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coccus avium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Characterization of a Glutamate Decarboxylase (GAD) from Enterococcus avium M5 Isolated from Jeotgal, a Korean Fermented Seafood

  • Lee, Kang Wook;Shim, Jae Min;Yao, Zhuang;Kim, Jeong A;Kim, Hyun-Jin;Kim, Je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7호
    • /
    • pp.1216-1222
    • /
    • 2017
  • To develop starters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s or materials,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were screened from jeotgals, Korean fermented seafoods. One isolate producing a high amount of GABA from monosodium $\text\tiny{L}$-glutamate (MSG) was identified as Enterococcus avium by 16S rRNA gene sequencing. E. avium M5 produced $18.47{\pm}1.26mg/ml$ GABA when incubated for 48 h at $37^{\circ}C$ in MRS broth with MSG (3% (w/v)). A gadB gene encoding glutamate decarboxylase (GAD) was cloned and overexpressed in E. coli BL21 (DE3) using the pET26b (+) expression vector. Recombinant GAD was purified through a Ni-NTA column and the size was estimated to be 53 kDa by SDS-PAGE. Maximum GAD activity was observed at pH 4.5 and $55^{\circ}C$and the activity was dependent on pyridoxal 5'-phosphate. The $K_m$ and $V_{max}$ values of GAD were $3.26{\pm}0.21mM$ and $0.0120{\pm}0.0001mM/min$, respectively, when MSG was used as a substrate. Enterococcus avium M5 secretes a lot of GABA when grown on MRS with MSG, and the strain is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foods containing a high amount of GABA.

장구균 검출 배지 개발 (Development of selective media for Enterococci)

  • 장동호;윤준범;이근헌;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5-31
    • /
    • 2016
  • 분변오염의 지표가 되는 장구균을 검출하기 위하여 장구균 선택 배지를 개발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여러 장구균 검출배지 중 총 9종류(Enterococci Confirmatory agar, Azide dextrose agar, Bromocresol-purple azide agar, Esculin bile agar, Citrate azide tween carbonate agar, KF Streptococcus agar, BROLACIN agar, Kanamycin esculin azide agar, Membrane filter Enterococcus selective agar)의 배지를 선별하였고, 배지 성분을 적절히 조합하여 새로운 배지 Enterococcus Mixed medium을 개발하였다. 배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장구균 6종류(Enterococcus avium KACC 10788, Enterococcus faecium KACC 11954, Enterococcus saccharolyticus KACC 10783, Enterococcus durans KACC 10787, Enterococcus faecalis KACC 11304, Enterococcus hirae KACC 10779)와 비장구균 3종류(Escherichia coli KACC 10005,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KACC 10768, Bacillus subtilis KACC 10111)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개발된 장구균 검출배지에서 비장구균의 생장이 억제된 반면에 장구균 6종류는 모두 생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환경시료에서 장구균을 분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천과 바다에서 채취해온 시료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장구균의 생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배지를 이용하면 수질 분변오염의 지표가 되는 장구균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istribution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solates Using a ChromID VRE Agar

  • Lee, Hyun;Yoon, In-Seo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4
    • /
    • 2013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have emerged as importan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since last two decades. ChromID VRE agar (cIDVA) is useful for VRE rectal swab screening. We investigated all VRE were isolated on the cIDVA. A total of 363 rectal swabs of 85 patients to test VRE screening were inoculated into bile-esculin (B-E) broth with $6{\mu}g/mL$ vancomycin. After 24 hours incubation, we subcultured B-E broths were changed to black onto cIDVA. All isolates were identified by the MICROSCAN and VITEK2. The vanA gene and vancomycin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were detected by PCR and E-test respectively. 277 E. faecium (84.7%), 16 E. faecalis (4.9%), 25 E. avium (7.6%), 8 E. gallinarum (2.4%) and 1 E. raffinosus (0.3%) were isolated. 10.3% of VRE detected on cIDVA were other than E. faecium and E. faecalis that presented various color from colorless to pale violet. All isolates contained vanA and vancomycin MIC were > $256{\mu}g/mL$. VRE isolates other than E. faecium and E. faecalis should be objective to the contact precautions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if they possess vanA gene. Due to emerging enterococci carrying vanA such as E. avium, E. gallinarum, and E. raffinosus, VRE surveillance should be expanded to all isolates on chromogenic agar.

