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is structur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9초

인삼의 잎에서 유기된 Callus의 미세구조 (The Fine Structure of Callus Derived from Panax ginseng Leaves)

  • 박홍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9권4호
    • /
    • pp.100-106
    • /
    • 1976
  • The fine structure of the callus induced from epidermis of Panax ginseng leaves cultured on Murashige & Skoog medium plus kinetin 0.1mg/l, NAA 0.2mg/l and 2.4-D 0.5mg/l was observed. The cells composing callus tissue are mononucleus. Three types of cells were identified; cells with abundant cytoplasm, cells with relatively differentiated vacuoles and with numerous starch grains in the plastids and ones with highly differentiated vacuoles and with unsaturated lipid granules. Prolamellar body, plastid lamellae, plastid globules, stromacenter, fine tubules, crystal-containing body and DNA-like structures were observed in the stroma of the plastids. The chromoplasts were identified in some cells believed as the mother cells of secretory cells in secretory ducts. Curved or straight micro-fibrils of 100~150A in diameter were observed in the cytopla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cell organelles and cell inclusions and the vacuole formation in callus tissues were discussed.

  • PDF

건식부착물 제작에 대한 개관 (Survey of the Fabrication of Dry Adhesive Structures)

  • 조영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2호
    • /
    • pp.112-115
    • /
    • 2009
  •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명체 중 몇몇은 벽이나 천장을 자유자재로 걸어다니거나 뛰어다닌다. 이러한 생명체 중 대표적으로 Tokay Gecko는 그 발가락 표피에 수십억개의 주걱모양의 나노헤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나노헤어는 부착하고자 하는 표면과의 원자수준의 끌어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 힘을 이용해 접착제 없이 부착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최근 $7{\sim}8$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이를 모방한 건식부착물의 제작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의 개관을 통해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Stomata in the Leaves of Some Zingiberaceae

  • Nyawuame, H.G.K.;Gill, L.S.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69-172
    • /
    • 1990
  • The epidermal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stomata in four taxa of Zingiberaceae viz: Aframomum melegueta K. Schum, Aframomum sceptrum K. Schum, Curcuma longa L. and Zingiber officinale Rosc. have been investigated. Unicellular, eglandular trichomes are observed on the epidermis of A. sceptrum and Z. officienal. Anomocytic stomata with agenous ontogeny, paracitic stomata with eumesogenous ontogeny and tetracytic stomata with mesoperigenous ontogency are recorded in Z. officinale, Aframomum species and C. longa respectively. Stomata of Z. officinale are the smallest in size (20.6$\times$14.3$\times$10.5${\mu}{\textrm}{m}$) while those of C. longa are the largest (42.5$\times$31.5$\times$20.2${\mu}{\textrm}{m}$). These two taxa also recorded the highest (43.7/mm2) and lowest (28.6/mm2) stomatal frequency respectively which suggests a linear regression of frequency on size.

  • PDF

과실생육시기별 '유명' 복숭아의 과실조직 발달과 당 변화 (Changes of Fruit Structure and Sugar Contents during the Fruit Growth and Development in 'Yumyeong'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 조명동;박희승;김용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53-359
    • /
    • 2000
  • 유명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중적인 복숭아 품종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복숭아 유명 품종의 과실 생장과 발달과정에서의 세포 및 조직의 발달과 내부물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개화기의 유명복숭아는 2열로 형성된 유관속 조직을 가지고 있었으나 과실이 발달하는 동안 내부유관속은 일정한 수와 위치를 유지하는데 반하여 과육조직에서는 유관속조직 수가 계속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하게 분포하였다. 개화기에는 건전하게 보이는 2개의 배주를 가지고 있었으나 내주피와 외주피의 구분을 할 수가 없었으며 하나의 주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주피와 내부유관속 사이의 세포들은 과실 발달 중에 다른 유조직 세포들과는 다른 발달 양상을 보여 타닌을 계속 함유하고 있는 작고 조밀한 세포들이 밀집하는 것으로 나타나 복숭아의 핵은 내표피를 포함하여 내부유관속 사이의 세포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개기에 1층의 세포들로 이루어졌던 outer epidermis는 만개후 14일에는 수평방향으로의 세포분열에 의해 1~2층으로 형성되었으며 만개후 30일에는 수직방향으로의 세포분열에 의해 5~6개 층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outer epidermis를 구성하는 세포층 수는 점차 감소하여 성숙기에는 1~2층으로 구성되었으며 epidermis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관찰한 결과 복숭아 과실의 hypodermis 층을 구성하는 세포의 일부는 outer epidermis의 세포들로부터 유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개후 35일경부터 유관속조직에서 틸로시스가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틸로시스는 성숙기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당조성은 유과기에는 포도당과 과당이 많았다가 수확기에는 자당이 증가하였다. 자당은 만개후 50일부터 만개후 120일까지 급격하게 증가한 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당은 경핵기가 끝난 직후인 만개후 80일 이후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만풍배'의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The Characteristics of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Fruit Developmental Stage of Pyrus pyrifolia Nakai cv. Manpungbae)

