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is structur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n the Epidermal Structure and Mucosubstance Histochemistry of Spotty Belly, Devil Stinger, Stone Fish, Cubed Snailfish, and Japanese Bluefish

  • Jeong, Gil-Nam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2호
    • /
    • pp.85-91
    • /
    • 2008
  • Structure and mucosubstance histochemistry in the epidermis of five teleostean species, i. e., spotty belly, Agrammus agrammus, devil stinger, Inimicus japonicus, stone fish, Erosa erosa, cubed snailfish, Liparis tessellatus, and Japanese bluefish, Scombrops boops were investigated. The epidermis of five species studied is composed of three layers: superficial, middle, and basal layer. The superficial layer is comprised of rather flattened cells. Mucous cells, the type commonly found in fishes are completely lacking in the epidermis of devil stinger, stone fish, and cubed snailfish. The epidermis of devil stinger and stone fish have multicellular glands which do not have mucosubstances. The skin surface of them is covered with mucous layer. The superficial cells in the epidermis of devil stinger, stone fish, and cubed snailfish are mucus-secreting cells. The 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the mucosubstances vary in species and body regions. The mucous layer on the skin surface and superficial epidermal cells of devil stinger contain a mixture of neutral and acidic(sulfated and nonsulfated) mucosubstances. In stone fish, the mucous layer has acidic(sulfated and non-sulfated) mucin and the superficial epidermal cells contain neutral mucin. In cubed snailfish, the type of epidermal mucosubstances is identified as a mixture of neutral and acidic(non-sulfated) mucin. The mucous cells of the epidermis in spotty belly and Japanese bluefish contain neutral mucin.

Histology of Skin of the Amphibious Fish, Periophthalmus modestus

  • Park, Jong-Young;Kim, Ik-Soo;Kim, So-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4호
    • /
    • pp.315-318
    • /
    • 2000
  • Structure of the skin in amphibious fish, Periophthalmus modestus, was described in relation to cutaneous respiration. The epidermis has no gland cell. The epidermis consists of three regions: outermost layer of one to five layers of flattened epithelial cells, middle layer of swollen epithelial cells instead of glandular cells and stratum germinativum of cuboidal cells. There are numerous blood capillaries 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epidermis and diffusion distance between the blood of capillaries and the epidermis is about 1.4 Um. The middle layer of the epidermis appears to be a web-like structure due to the swollen epithelial cells. The stratum germinativum has a well-developed lymphatic space containing lymphocytes. There are numerous blood capillaries and elliptical area with acid mucopolysaccharides in stratum laxum of the dermis. The skin of Periophthalmus modestus may be an accessory respiratory organ for oxygen uptake during terrestrial or aquatic life.

  • PDF

Histological study on the skin structure in two mudskippers, Periophthalmus waltoni and Boleophthalmus dussumieri in relation to their terrestrial life

  • Mehran Dorostghoal;Ashraf Jazayeri;Sara Ashiri
    • Applied Microscopy
    • /
    • 제52권
    • /
    • pp.13.1-13.6
    • /
    • 2022
  • Microscopic structure of skin in two amphibious mudskipper fish; Boleophthalmus dussumieri Valenciennes, 1837 (B. dussumeri) and Periophthalmus waltoni Koumans, 1941 (P. waltoni)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ir lifestyle. The general structure of skin is the same among the two species. Epidermis in B. dussumeri was thicker significantly than P. waltoni. The dermal bulges were only well developed in the skin of B. dussumeri. Mucous cells were absent in the epidermis of P. waltoni but present in B. dussumeri. Both B. dussumeri and P. waltoni have well-developed swollen middle cells as a shared epidermal feature. The thickness of the middle cell layer of the epidermis in B. dussumeri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P. waltoni. Capillaries in the dorsal and ventral parts of the body are more closely distributed to the epidermal surface in P. waltoni than in B. dussumeri. The diffusion distance in the dorsal epidermis of P. waltoni was less than that in the ventral epidermis of B. dussumeri.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skin of mudskipper species suggests that, due to the more terrestrial lifestyle adopted by P. waltoni, the skin contributes more to respiration.

Habitats and Air Uptake Based on Analysis of Skin Structure of Two Korean Bullheads, Pseudobagrus brevicorpus and P. koreanus (Pisces; Bagridae}

  • Park, Jong-Young;Kim, Chi-Ho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155-160
    • /
    • 2007
  • The skin of the Korean bullheads, Pseudobagrus brevicorpus and P. koreanus, is composed of epidermis, dermis and subcutis. The epidermis has three layers, the outermost layer, middle layer and stratum germinativum. The epidermis consists of two types of gland cells, an unicellular mucous cell of sulfomucin and a large club cell having sometimes two nuclei. The epidermis has numerous intraepithelial blood vessels in P. brevicorpus but not at all in P. koreanus. Lymphatic spaces containing lymphocytes are well developed in mainly the stratum germinativum. The dermis lacks scales and consists mostly of bundles of coarse collagen fibers. The collagen bundle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dorsum and lateral region toward the dorsum, but vertically at intervals in the abdomen and lateral region toward the abdomen. Considering this unique skin structure, the two species are likely to exercise cutaneous respiration as a dual respiratory system to overcome hypoxic conditions which frequently occurs in their habitats.