  • PDF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tion from a Novel Enterococcus avium JS-N6B4 Strain Isolated from Edible Insects

  • Jo, Min-Ho;Hong, Seong-Jin;Lee, Ha-Nul;Ju, Jung-Hyun;Park, Bo-Ram;Lee, Jun-ho;Kim, Sun-Am;Eun, Jong-Bang;Wee, Young-Jung;Kim, You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6호
    • /
    • pp.933-943
    • /
    • 2019
  • Gamma-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strains were isolated from four edible insects and subjected to 16S rRNA sequence analysis. Among the four GABA-producing bacteria, Enterococcus avium JS-N6B4 exhibited the highest GABA-production, while cultivation temperature, initial pH, aerobic condition, and mono-sodium glutamate (MSG) feeding were found to be the key factors affecting GABA production rate. The culture condition was optimized in terms of glucose, yeast extract, and MSG concentration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GABA production up to 16.64 g/l was obtained under the conditions of 7 g/l glucose, 45 g/l yeast extract, and 62 g/l MSG through the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by RSM. Experimental GABA production was 13.68 g/l, which was close to the predicted value (16.64 g/l) calculated from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2.79-fold higher than the production achieved with basic medium. Therefore, GABA-producing strains may help improve the GABA production in edible insects, and provide a new approach to the use of edible insects as effective food biomaterials.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Enterococcus의 분리와 항생제 내성특성 (Antibiotic Resistances of Enterococcus Isolated from Salad and Sprout)

  • 강태미;조선경;박종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2-148
    • /
    • 2008
  •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분리한 Enterococcus의 항생제 내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샐러드 47개와 새싹채소 37개에서 Enterococcus를 분리하여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총 95균주, 샐러드에서 41균주 새싹채소에서 54균주의 Enterococcus를 분리하였으며 대부분이 E. gallinarium, E. faecalis, E. faecium, E. hirae, E. casselifla편, E. avium으로 동정되었다. Vancomycin의 최소 생육 저해 농도는 $4{\mu}g/mL$ 이하로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 분리된 Enterococcus에서는 vancomycin내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Enterococcus에서 streptomycin과 chloramphenicol에 내성을 보였으며, 22% Enterococcus는 penicillin에서 저농도 내성을 보였다. 그러나 거의 모든 Enterococcus에서 tetracycline에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검출된 모든 E. faecium과 E. faecalis에서도 ampicillin 저농고 내성을 보였으며, 7균주의 E. faecium과 5균주의 E. faecalis에서 rifampin 저농도 내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분리된 Enterococcus는 vancomvcin과 다른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과 낮은 내성을 각각 보였으며 다른 식품 분리균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샐러드와 새싹채소에서의 분리된 Enteroccocus는 vancomycin과 다른 항생제에도 내성이 낮아 특별히 항생제 위해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VITEK 2 시스템과 Multiplex Real-time PCR을 이용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과 내성관련 유전자 검출 (Detection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d Related Genes Using VITEK 2 System and Multiplex Real-time PCR Assay)

