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lithic algal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섬진강 수계 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Epilithic Algal and Change of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Quality in the Seomjin River)

  • 이경보;김백호;이덕배;김재덕;최민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6-283
    • /
    • 2000
  • 본 연구는 1996년과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섬진강 수계 총 16지점을 선정하여 수질의 오염성분 및 수계에 서식하는 부착조류의 분포,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섬진강 수계 농업용수 시기별 수질변화에서 7, 8월에 오염성분 함량이 낮았으며, $NO^-\;_3-N$는 영농시기인 6월에 그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수계별 수질변화에서는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구례 서시천, 남원 요천이 EC 함량이 높았고, $NO_3-N$ 함량은 남원 요천에서 높았다. 섬진강 수계 주요 음이온의 당량합은 $Cl^->SO_4\;^{2-}>NO_3\;^->PO_4\;^{3-}$순 이었으며 양이온의 당량합은 $Ca^{2-}>Na^->Mg^{2-}>K^+>NH_4\;^-$순 이었다. 섬진강 부착 조류중 동정 분류된 부착조류는 총 6강 15목 9아목 33과 13아과 90속 290종 42변종 7품종으로 총 339종류였으며, 녹조 171종류, 규조 106종류, 남조 46종류, 유글레나 10종류, 쌍편모조 4종류, 황색편모조 2종류 순이었다. 계절별 조사에서 여름조사에는 219종류로 출현중의 64.6%를 차지하였으나, 겨울은 147종류로 43.4%로 가장 낮은 출현을 보였고, 조사기간동안 산정된 부착조류 현존량은 총 $12,240{\times}10^4\;cells{\cdot}L^{-1}$(총 현존량의 20.6%)로 최저치를 보였다. 우점종으로는 봄에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Cosmarium furcatospermum, Melsira granulata 등, 여름에는 Cyclotella meneghinana, Synedra ulna, Scenedesmus ecornis 등, 가을에는 Melsira granulata, Achnanthes minutissma, 겨울에는 Gomphonema parvulum,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Melsira varians 등이 높은 출현을 보였다. 우점도 지수는 전체적으로 0.10 - 0.43의 범위를 보였으며, 지점 2, 4, 8, 9 등에 비교적 낮은 우점도지수를 보였고, 지점 5, 6, 15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온천 주변 소형하천에 서식하는 부착조류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pilithic Algae in a stream drained from Hot Springs)

  • 최환석;유춘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1-136
    • /
    • 1998
  • Attached algal community and several physico-chemicai characters were investigated at Seokjong hot spring in Chollabukdo in February and in April, 1997.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i factors are as follows : water temperatures were varied from 6.5$^{\circ}$C to 32.0$^{\circ}$C; pH range was 6.9 to 7.7; The levels of electric conductivity were 105 $\mu$mhos/cm to 477 $\mu$mhos/cm; chemical oxygen demand(COD) range was 1.5 mg/l to 21.2 mg/l; ammonia concentration was 0.20 mg/l to 8.74 mg/l; nitrate concentrations were 0.36 mg/l to 2.43 mg/l; phosphate concentration was N.D. to 0.52 mg/l; sulfur concentration was 14.6 mg/l to 66.1 mg/l. Attacched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Totally, 63 taxa were classified and composed of 4 phylum, 4 class, 10 order, 17 family and 31 genera. The total biomass of attacched algae was $1.036 \times 10^{7}$ cells/l that composed of $5.39 \times 10^{6}$ cells/l of blue-green algae, $4.05 \times 10^{6}$ cells/l of diatom and $0.93 \times 10^{6}$ cells/l of green algae. The succession of dominant species was Synechocystis thermalis. This could be due to the thermal wastewaters. in biotic indices tests, the values of dominance index(DI) were 0.33 to 0.67 in winter, 0.18 to 0.68 in spring. The values of diversity index(H') were 1.44 to 2.69 in winter, 1.62 to 2.89 in spring. And the values of eveness index (J) were 0.31 to 0.61 in winter, 0.37 to 0.65 in spring.

  • PDF

제주도내 하천의 부착규조 군집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Streams of Jeju Island)

  • 정명화;조현진;윤정하;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32권1호
    • /
    • pp.16-25
    • /
    • 2014
  • 본 연구는 제주도내 위치하는 상시 유수가 흐르는 6개의 하천을 선정하여 이화학적 요인과 부착 규조류 군집의 분포를, 2008년에서 2012년까지 연 2회 조사하였다. BOD는 0.0~1.6 mg $L^{-1}$의 범위로 높은 수질 상태를 나타냈으며, TN, $NH_3-N$, $NO_3-N$, TP와 $PO_4-P$는 각각 평균 4.432 mg $L^{-1}$, 0.069 mg $L^{-1}$, 3.822 mg $L^{-1}$, 0.092 mg $L^{-1}$, 0.071 mg $L^{-1}$으로 비교적 높은 영양염의 농도를 나타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부착 규조류는 총 171종으로 2목 4아목 10과 28속 150종 17변종 2품종 2아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요 우점종은 광적응성종인 Achnan-thes lanceolata, Melosira varians, 호청수성종인 Gomphonema pumilum, 호오탁성종인 Navicula minima, Nitzschia palea 등으로 나타났다. DAIpo와 TDI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 평가에서는 각각 평균 56.0 (보통, C등급), 70.4 (불량, D등급)으로 제주도내 하천의 수생태건강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서남부 하천 하구역의 수질 및 부착돌말 군집 특성 (Water Quality and Epilithic Diatom Community in the Lower Stream near the South Harbor System of Korean Peninsula)

