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is structur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2초

대추나무 미친병에 관한 연구(II) -엽 유관속구조에 미치는 해부학적 영향에 대해서-

  • 홍순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권2호
    • /
    • pp.29-34
    • /
    • 1960
  • From the view point of phytopathological anatomy, the author has tri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shoot cluster disease virus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vascular tissues of chinese date tree (Ziziphus jujuba var. inermis Rehd.) comparing healthy checks and diseased plants.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at the several sites, Kumgock-Ri, Masuc-Ri, Kyungi-Do, and near the campus of Korea University and around the area of Chongam-Dong, Seoul City, from August 15th to September 5th 1959. The leaf materials of healthy and diseased plants are fixed and aspirated in two kinds of killing solutions, formalin-acetic acid alcohol solution and Craf III solution. Sections were cut at 5-10$\mu$ thickness and stained with the double staining reagents of safranin and fast green. In this experiment the author has observed that there are marked structural changes in the infected plants in contrast of healthy checks. As figures 3-7 show that the following characteric changes have taken place on infected plants: 1) the arrangement of irregularly developed sieve elements in phloem, 2) the degeneration of phloem elements, 3) the irregular arrangement of epidermis in mid-vein, 4) more necrosis is observed among the parenchymatous cells, 5) abundant accumulatin of starch grains in parenchymatous cells, . In contrast to the above irregularities caused by the virus disease, the healthy checks appear normal structures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adding to the all features noted above, the author could also observe an interesting feature that the xylem elements in mid-vein vascular bundle tissues are considerably disorganized to show the unspecialized vessel elements, the irregularly arranged xylem elements. However, this kind of irregularities which occur in xylem under the virus infection has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The features noted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vascular bundle under the condition of infection by the shoot cluster disease on chinese date trees appear to be more or less closely similar to the symptoms of the bunchy-top of banana and the yellow dwarf disease of barley in respect to the fact that whether phloem necrosis takes place as a primary symptom or a secondary symptom. In all these disease, primary histological changes of hypoplasia and hypertrophy are preceeded by the necrosis of phloem.

  • PDF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이 아토피피부염을 유발한 NC/Nga mous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ukmijihwang-tang on Atopic Dermatitis of NC/Nga Mouse)

  • 조재훈;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0-132
    • /
    • 2009
  • Objective : Yukmijihwang-tang is one of the important medicines for blood- deficiency and yin-deficiency. Atopic dermatitis usually shows dampness-heat pattern in its acute stage and blood-deficiency or yin-deficiency pattern in its chronic stage. Therefore, I hypothesized that Yukmijihwang-tang is effective on atopic dermatiti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Yukmijihwang-tang on NC/Nga mice's atopic dermatitis induced by DNCB. Methods : The NC/Nga mice with atopic dermatiti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respectively put on 2.5g(YM-2.5), 5g(YM-5) and 10g(YM-10) of Yukmijihwang-tang extract per their weight once a day for 10 day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fed normal saline. After 10 days, I measured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observed scratching behaviors, conducted a skin biopsy and checked levels of Total IgE, IL-4 and $IFN-\gamma$ on NC/Nga mice. Results : 1. Yukmijihwang-tang significantly suppressed skin dryness. In particular, YM-5 and YM-10 had better skin hydration than YM-2.5. 2. Yukmijihwang-tang significantly suppressed pruritu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3. Yukmijihwang-tang retained skin structure(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4. Yukmijihwang-tang reduced Total IgE level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5. Yukmijihwang-tang did not reduce IL-4(Th2 cytokine) level. 6. Yukmijihwang-tang significantly reduced $IFN-\gamma$(Th1 cytokine) level. In particular, YM-2.5 and YM-5 had lower $IFN-\gamma$ level than YM-10.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Yukmijihwang-tang suppresses skin dryness and pruritus, retains skin structure and is effective on chronic atopic dermatitis which is associated with Th1 cytokines in the immune response.

  • PDF

Studies on Cyt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ymus humidus as Genetic Resources Compared to Common Wheat (Triticum aestivum L.)