  • 박지은;권용희;이별하나;박요섭;정명희;최진호;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4
    • /
    • 2013
  • 본 연구는 '만풍배'의 생육단계 및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의 해부학적 차이를 알아보고, 수확기 과실의 품질 및 착색특성 관찰을 통하여 '만풍배'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만개기의 과실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표피층을 이루는 세포 층수는 만개기부터 만개 후 77일까지 9-13층까지 최대로 증가하여 '만풍배'의 세포 분열 기간은 만개 후 77일까지로 조사되었다. 이 기간 동안 아표피층에서 유관속조직까지의 두께는 $73.1{\mu}m$부터 $195{\mu}m$까지 증가하였다. 석세포는 만개 후 7일부터 관찰되어 만개 후 49일에는 석세포군이 형성되어 있었다. 코르크층은 만개 후 49-77일 사이에 형성되었다. 성숙기인 만개 후 161일 '만풍배' 과실의 과피는 바깥쪽부터 코르크층은 4.5층, 아표피층은 7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아표피층에는 탄닌이 분포해 있었다. '만풍배'의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비대 및 조직발달을 비교한 결과, 괘대 초기에는 코르크층이 유대재배구에서 더 빨리 생겨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성숙기에는 3층 정도 무대재배구에서 더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석세포군의 크기는 두 실험구 모두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과중은 무대재배구에서 더 높았으나 수확기의 당도는 괘대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풍배'의 수확기 과중 등급은 301g부터 900g 이상까지 분포하였고, 그 중 551-800g의 과실이 총 수확량의 71.6%로 가장 많았으며 이 범위의 평균 과중은 677.2g이었다. 과실품질은 가용성 고형물 함량 $10.1-12.1^{\circ}Brix$, 산도 0.10-1.24%, 당산비 9.76-14.31로 분포하였으며 과중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 크기가 클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도 높았다. 반면에 경도는 과중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크기가 클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황갈색 부분과 녹색 부분을 구분하여 코르크층 수와 함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코르크층은 황갈색 부분은 3.8층, 녹색부분은 3.5층으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록소 함량은 녹색부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초액 처리가 인삼 잎 조직 및 지하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yroligneous Acid on Leaf Tissue and Root Growth of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 성봉재;한승호;김선익;김현호;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97-100
    • /
    • 2014
  • 목초액을 친환경 인삼재배에 이용하기 위하여 전엽기 이후인 6월 중순부터 지상부에 엽면시비로 살포하여 3년생 인삼 잎의 형태적특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초액을 처리하면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해면조직의 배열이 3층에서 4층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인삼 잎의 상표피와 하표피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엽육세포도 두꺼워지는 효과를 보였으며 지하부의 생육에도 영향을 미쳐 무처리에 비해 뿌리의 생육이 증진되었으며 인삼 뿌리의 수량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목초액의 혼합사용은 인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병해를 극복하여 인삼을 친환경재배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한국산 퉁가리과 (Amblycipitidge) 어류 2종 수염의 조직 학적 구조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Barbels of Liobagrus andersoni and L. obesus (Amblycipitidae: Pices) from Korea)

  • 박인석;설동원;임수연;김치홍;강언종;공용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8-343
    • /
    • 2006
  •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barbel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are reported.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Liobagrus andersoni) and Korean torrent catfish (L. obesus) have eight obvious barbels in two pairs each on the maxilla and mandible. Each barbel is composed of an epidermis, dermis, and central cartilagerod. The epidermi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barbels of the bullhead torrent catfish is thicker than that of the Korean torrent catfish (P<0.05) and is formed of stratified epithelium that contains many cutaneous taste buds and a few small club cells. There are many taste buds on the upper part of each barbel. The dermis consists of loose connective tissue fibers that enclose blood vessels and bundles of nerve fibers. The barbels of these fish can be categorized into stiff and flexible types and are accessory, feeding, and sensory structures. Our results validate the barbels as gustatory receptor organs for these fishes.

