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lish-APP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모바일 영어말하기평가 융합 시스템 모형 타당도 검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bile-based English Speaking Test Convergence Model)

  • 김정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5-3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기반 영어말하기평가 융합 모형을 개발하였다. 대학생들에게 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모바일기기용 평가 앱을 개발하고, 그 시험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영어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하여 시험문항, 채점요인,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구분석에서 대학생 총 89명 중 69명(79.3%)은 안드로이드폰을, 17명(19.5%)은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iOS와 안드로이드 OS용 영어말하기평가 앱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HTML5, Javascript bridge 기술, Node와 Express, Mongo DB 등의 기술을 적용하였다. 실험에서는 5명의 수험자를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여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고 수험자들의 피드백을 수집함으로써 시험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기능성게임을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 영어 발음 학습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Psychological Effects of Gamification on Young Learners: Focusing on a Serious Game for English Phoneme Discrimination)

  • 이선영;박주현;최정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1-12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의 태블릿 PC 기반 기능성게임을 활용한 음소 구별학습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앱 사용 학습과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초등 6학년을 대상으로 기능성게임 학습반과 사전앱 학습반으로 나누어 수업을 한 후 설문 조사와 면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문 조사에서는 두 반 모두 학습 흥미와 동기, 자신감, 집중력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면대면 인터뷰 결과에서는 게임 학습반이 사전앱 학습반보다 위의 모든 정의적 영역에서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외국어 학습 영역에서 태블릿 PC 기반의 기능성게임을 활용하는 것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인 학습 흥미 유발, 동기, 자신감 및 집중력 강화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저작도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스마트교육용 앱 제작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Smart Educational App Production Using Authoring Tool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25-232
    • /
    • 2013
  • 현재 학교현장에서는 스마트 교육이 실시되고 있는데, 다양한 스마트기기에서 실행되는 교과 수업과 관련된 콘텐츠가 부족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교사 연수와 학습자의 앱 개발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초등 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뿐 아니라 PC에서도 실행가능하고 파워포인트와 유사한 사용자 환경인 스토리라인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초등 과학 6학년 1학기의 내용을 중심으로 게임형 웹앱 형태의 콘텐츠 제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교육후 저작도구 사용의 편리성, 학습 콘텐츠 제작 활동 만족도, 지속적인 사용여부 등을 조사한 결과. 영어 메뉴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교육용 콘텐츠 제작 활동에 흥미를 가졌으며 지속적인 앱 개발 교육 및 활동에 참여하기를 원했다.

  • PDF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 기반의 글자교구재 디지털 앱 개발 사례와 교육효과 평가: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를 중심으로 (An Augmented Reality-Based Digital App as an Educational Too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the Evaluation of Its Learning Effect: Towards an Examination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 김새론;원은진;김형기;윤필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1-157
    • /
    • 2023
  • The present work aimed to present the development of 'Funt', the augmented reality-based digital app as an educational too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Our work further evaluated the learning efficacy of the tool by the assessment of the three dependent measures includi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volvement. With a learning app of 'Funt', students can use AR app to access recognition-based or location-based experiences such that any objects, artifacts, or media appear to be in the app. Students are then able to interact with the digital content by manipulating it to learn more about it. Students's engagement should also increase when they create their own experience in AR to demonstrate their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concept or words. Learning effects were evaluat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hundred respondents aging six to nine years. One-group design for pre-test and post-test was utiliz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efficacy by comparing the non-'Funt' group and the Funt group scores. A pairwise t-Test was performed for pairwise comparisons between two learning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unt'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Funt' group in the measures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volvement.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Funt' attracted the students' attention, provided them with a fun context to learn English vocabulary, and develop positiv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R technology.

Systematic Search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Dietary Supplement Mobile Applications: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

  • Hyeon Ji Lee;Si Hyun Seong;Hyunjin Chung;Yun Jeong Lee;Jae-Hyun Kim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1-61
    • /
    • 2023
  • Background: Mobile applications (apps) on dietary supplements can increase consumers' access to information. However, it can lead to indiscriminate use of dietary supplement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dietary supplement apps released in English and Korean and evaluate the quality of those apps. Methods: Through the app stores, apps on dietary supplements were systemically searched and examined. Two independent evaluators evaluated the apps and presented a mean score using the Mobile App Rating Scale (MARS). The correlation between MARS scores, user and evaluator ratings, and the number of secondary features of the app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2,772 dietary supplement apps identified, 17 apps were includ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The mean MARS score was 3.28 (standard deviation: 0.29) out of 5. Apps had higher scores in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dimensions, while engagement and information dimensions had lower scor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app downloads and information among MARS dimensions. The subjective evaluation also correlated with the information dimens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condary features of the apps and MARS total score as well as the engagement dimension. Conclusion: The dietary supplement apps need to be managed at a higher level of quality to provide safe and reliable information to consumers. Especially, quality on information and engagement dimensions can be improved. Involvement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the app development, management with adequate referencing of information, and use of secondary features for enhanced user engagement can be helpful.