이형질적 이중구조로 분석한 피부에서의 클로니딘 투과기전 (Mechanism of Clonidine Permeation through Skin Based on Heterogeneous Structure)

  • 변영로;김영하;정서영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9권1호
    • /
    • pp.39-46
    • /
    • 1989
  • The clonidine transport mechanism through the skin was investigated with assumptions that epidermis is heterogeneous and two-layer membrane. Immobilization of clonidine was not found in stratum corneum but in viable epidermis. The sorption in the viable epidermis agreed with the dual sorption theory. Diffusion coefficient in stratum corneum was five order magnitude less than that in viable epidermis. In viable epidermis, the ratio of true diffusivity to apparent diffusivity increased initially then decreased as a function of clonidine concentration, and the true diffusivity was always larger than the apparent diffusivity.

  • PDF

한국의 메기과 (Siluridae) 어류 2종의 상악 수염의 조직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Mandibular Barbels of Two Species of Catfish (Siluridae) from Korea)

  • 박인석;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42
    • /
    • 2005
  • 한국의 메기과 (Siluridae) 어류의 수염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메기, Silurus asotus의 상악 수염은 연골성 중축을 감싸는 진피와 표피로 구성 되었다. 표피층에는 점액세포, 과립형세포 및 미뢰가 있었다. 세포질이 약한 호염기성을 보이는 점액세포와 호염기성을 보이는 미뢰는 각각 표피의 표면과 표피 말단 부위에 위치 하였다. 표피와 진피는 기저막으로 구분되며 진피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 되었으며 신경세포와 혈관이 내재하고 있었다. 수염의 가장 내부에 연골성 중축이 존재 하였으며 근육층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미유기, S.microdorsalis의 상악 수염 구조는 메기의 상악 수염 구조와 비교시 별다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상악 상부와 하부에서의 표피 % 두께 및 상악 상부와 중부에서의 미뢰 수에 있어 미유기는 메기에 비해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메기와 미유기의 상악 수염은 딱딱하고 굴절성형(stiff and flexible type)으로 파악 되었다.

Histology and Morphometries of the Epidermis of the Fins and Sucking Disc of the Mudskipper, Periophthalmus modestus (Pisces, Gobiidae)

  • Park, Jong-Young;Kim, Ik-Soo;Lee, Yong-Joo;Kim, So-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2호
    • /
    • pp.111-115
    • /
    • 2004
  • The epidermis of the mudskipper, Periophthalmus modestus, consists of three layers- the outermost layer, middle layer and stratum germinativum. Extensive fine blood capillaries are present near the superficial layer of epidermis and outermost layer in five fins and a sucking disc. The diffusion distance between the vascular capillaries and the surface of epidermis ranged from 3.6 to 10.9${\mu}$m: 3.6 ${\mu}$m in the sucking disc, 10.9 ${\mu}$m in the anal fin and 4.6 to 5.0 ${\mu}$m in the two dorsal fins. Rate of the surface area of respiratory epithelium, the surface area of the fine blood capillaries occupied per surface area of epidermis in 0.1mm, is 3.7 to 4.4% in two dorsal fins and 1.1% in the anal fin. The middle layer is simpler in structure consisting of small or voluminous cells swollen by epidermal cells, and this layer appeared web-like. Well-developed lymphatic spaces containing lymphocytes existed in the stratum germinativum. The five fins and sucking disc had no epidermal glands.

접시꽃 (Althaea rosea) 엽육표피에서의 모용의 분화 발달 (Trichome Type and Development in Leaves of Althaea rosea)