뚝지, Aptocyclus ventricosus 피부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Integument of the Smooth Lumpsucker, Aptocyclus ventricosus (Pallas, 1769) (Teleostei: Cyclopteridae))

  • 전미애;김혜진;박정준;김재원;이정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7-155
    • /
    • 2016
  • This study describes the cell type, ultrastructure and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research on integument of the smooth lumpsucker, Aptocyclus ventricosus in accordance with the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nges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SEM revealed the presence of well-developed finger printing structure in the skin surface. The skin surface of the smooth lumpsucker showed an irregular folds in cross section of light microscope. Integument is composed of outer epidermal and inner dermal layer. The epidermal layer is a stratified layer composed of epithelial cells, mucous cells, vacuolar cells, and granular cells. Epithelial cells are classified into superficial, intermediated, and basal cell. The superficial cells were the squamous with well-developed microridges on the free surface, and the microridges were covered with glycocalyx. The mucous cells of unicellular gland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apical layer of epidermis and contained mucosal materials of neutral glycoprotein. The vacuolar cells of unicellular gland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mid and basal layer of epidermis. The proportion of mucous cells and vacuolar cells were $7.0({\pm}1.07)%$ and $40.6({\pm}3.31)%$ of epidermal area, respectively. The granular cells contained membrane bounded secretory granules with high electron density and developed cell organelles in the cytoplasm. The dermal layer was loose connective tissue layer and composed of mainly collagen fibers. It also contained blood vessels and chromatophores of melanophores and reflecting platelets.

적뢰 및 적과에 따른 사과 '후지' 과실의 조직 발달 (Thinning Stage on the Development of Fruit Structure in 'Fuji' Apples)

  • 박지영;박희승;김용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73-377
    • /
    • 2000
  • 본 연구는 'Fuji' 사과에 대한 적과시기의 조만(早晩)이 세포분열 또는 세포비대에 의한 과실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현미경 검경 결과 세포분열 시기는 적뢰, 적화 및 적과 처리에 관계없이 약 4~5주간 지속되었으며 유과기에 epidermis로부터 7~9개의 세포층에서 발견되던 유관속 조직은 세포분열기 이후 14~19층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반면에 epidermis에서 유관속 조직까지의 거리는 적뢰 처리구가 가장 길었으며, 적과 처리구 및 무처리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실 비대는 세포 분열보다는 세포 비대에 의하여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적과 시기가 빠를수록 과실 비대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과시기와 전분립과 탄닌 함량 변화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자외선 조사에 의한 Hairless Mouse 피부구조 변화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 Study on the Changes of Skin Structure of Hairless Mouse by Ultraviolet Irradiation)

  • 송선영;윤중식;정민주;정경아;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2호
    • /
    • pp.127-137
    • /
    • 1998
  • This study was observed of the skin that changed after irradiation of the ultraviolet A. All the mouse were hairless which the weight are about 25g and the ages $6\sim8$ weeks old. The mous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control, irradiated for 6 hours, 3 days, 7 days, 14 days, 21 days and 28 days. Each group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that is $320nm\sim366nm$ of wavelengths. After irradiated, the skin was observed with the electron microscope and the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are as follow: 1) Light microscopy With following irradiation, the epidermis was not changed to most groups but at the 28 days group was thickened and deposit the melanocyte. The elastic fibers within the epidermis were thickened and twisted with following irradiation. 2) Eelectron microscopy The elastic fibers were slightly clumped at 6 hours group, mildly increased and partly aggregated in the 3 days group, branched and tangled at 7 days group, irregulated and electron density at 14 days group, sightly thickened and twisted at 21 days group, and randomly arranged, shortened, twisted, and electron density at 28 days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