Analyzing User Feedback on a Fan Community Platform 'Weverse': A Text Mining Approach

  • Thi Thao Van Ho;Mi Jin Noh;Yu Na Lee;Yang Sok Kim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6호
    • /
    • pp.62-71
    • /
    • 2024
  • This study applies topic modeling to uncover user experience and app issues expressed in users' online reviews of a fan community platform, Weverse on Google Play Store. It allows us to identify the features which need to be improved to enhance user experience or need to be maintained and leveraged to attract more users. Therefore, we collect 88,068 first-level English online reviews of Weverse on Google Play Store with Google-Play-Scraper tool. After the initial preprocessing step, a dataset of 31,861 online reviews is analyzed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with Gensim library in Python. There are 5 topics explored in this study which highlight significant issues such as network connection error, delayed notification, and incorrect translation. Besides, the result revealed the app's effectiveness in fostering not only interaction between fans and artists but also fans' mutual relationships. Consequently, the business can strengthen user engagement and loyalty by addressing the identified drawbacks and leveraging the platform for user communication.

뇌 기억-학습 원리를 적용한 중등영어교사 임용시험 준비용 어플 (An Exam Prep App for the Secondary English Teacher Recruitment Exam with Brain-based Memory and Learning Principles)

  • 이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11-320
    • /
    • 2021
  • 현재 국내 국·공립 중등교사가 되기 위한 유일한 등용문은 중등교원 임용시험이며 2014학년도 개정 이후 임용시험의 모든 문항이 서답형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더 완성도 높고 정확하고 견고한 답안 작성이 요구된다. 재인기억을 측정하는 선택형 문항과 비교하면 회상기억을 측정하는 서답형 문항의 경우 정보 인출을 위해 더 많은 인지적 노력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지속적인 암기 및 인출 연습이 필요하지만 이를 수행할 수 있는 학습 도구가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중등영어교사 임용시험 준비용 모바일 어플인 ONE PASS를 구현하였다. 본 어플에서는 특히 인지작용의 근간이 되는 뇌의 작용기제를 반영하여 학습용 콘텐츠를 구현하였으며 학습계획 설정 및 동기측정, 마인드맵, 브레인스토밍, 기출문제 등 다양한 기능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용 어플 콘텐츠 개발 관련 연구에 이바지함과 동시에 임용시험 수험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을 위한 교내 푸시의 활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chool Push Used for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 최미양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3호
    • /
    • pp.102-11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영어 수업에서 교내 푸시를 활용한 후 푸시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기말에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교양영어 두 교과목의 수강생 144명 중 설문 응답자 127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듣기 녹화강의에서 푸시를 활용한 한 문장 받아쓰기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푸시를 잘 활용하였으며 푸시를 통하여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본 논문은 푸시가 더 효과적인 상호작용 도구가 되기 위하여 교수자들은 학생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의지와 MIM과 조직기반 앱으로서 푸시의 장점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하며, 학생들에게 푸시 이용방법에 대한 충분한 안내가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효율적인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Learning Metho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이하은;주한빈;배준형;윤현영;강선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0-171
    • /
    • 2022
  • 최근 인공지능의 활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여러 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에 학생들은 학교와 수 많은 과외를 통해 자기 주도 학습이 아닌 주입식 교육 방법으로 공부를 해 왔다. 주입식 교육의 문제점을 완화 시키기 위해 인공지능 영단어 어플을 통해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향상을 기대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려 한다.

  • PDF

Mosoteach 앱을 이용한 중국 대학 EFL 수업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Using the Mosoteach App in College EFL Classes in China)

  • 류댄핑;김양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75-283
    • /
    • 2021
  • 본 연구는 형성평가 (FA)와 총괄평가 (SA) 사이의 관계를 검사하여 대학 EFL 수업 평가 개선을 돕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중국의 4년제 대학에서 선택적으로 8주간의 대학 영어 과정을 수강했던 75명의 학부생들이었다. FA 데이터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Mosoteach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 조사에 의해 코스 마지막 과정에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FA와 SA(기말고사 및 수행활동 점수)간의 관련성을 SPSS로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그 두 평가 점수 간 유의미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단원 평가, 온라인 토론, 브레인스토밍, 신속한 답변, 그리고 과제 수행에서 교수자들의 엄지척 클릭수와도 깊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Mosoteach 앱을 통해 관리되는 FA가 학생들의 수업의 학업 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었다는 결과는 교육 평가 개선을 위한 경험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EFL 수업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설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