  • Ji-Yoon Han;Seong-Wook Kang;Sejin Oh;Yumi Lee;Myoung-Jae Shin;Sukyeung Lee;Seong-Woo C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216-22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lymus humidus on common wheat (Triticum aestivum L. cv. Chinse Spring, CS). The seed length, width, height, and weight of E. humidus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CS. In particular, the germination rate of E. humidus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CS. In the anatomical dissection of the leaf, E. humidus showed a considerably different xylem diameter of the main vascular bundle in the main vei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hloem of the main vascular bundle compared with the xylem and phloem of the main vascular bundle in the main vein of CS, although E. humidus showed a leaf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CS. In addition, E. humidus had a thinner epidermis than that of CS. Regarding stomatal traits, E. humidus showed a graminoid stomata type similar to that of CS. On the adaxial and abaxial sides, the density, length, and width of the stomata in E. humidus were smaller than those in CS, whereas the distance between stomata in E. humidus was greater than that in CS. The chromosomes of E. humidus were classified as long and short based on their respective lengths. Long chromosom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ratio of the long arm to the short arm e.g., 1:1 or 2:1. Short chromosomes showed the same trend and some short chromosomes were microsatellites. To evaluate genetic diversity, 38 barley EST markers with polymorphisms between E. humidus and CS were selected from 236 barley EST markers.

감마선조사 대두의 수분 흡수와 조리특성 및 세포구조 (Water Absorption, Cooking Properties and Cell Structure of Gamma Irradiated Soybeans)

  • 강일준;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96-803
    • /
    • 1996
  • 대두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대두에 0, 5, 10, 20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수분흡수양상, 조리특성 및 세포구조를 관찰하였다. 대두의 수분흡수는 수침온도 및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평형에 이르는 시간이 감소하였으며, $20^{\circ}C수침온도에서$ 5~20 kGy의 감마선조사 대두는 비 조사 대두에 비 해 3~6시간의 수침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대두의 조리정도는 대두 자엽의 최대 절단력으로 나타냈으며, 관능적으로 완전히 익은 대두의 절단력을 145g/g으로 했을 때 5~20 kGy의 감마선조사는 대두의 조리시간을 55~75% 단축시켰다. 대두 표피내면의 세포구조 관찰에서 비조사 대두의 유조직은 주름이 잡힌 치밀한 구조를 나타낸 반면, 감마선조사 대두는 유조직의 느슨함과 변형됨을 보여주었다. 자엽표면 및 그 내부구조도 감마선조사에 의해 구조의 변형을 나타내었다. 특히 자엽세포의 protein body는 감마선조사 선량이 증가됨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20k0y조사 대두는 스파이크형을 나타내었으며, lipid body의 경우도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됨에 따라 그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여 작은 구의 형태로 분해되었다.

  • PDF

바이컨티니어스 큐빅상 액정의 생성과 자기조직화 (Self Assembly and Formation of Bi-continuous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 김인영;최화숙;이소라;최성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78-485
    • /
    • 2014
  • 이 연구는 경표피흡수를 위하여 큐빅액정의 자기조직체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복수 수산기(-OH)를 가지는 친수부에 4개의 메칠 그룹을 가지는 양친매성지질인 diglyceryl phytylacetate (DGPA)를 합성하여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DGPA의 유화력은 1%의 적은 농도에서도 고 내상의 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W/O water-in-oil)에멀젼이 유지되었다. DGPA, dimethicone (2CS), water의 3성분계의 특정영역에서, 안정한 큐빅상의 액정이 형성되었다. 3상 구조도 작성을 통하여 큐빅 액정영역, 헥사고날 영역, 물과 헥사고날이 혼제된 영역, 역미셀 영역을 확인하였고, SAXS (small angled x-ray scattering)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증명하였다. 화장품의 응용으로, 큐보좀 (cubosome)에 10%의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5%의 피리독신트리헥사데카노에이트를 봉입하여 캡슐화하였다. 큐보좀의 occlusive 효과는 역미셀(reverse micelle)보다 1.7배 우수한 효과를 가졌다. 큐보좀을 분산제인 poloxamer를 사용하여 W/O 에멀젼을 만든 것으로부터 큐빅구조의 액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따라서, DGPA의 양친매성지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큐빅상의 액정을 형성하는 기재로써 화장품 산업과 의약품분야에서 경표피흡수제로써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ilapia mossambica의 간흡충에 대한 방어기전 (Defence Mechanism of Java Tilapia, Tilapia mossambica, to Clonorchis sinensis)