  • 정민경;유영빈;김상하;김성현;김영권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01-406
    • /
    • 2017
  • 이 연구에서 VITEK 2 시스템을 사용하여 $6{\mu}g/mL$ vancomycin이 첨가된 Enterococcosel (EV6 agar에서 배양한 327개의 검체 중 74개의 분리균(22.6%)으로 확인하였다. E. faecium은 55주(74.3%), E. gallinarum 16주(21.6%), E. casseliflavus 2주(2.7%) 및 E. avium 1주(1.4%)로 확인되었다. E. faecium의 55가지 표현형 중 vanA가 42주(76.4%), vanB가 9주(16.4%), vanC 표현형이 4주(7.3%)로 나타났다. E. gallinarum 16주와 E. casseliflavus 2주 모두 vanC 표현형을 보였으며 E. avium 1주는 vanB 표현형을 나타내었다. EV4에서만 증식된 E. faecium 1주는 VITEK2 시스템을 이용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 결과 vancomycin과 teicoplanin에 모두 감수성이었고 vancomycin 내성 표현형 유전자는 PCR에 의해 검출되지 않았다. 총 327 검체를 $6{\mu}g/mL$ vancomycin (EV6 broth)을 첨가 한 Enterococoscosel broth에서 배양하여 120 균주(36.7%)가 분리되었다. 120균주에서 다중 중합 효소 연쇄반응에 의한 반코마이신 내성 유전형 실험을 실시한 결과, vanA가 51주(42.5%), vanA와 vanC가 5주(4.2%), vanC가 18주(15%), 나머지 46주(38.3%)에서는 vancomycin 내성 유전형 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임상검체에서 장구균의 분리빈도와 항균제감수성 (Isolation Frequency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Enterococcus species from Clinical Specimens)

  • 신현성;박연보;신두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18
    • /
    • 2007
  • A total of 1,780 isolates of Enterococcus spp. were isolated from 63,133 clinical specimens from Dec 1, 2005 to Nov 1, 2006 in "C" hospital. Isolation frequencies of Enterococcus spp. were 50.9% for E. faecalis, 41.7% for E. faecium, and 7.4% for other Enterococcus spp. containing E. avium, E. gallinarum, E. casseliflavus, E. durans, E. hirae, and E. raffinosu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but according to the age group analysis, Enterococcus spp. were more frequently isolated in patients over 50 years old (20.0~24.6%) than those isolated from the patients under the age of 0~49 (1.3~9.4%). In monthly analysis, Enterococcus spp. were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in April (11.9%), but presented at lowest frequency in February (5.2%). Seasonal analysi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Over half of enterococci were isolated from random urine (44.9%) and catherterized urine (15.7%). Frequencies of vancomycin resistant E. faecalis and E. faecium were 0.1% and 31.0%, respectively. Teicoplanin resistant Enterococcus was 13.3% in E. faecalis, 17.6 % in E. faecium. The Enterococcus species showing over 80% susceptibility against antimicrobial agents were E. faecalis, E. durans and E. hirae in vancomycin; E. faecalis, E. gallinarum, E. casseliflavus, E. durans and E. hirae in ampicillin. The antimicrobial agent showing susceptibility against whole group of Enterococcus species was only linezolid (95.9%), and a selection of antimicrobial agent is necessary to do essential performance identification and susceptibility tests.

  • PDF

정상적인 사육 황새의 장내 세균총 (Bacterial Flora of the Intestine in Normal Captive Oriental White Storks)