  • 김하경;이민혁;김용재;원두희;황순진;황수옥;김상훈;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46권4호
    • /
    • pp.551-560
    • /
    • 2013
  • 한반도 서남부 하천을 대상으로 2013년 5월(몬순의 영향이 없었던 시기)에 환경요인 및 부착돌말 군집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는 상류에 1개 이상의 댐이나 인공보가 형성된 조절하천(19개 지점)과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조절하천(19개 지점)으로 나누어 수질 및 부착돌말 군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부착돌말 출현특성에 따라 한반도 서남부 하천은 비조절하천(G1), 혼합 형하천(G2), 조절하천(G3) 등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G1은 수질이 양호하고 다양한 부착돌말류가 출현한 반면, G3은 비록 수질은 불량하였으나 부착돌말 현존량이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G2의 경우 조절하천에 비해 수질은 양호하였지만 부착돌말의 종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출현한 부착돌말 우점종은 생태범위가 비교적 넓은 담수와 기수 보편종들로서 G1에서 Nitzschia palea (17%), Navicula seminuloides (11%), G2에서 Nitzschia inconspicua (19%), Navicula perminuta (9%), G3에서 Nitzschia inconspicua (15%), Nitzschia palea (14%)으로 수질환경에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종수의 감소를 가져왔다. 그러나 G2와 G3과 같은 조절하천에서 비록 부착돌말 현존량은 높지 않았으나 부영양 상태(높은 영양염 및 엽록소량 등)를 나타내 하구역의 정확한 수환경 상태파악을 위하여 국내 연안에서 종종 조류발생을 일으킬 수 있는 부유성 돌말류에 대한 조사도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New record of three economic Hypnea species (Gigartinales) in Korea

  • Kang, Pil Joon;Nam, Ki W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11호
    • /
    • pp.31.1-31.7
    • /
    • 2018
  • Three economic marine algae that have been used as food and carrageenan sources were collected from Korea during a survey of marine algal flora. They share the generic features of Hypnea, and three major clades supported by the sectional features were confirmed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L sequences. The first species, which belongs to a species group corresponding to the sect. Spinuligerae, nests in the same clade with Hypnea yamadae in a genetic distance of 0%. It is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an entangled base, subcompressed or subterete to terete axes, somewhat percurrent main axis, irregularly alternately branching with wide angle, and rarely hooked spinous branchlets. The second one is also referred to the sect. Spinuligerae and formed the same clade as Hypnea cenomyce.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both sequences was calculated as 0.0-0.1%, which is considered to be intraspecific. This species is distinct by somewhat entangled thallus at the basal part, percurrent axis, short spine-like branchlets densely covering the axis, and medullary lenticular thickenings. The third alga, which forms a species group corresponding to the sect. Pulvinatae, nests in the same clade as Hypnea nidulans (no intraspecific divergence). It shows occasionally epiphytic habitat rather than epilithic habitat of low mat-forming growth and percurrent erect main axes with dense lateral branchlets.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e three Korean species are identified as H. yamadae, H. cenomyce, and H. nidulan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Hypnea species in Korea.

담수 이매패 말조개가 부영양 하천의 수질 및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on the Water Quality and Periphyton Community in Artificial Eutrophic Streams)

  • 박채홍;이주환;황순진;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43권3호
    • /
    • pp.437-450
    • /
    • 2010
  • 국내산 이매패 말조개가 하천의 수질 및 부착조류 성장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작한 인공수로에 부착기질을 설치하고 패류를 도입한 다음 10일 동안 수질 및 조류 현존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공수로는 아크릴 재질로 유속형성을 위하여 계단식으로 제작하고 부영양호 표층수를 유입하여 일정한 유속으로 통과시켰다. 부착조류 기질로 상용 슬라이드글라스를 패류도입 1주일 전에 각 계단에 40개씩 설치하였다. 패류는 435 ind. $m^{-2}$로 도입하고 10일간 매일 동일한 시간에 수온, pH,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탁도, 광도, 영양염, 그리고 기철 및 수종의 SS, Chl-$\alpha$, 조류 현존량 등을 각각 분석하였다. 말조개 처리는 수종 탁도(60%), SS(62.5%), Chl-$\alpha$(72.2%), TP(23.9%), 용존산소(19.5%) 농도를 감소시킨 반면, 암모니아 농도는 증가시켰다. 패류처리군의 기질 SS(67%)와 Chl-$\alpha$(89.4%)는 뚜렷하게 증가한 반면 수중의 조류 현존량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결국 하천의 패류는 수중 유기물의 효과적인 저감을 통하여 투명도 개선을 유도하고 동시에 배출된 영양염 및 배설물은 부착 조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