순부터는 열매를 흡즙하는 노린재류의 밀도가 급증하여 피해가 심해지는데, 특히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와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ba balys) 의 피해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구기자의 주요 해충인 복숭아혹진딧물, 열점박이잎벌레, 구기자혹응애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효과에서는 고삼, 멀구슬나무, 양명아주, 쿠아시아, 백부근, 너삼 등의 식물추출물로 이루어진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선발하여 사용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과 열점박이잎벌레의 경우 고삼과 멀구슬이 혼합된 제제에서 각각 84.0%, 86.6%의 방제가를 보여 다른 제제에 비해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혹응애의 경우 고삼과 멀구슬나무, 양명아주 식물추출물이 혼합된 제제에서 낮은 혹형성률을 보였다.

친환경 구기자재배지에서 다년간 해충발생양상 (Occurrence patterns of insect pests in the field of Lycium chinense under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 류태희;강찬영;정유빈;고나연;권혜리;서미자;유용만;윤영남;김영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41-350
    • /
    • 2014
  •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s of Lycium chinense was monitored at 4 organic farms that was cultivated with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at Cheongyang, Chungnam from May, 2012 to September, 2014. Total 4 orders and 18 species occurred in the L. chinense. Among them, 4 major pests and Lepidopteran and Hemipteran insect pests wer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pattern. During the budding, the population density of Myzus persicae was very high in late-May and early-June, and the injury by Lema decempunctata was increased from mid-June. The injuries by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and Hedma lycia sp. were continued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From the fruit held in late-July, hemipteran insects including Plautia stali and Halyomorpba balys were sucking the fruit, and their injury to L. chinense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case of Eriophys macrodonis densities to increase gradually from early July. The population density of E. macrodonis in 2014 was rapidly increased more than 5 times compared with 2012 and 2013. It was supposed that the initial control of mites or the removing of over-wintering density in the past year might be neglected. However, there is a need to more review the factors for the mass occ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