  • 이재구;백영기;이호일;양홍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7-327
    • /
    • 1987
  • 틸라피아(Tilapia mossambica)에 대한 간흡충의 제2중간정도로서의 역할 여부를 구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우선 간흡충 유미유충의 틸라피아 치어에 대한 인공감염실험을 수행하여 그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천명한 다음 그 방어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그 체표면 점액으로부터 살충성 물질을 순수분리하여 기기분석을 통하여 그 화학적 구조를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체현미경하에서 틸라피아 치어를 유미유충에 조우를 시도한 바 일반적으로 유미유충은 수분 후에 미부가 체부로부터 분리하기 시작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수가 증가하여 10여분 후에는 $80\%$에 이르렀으나 극히 소수의 유미유충은 어체표면에 부착한 채 체부만이 어체내로 침입하고 미부는 분리되었다. 2. 틸라피아 치어를 실내수조에서 유미유충에 24시간 노출시킨 바 일부 유미유충은 어체내로 침입하였으나 그 대부분이 피낭한 극소수도 4.2 시간 이내에 거의 모두 사감하였다. 3. 틸라피아의 체표면 점액의 에테르 추출물을 여러 단계의 화학적 처리를 거쳐 제3단계에서 분획한 유백색 상청액을 박막크로마토그라휘하여 얻은 2개의 반점물질을 간흡충의 탈낭유충에 in vitro에서 직접 접촉시켜 살충시험을 수행한 바 그 중에서 제1반점인 Rf. 0.2966 값의 물질이 다른 것에 비교하여 살충성의 월등하게 강력하였다. 4. 틸라피아의 체표면 점액의 에테르 유출물 66.50g으로부터 138mg의 살충성 순수물질이 회수되었으며, 그 수율은 $0.2075\%$, 그 정제도는 71배이었다. 5. 순수하게 분리된 살충성물질에 대하여 적외선, 자외선 및 핵자기공명 분광분석을 이용하여 구조확인을 하였던 바 이 물질은 linoleic acid로 판명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보아 틸라피아는 자연계에 있어서 간흡충의 제2중간숙주 역할을 할 수 없으며, 그 체표면 정액내의 살충성물질인 linoleic acid가 그 방제기전에 관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PDF

단감의 품종별 과정부 갈변률과 과육조직의 해부학적 관찰 (Calyx-End Browning in Various Persimmon (Diospyros kaki) Cultivars and Anatomical Observations in Flesh Tissues)

  • 나양기;김월수;박희승;최현석;최경주;이연;이유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9-120
    • /
    • 2011
  • 단감(Diospyros kaki) 저장시 문제되는 과정부 갈변은 품종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감품종의 일반적인 과실의 물성특성을 파악하고, 저장 100일 후에 각 품종의 과육갈변이 세포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단감 품종은 '부유'(Fuyu), '차랑'(Jiro), '상서조생'(Uenishiwase), '대안단감'(Daiandangam), '로-19'(Ro-19)이며 2003년 10월말에 수확해서 저장 100일 후에 조사하였다. 과실의 각 물성의 특성은 품종마다 다양하였고, '차랑'과 '로-19'는 갈변과가 관찰되지 않았고, '대안단감'의 경우 80%에 가까운 과육 갈변과가 나타났다. 과육 갈변과 발생이 많은 품종인 '부유', '상서조생', '대안단감'과, 과육 갈변과가 발생하지 않는 '차랑' 및 '로-19'와의 과피구조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차랑'은 과피층이 외표피층을 포함하여 1~2층으로 형성되어서 갈변이 유도될 만한 세포층 자체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며, '부유'는 과피층이 2~3층으로 갈변이 유도될 만한 세포층을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상과와 갈변과의 전체적인 조직의 구조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못하였으나, 갈변과의 경우 과육 내 소포 소기관이 구별이 되지 못했고, 세포벽의 분해가 진행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Calcium Lactate Treatment after Salting of Chinese Cabbage Improves Firmness and Shelf-life of Kimchi