  • 김인선;이승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2호
    • /
    • pp.97-104
    • /
    • 2005
  • 표피조직은 비교적 분화되지 않은 기본 표피세포와 식물에 따라 특수하게 분화되어 형태와 기능이 매우 다른 여러 이형세포로 발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용으로 활용되는 접시꽃 (Althaea rosea)의 엽육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모용에 대하여 이들 모용 유형에 따른 분화 발달 양상을 주사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하였다. 접시꽃 엽육 표피상에 발달하는 모용은 크게 단모(simple hairs), 총생모 (non-grandular tufted hairs)와 분비모 (peltate glandular hairs)로 대별되는데, 총생모는 상, 하피 및 하피의 엽맥을 따라 특히 더 발달하는 장상의 총생모 (longtufted hairs, ${\sim}1000{\mu}m,\;2{\sim}10$ branchlet)와 상, 하피 및 하피의 엽신에 더 밀생 분포하는 단상의 총생모 (shorttufted hairs, ${\sim}210{\mu}m,\;2{\sim}7$ branchlet)로 나뉘어진다. 장상의 총생모는 단순모로부터 시작하여 10개까지 분지되며, 분화 초기에는 비교적 일정한 방향으로 분지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분비모는 $1{\sim}2$개의 두정세포(head cell, 직경 $20{\sim}35{\mu}m$), 2개의 자루세포(stalk cell, 길이 $10{\sim}15{\mu}m$), 기저세포 (basal cell)로 이루어진다. 또한, 엽신 전체에 발달하는 총생모와는 달리 분비모는 특히 표피면에서 함몰된 망목극(areole)을 따라 분포한다. 이들 모용 중 총생모는 엽육 표피의 보호 및 방어기능을 주로 수행할 것으로 추측되며, 분비모는 두정세포 내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유용한 이차대사 물질을 분비하는 기능과 보호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모용은 분비기능이 활발한 식물에서 유용한 이차대사 화합물을 생성, 축적하고 분비하는데 중추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들에 대한 세포수준에서의 연구 및 분비되는 유용한 물질에 대한 연구는 구조적 정보 및 적응을 위한 방어기작 규명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사과 '후지' 과실의 조직 발달 (Development of Fruit Structure in 'Fuji' Apples)

  • 박희승;박지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68-372
    • /
    • 2000
  • 만개기로부터 성숙기까지 사과의 과실구조에 대하여 1997년부터 1998년도 사이에 연속적으로 관찰하고 과실발달에 미치는 적과처리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개기를 기준으로 세포분열은 약 4~5주간 지속되고 만개후 65일경부터 epidermis와 hypodermis로 구성된 과피의 구별이 가능하였으며, 과피를 구성하는 세포의 수는 이 시기부터 성숙기까지 같았다. 사과 과실의 유관속조직은 중앙심피유관속, 측부심피유관속, 화판유관속, 악편유관속 등이 알려졌으나 그외에 hypodermis의 경계부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과실의 외부를 두르고 있는 외부유관속과 심실의 주변을 둘러싼 내부유관속이 새로 발견되었다. 개화기의 내부 epidermis에서는 기공이 보이다가 수일 내에 사라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성숙기 '후지' 과실의 과피는 epidermis를 포함하여 약 7~9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고 $100{\sim}120{\mu}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과피 부분에도 상당히 큰 세포간극들이 나타나 과실조직이 치밀하지 못한 특성을 보여 주었다. 개화기에는 발견되지 않던 탄닌의 경우 만개 후 약 30일이 지나면서 epidermis와 hypodermis 층에 주로 형성되기 시작하나 100일 정도가 지나면 epidermis 층의 탄닌이 완전히 사라졌으며 만개후 160일경에는 다시 형성되었음이 관찰되었다. 과실이 발달하는 동안 전분립은 만개기부터 세포분열 기간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후 특히 과육부위에 많이 형성되었다가 성숙기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어류의 공기호흡 기관 (Modified Organs of Air Breathing Fishes in Korea)

  • 김치홍;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0-254
    • /
    • 2011
  • 한국의 담수어류 중 짱뚱어, 큰볏말뚝말둥어, 말뚝망둥어, 미꾸리, 미꾸라지, 자가사리 등 모두 6종에서 공기로 호흡하기 위해 변형된 부속기관이 알려져 있다. 짱뚱어, 큰볏말뚝말망둥어, 말뚝망둥어, 자가사리 4종은 부족한 산소를 공기로부터 흡입하기 위해 호흡상피 (respiratory epithelium)를 갖는다. 이러한 호흡상피는 풍부한 모세혈관과 2종류의 선세포(점액세포와 곤봉세포-자가사리, 점액세포와 거대세포-짱뚱어) 또는 1종류의 선세포로 구성된 팽대세포 (말뚝망둥어와 큰볏말뚝망둥어)를 갖는다. 특히 거대세포 (swollen cell)는 상피세포의 팽대로 인해 형성된 거미줄 구조 (web-like structure)를 갖고 있다. 또한 짱뚱어의 진피성돌기 (dermal bulge)는 진피성 모세혈관이 매우 풍부하며, 지느러미 등의 부속지를 제외한 피부에 존재한다. 또한 미꾸리와 미꾸라지는 장 상피 (intestinal epithelium)에 모세혈관이 아주 풍부하게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