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y in Education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19초

Performance of Mature and Matriculation Entry Students Studying Towards the National Diploma in Building at the University of Johannesburg, South Africa

  • Wellington Didibhuku Thwala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647-652
    • /
    • 2011
  • Developments in the teaching of the National Diploma in Building students should be geared towards meeting the need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South Africa. These needs are usually in the form of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to resolve thorny issues encountered in practice. The lack of capac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needs to be addressed from the basis of ensuring that the education system caters for both mature entry and matriculation entry students. The paper looks at a comparison in performance between mature entry and matriculation (just finish High School) entry students focusing on the National Diploma in Building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Johannesburg. The paper will make a comparison between those students who work first before enrolling for their first year National Diploma in Building and those who are directly from high school. Cooperative education involves training and systematically developing students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requisite skills, attitudes, values and knowledge required to adequately perform in their chosen careers. The paper describes the problems and experiences that have been encountered by both mature and matriculation entry students in their three years of study which affects their performance. The paper will then look at the value of prior experience in enabling students to finish their National Diploma in Building within a three year period. The paper closes with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 PDF

The Effects of Augmented Position and Keyboard Layout on Korean Text Entry in XR

  • Su Young Kim;Yoon Sang Kim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59-469
    • /
    • 2024
  • Optimizing text entry in extended reality (XR) is important.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inputting alphabetic characters, so there is still insufficient research o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s a follow-up to our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s of keyboard layout and augmented position on Korean text entry in the XR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virtual keyboard environment using the representative Korean keyboard layout "Du-Beol-Sik" across three augmented positions: mid-air, physical planar surface, and palmar surface. After conducting an experiment, we analyzed the effects of keyboard layout and augmented position on text entry by comparing the results of our previous research (the effect of augmented position on text entry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keyboard layout 'Chon-Ji-In').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virtual keyboard performed the best overall when augmented in mid-air regardless of the keyboard layou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keyboard layout had little effect on text entry. Based on detailed analyses, we suggest directions for providing a virtual keyboard for Korean text entries in the future.

엔트리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협력적 이야기 생성하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Collaborative Story Creation Activities Using the Entry Programming Language)

  • 서현석;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51-66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엔트리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협력적 이야기 생성하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교육대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약 3주간 강의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SW교육 역량과 이야기 생성 능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 소양 능력이나 컴퓨팅 사고력, 학습자 역량 등 학생들의 SW 교육 역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이야기 생성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생들은 글쓰기와 함께 엔트리 프로그래밍 언어를 동시에 배워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꼈지만, 점차 이야기 생성하기 활동에 대한 흥미가 생겼으며, 융합 활동 과제가 여러 측면에서 유용했음이 파악되었다. 향후 학생의 교과 역량뿐만 아니라 SW교육 역량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엔트리 교육 활동과 함께 다양한 교과 연계 활동이 필요하다.

엔트리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초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개발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AI Education Contents using Entry Text Model Learning)

  • 김병조;김현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65-7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엔트리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해서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다. 초·중등 인공지능 내용 체계표를 바탕으로 실과 소프트웨어 교육과 인공지능 교육의 성취 기준을 재구성한다. 기계학습이 가능한 텍스트, 이미지, 소리 중에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원하고 초등학생의 데이터 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손쉽게 이해가 가능한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감정 인식 프로그램 제작'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한다. 엔트리 인공지능을 교육 플랫폼으로 선정해서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감정인식 프로그램을 만드는 인공지능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실제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한다. 수업 적용 결과 엔트리 인공지능 수업에 긍정적인 반응과 흥미를 보였다.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양적 연구가 후속 연구로 필요함을 제언한다.