  • Lee, Myung-Ye;Kim, Soon-D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3호
    • /
    • pp.270-277
    • /
    • 2003
  • In order to enhance the firmness and shelf-life of kimchi, as well as to increase the content of well-absorbed digestible calcium, the effect of calcium lactate (CaL) treatment of salted Chinese cabbage on pH, tit ratable acidity, total microbes, lactic acid bacteria, alcohol insoluble substance (AIS) content, firmness, mineral content and tissue structure were investigated. Treatment with the Cal solution increased pH and decreased titratable acidity, which was more pronounced at higher concentrations. The edible period evaluated by pH was 7~8 days for non-treated kimchi, 10 days for 1 % treated kimchi, 15 days for 2% treated kimchi and 20 days for 3% treated kimchi. Total microbes were reduced, but lactic acid bacteria counts were higher in the treated group. CaL treated kimchi showed higher AIS content and firmer texture, which was more conspicuous in the 2 and 3% CaL treated groups. Calcium content in kimchi fermented for 15 days was 40.75~41.53 mg%, which is 42~45%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sodium content was 23~54% less in the treated groups. The epidermis and vascular bundle tissue of kimchi fermented for 15 day was damaged more severely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treated group. CaL treated kimchi has a crispier taste and the development of sour taste was delayed. Therefore, addition of CaL can produces a kimchi with high calcium as well as superior texture and shelf-life, when adjusting th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periods.

수송 전 Diniconazole과 D-mannitol, D-sorbitol, Wax의 혼용 살포에 따른 접목 선인장 산취의 품질과 표피의 변화 (Quality and Epidermal Changes of Chamaecereus silvestriiafter the Spray of the Mixtures of Diniconazole and D-mannitol, D-sorbitol, Wax before Transportation)

  • 박선미;남상용;이병철;이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4-149
    • /
    • 2011
  • 본 연구는 품질증진제 처리가 산취(Chamaecereus silvestrii) '희망'의 모구품질과 표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생체중은 D-sorbitol 처리구보다 D-mannitol 처리구에서 감소율이 낮아 효과적이었다. Diniconazole 200ppm처리는 산취의 자구생육을 어느 정도(수치화) 억제하여 장기수송(50일)에 더 적합하였으며 자구색의 발현 어느 정도(수치화)에도 효과적이었다. 산취 모구의 표피구조는 비모란에 비해 하피 발달이 저조하고 어느 정도(수치화) 단층이며 세포벽도 얇아 어느 정도(수치화) 수송조건에 불리하였는데 생육의 억제효과가 높은 diniconazole 200ppm + D-mannitol 10,000ppm과 발색효과가 좋은 diniconazole 200ppm + wax 살포가 저장 중의 품질 유지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 피부계의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 (Ultrastructure and Histochemistry on the Integumentary System of the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Teleostei: Pleuronectidae))

  • 이정식;진영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4호
    • /
    • pp.325-331
    • /
    • 2001
  • 돌가자미의 피부 상피층을 다층상피층으로 지지세포, 선세포 그리고 과립세포들로 구성된다. 상피층은 지지세포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표면층, 중간층 및 기저층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지지세포들의 세포질은 피질부와 수질부로 나누어지는데 피질부에는 미세섬유의 발달이 뚜렷하다. 점액세포들은 단세포선으로 상피의 표면층과 중간층에서 관찰된다. 점액세포의 점액물질은 중성이며, carboxylated mucosubstance의 당단백 질로 확인되었다. 곤봉상세포는 세포질에 잘 발달된 활면소포체와 골지체를 가진다. 과립세포는 주로 중간층과 기저층에 존재하고, 세포질은 막을 가진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들이 차지한다. 색소세포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함유물의 전자밀도에 따라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색소세포 근처에서 신경종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