  • 한재익;장혜진;이숙진;강효민;김수경;박시룡;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6-518
    • /
    • 2011
  • 한국 황새복원센터에서 사육중인 황새의 정상 장내 세균총을 검사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44마리의 건강한 황새의 총배설강으로부터 44개의 분변시료를 채취하여 호기 및 혐기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미생물의 16Sribosomal RNA 및 heat shock protein 60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호기조건 하에서는 Enterococcus faecalis, Escherichia coli, Bacillus spp., Enterococcus avium, Enterococcus gallinarum, Pseudomonas spp., Alcaligenes spp., Enterobacter spp., Corynebacterium spp., Proteus mirabilis가 동정되었다. 혐기조건 하에서는 E. coli, Clostridium tertium, En. faecalis, P. mirabilis가 동정되었다. 모든 시료에서 E. coli, En. faecalis 혹은 두 가지 모두가 분리되었다. 이러한 정상 황새의 장내 미생물 정보는 향후 분변 배양 결과의 해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임상검체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항생제 감수성 및 유전적 다양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Genetic Diversity of Enterococc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임채원;김형락;김양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6-8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임상검체에서의 Enterococcus sp.의 균종별 분리현황을 조사하고, 분리균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알아보는 한편, aminoglycoside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대상으로 Rep-PCR을 실시하여 유전적인 다양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종 임상검체로부터 E. faecalis 49주, E. faecium 34주, E. avium 9주, E. gallinarum 4주, E. casseliflavus 3주, E. hirae 1주 등 총 100주를 분리하였다. 대부분 외래를 통하기보다는 입원환자의 검체로부터 분리됨을 관찰하면서 원내감염의 원인균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Urine과 pus, sputum에서 대부분의 균들이 분리되었고 E. faecalis와 E. faecium이 주 종을 이루었다. 항생제 감수성양상으로는 disk법과 ViteK GPS-430의 MIC결과와 유사하게 관찰 되었으며, 대부분의 Enterococcus sp.가 cephalosporin계 항생제에는 80% 정도의 내성을 보였다. E. faecalis의 경우 항생물질에 대해 고른 감수성양상을 볼 수 있었고, E. faecium의 경우 다른 Enterococcus sp.와는 차별적으로 항생물질에 대해 높은 내성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vancomycin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Enterococcus sp.는 전체 10%정도를 차지하였고 aminoglycoside계 항생제인 amikacin과 gentamicin에 대해서 높은 고도내성을 나타냈었고, streptomycin의 경우에는 50% 정도의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Aminoglycoside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Enterococcus sp.를 대상으로 Rep-PCR을 실시하여 유전자 분획유형을 분석하였으나 유전적 다양성에 있어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아 DNA양상의 기원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원유 시료에서 분리한 장알균속 세균의 다중약물 유출 펌프(Multidrug Efflux Pump) 유전자의 분포도와 항생제 내성 패턴 (Distribution of Multidrug Efflux Pump Genes in Enterococci spp. Isolated from Bovine Milk Samples and Their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 강소원;이상진;최성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6-130
    • /
    • 2013
  • 원유시료에서 분리한 장알균속 세균 245균주의 항생제 내성에 관여하는 다중약물 유출 펌프 유전자 분포도와 항생제 내성 패턴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245 장알균속 균주의 ampicillin에 대한 내성률은 44.1%, erythromycin에 대한 내성률은 79.2%, tetracycline에 대한 내성률은 76.3%, chloramphenicol에 대한 내성률은 36.3%였으며 vancomycin과 ciprofloxacin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임을 알 수 있었다. 내성 관련 유전자 중 MFS타입의 eme(A)는 82.1%의 장알균에 분포하였으며, ABC 타입의 유전자인 efr(A)는 72.7%, efr(B)는 77.1%, lsa는 71.8%의 장알균에 분포하였다. 특히 이러한 유전자의 기원 세균인 Enterococcus faecalis의 경우 eme(A)는 92.5%, efr(A)는 87.4%, efr(B)는 88.4%, lsa는 88.4%의 분포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동일한 장알균속이지만 종이 다른 장알균에서 eme(A)는 E. faecium 4균주, E. avium 7균주, E. durans 4균주 및 E. raffinosus 2균주에 분포하고 있었다. efr(A)는 E. faecium 2균주와 E. durans 2균주에 분포하였으며, efr(B)는 E. faecium 4균주, E. avium 5균주 및 E. durans 4균주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유시료에서 분리한 장알균속의 여러 종의 세균에서 동일한 다중약물 유출 펌프(multidrug efflux pump)의 분포에 대한 첫 번째 보고라 사료되며 E. faecalis 이외의 장알균속에서 이러한 유전자의 분포는 서로 다른 종간의 유전자의 수평적인 이동의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