Impact of Entry-Level Mathematics Subject-matter Knowledge on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and their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 Performance

  • Wong, Tak-Wah;Lai, Yiu-Ch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51-66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entry level of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on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 The sample consisted of 24 mathematics student teachers, 12 of whom passed A-Level mathematics and 12 of whom only passed O-level mathematics. They were all studying in a 4-year bachelor of education (Honours/Primary) programme; they were either majoring or minoring in mathematics.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entry-level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is not related to their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or their mathematics teaching performance. These findings may lead society to consider whether student teachers who have passed O-level mathematics are already eligible to be trained as professional primary mathematics teachers. As a consequence, this study raises the issues of how to develop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hether we need to restructure our bachelor of education (Primary) programmes' curriculum in teacher professionalism.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블록 코딩 및 피지컬 컴퓨팅 교육 사례 (A Case Study on Block Coding and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for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 한규정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307-317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의 예비교사들에 대한 블록 코딩과 피지컬 컴퓨팅의 교육 사례이다. 학생들은 블록 코딩을 지원하는 '엔트리'를 통해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코딩에 대한 친숙함을 느꼈으며 코딩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학생들은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다양한 입·출력 장치로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사물을 제어하였고, 교육용 포트폴리오를 제작을 통해 코딩에서의 문제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등의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하였다. 적용된 교육 방법으로는 몰입기반 프로그래밍과 짝 프로그래밍이고,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결과, 학생들은 엔트리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잘 이해하였고 엔트리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혼합하여 학습한 것이 엔트리 단독의 코딩학습보다 효과가 더 좋았다는 응답을 하였다. 또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 학습에서 적용한 짝 프로그래밍의 효과가 좋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Satisfaction of Entry-Level Firefighters)

  • 채진;고기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80-88
    • /
    • 2014
  • 본 연구는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과정에 참여한 예비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해 그들의 교육만족 요소 중에서 어떤 요소가 교육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수, 교수-교육생 관계, 교육생 동료관계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신임소방공무원 교육의 전이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야 하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육생과 교수와 상호 공감할 수 있도록 감성 교육을 활성화하고, 교수는 전문성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정진해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엔트리를 활용한 초등 데이터 과학 교육 사례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Education Examples for Data Science using Entry)

  • 허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473-481
    • /
    • 2020
  • 데이터과학은 스몰데이터 분석에서 출발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머신러닝, 딥러닝까지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과학은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 영역이고, 학교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반영해야 할 내용이다. 데이터과학 교육을 위해, 엔트리에서도 초등교육용 데이터 분석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에서는 데이터 표본을 추출하여, 통계학적인 추측과 판단을 통해 분석결과를 해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학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영역을 초등영역에서 제외하기로 하고, 초등영역에 초점을 맞춘 데이터과학 교육 사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인 데이터과학 교육 단계를 먼저 설명하고, 초등 데이터과학 교육 단계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그리고 엔트리에서 제공하는 공공 스몰 데이터를 사용한 데이터 변수 값 비교 사례와 데이터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사례를 초등 데이터과학 교육 단계에 따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엔트리 데이터분석 사례들을 활용하면, 여러 교과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사용한 초등 데이터과학 융합 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엔트리를 사용하여 텍스트, 음성 및 영상인식 AI 도구와 결합한 데이터과학 교육 자료도 개발 가능하다.

초등학교에서의 엔트리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 사례 (A Case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using Entry in Elementary School)

  • 한규정;안형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197-206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엔트리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융합교육 사례이다. 교과는 영어이며 그림을 그리는 미술과와의 융합 활동과 엔트리의 인공지능모델중 이미지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영어과의 말하기 및 쓰기 교육의 학습목표에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미술과와 SW를 융합하여 수업을 설계하였다. 학생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사소통을 경험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며, 듣고 말하는 표현뿐만 아니라 그림이나 사진 등 다양한 매체로 표현하며 창의성과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에게 설문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수업 참여율, 수업이후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정도,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 인공지능 수업 만족도 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엔트리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예비교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ntry programming course on the flow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 한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03-413
    • /
    • 2017
  • 본 논문은 몰입기반 학습 요소를 갖는 엔트리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학습 몰입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으로 그전에 코딩을 경험하지 않았던 학생들이며 총 3개월동안 주당 2시간의 프로그래밍 학습을 시행하였다. 학습의 교재로는 엔트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와 초급과정의 엔트리 학습 교재를 활용하였다. 교수 학습과정은 명확한 목표제시, 동기유발, 따라 하기 및 빠른 피드백, 응용문제 제공, 학생들의 반추 시간 제공 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총9가지의 몰입요소를 실험전과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7가지 요소인 도전-기술 균형, 구체적 피드백, 행동-지각 일치, 과제 집중, 통제감, 자의식 상실, 자기 목적적 경험 등이 유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