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1초

공학교육인증에서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도 평가모형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Achieving Program Education Objectives in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 이영태;박진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42-49
    • /
    • 2014
  •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model, which provides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PEO) evaluation research with guidances on how to evaluate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and procedures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engineering education. Educational objective evaluation is reciprocal processes that depend on and affect one another. Thus, the evaluation component deals with how to identify members' strengths, weakness, and needs, how to assess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programs, and how to provide data that assist in decision making. After literature reviews about the case studies on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evaluatio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ducation evaluation and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and then, examined the evaluation model for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This study suggested evaluation components of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n particular, the distinctions between diagnostic,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are discus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guiding the future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for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gineering Education)

  • 김희정;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21-1627
    • /
    • 2011
  • 공학교육인증기준 KEC2005에서는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 달성하도록 전공은 물론 수학, 기초과학, 전산학, 전문교양과 관련된 충분한 교과목이 제공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전공 교과목 이수 뿐 아니라 전문교양 교과과정에 대한 성취도 중요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공학기본소양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현재 공학교육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 여러 대학들의 인증 프로그램 교과과정 중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의 실태분석을 통한 전문교양 교과영역의 전형적인 모형을 도출하였다.

공학교육인증에서 교과기반평가를 위한 설계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esign Tool for Course-Embedded Assessment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 김영탁;김창학;정재우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70-75
    • /
    • 2016
  • This paper deals with a result of case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EA(Course-Embedded Assessment) design tool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implementing programs. Many programs have been devoting efforts to apply CEA to their engineering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e CEA to educational program,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standardized form or scheme for CEA application. As a preliminary approach, we propose the design tool and the result of a case study for CEA applic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지원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Student Portfolio Management Program to Aid Engineering Education)

  • 한송엽;이명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20-3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에 따라 학생의 학습 성과 성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생포트폴리오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SPMP: Student Portfolio Management Program)은 인증요건, 학생들의 학습자료, 학습과제와 그 결과물들을 테이터 베이스 체계를 통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은 공학교육인증에 있어서 요청되는 요건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학생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3가지 주요 기능은 첫째, 학생 개인 이력관리 기능으로서 개인정보자료, 교육프로그램에 관련된 자료 등 다양한 입력 자료로 구성되며 둘째, 학생 인증요건 관리 기능으로서 학습 성과, 이수과목 성적 등 인증요건 평가항목으로 구축되며 셋째, 학습과제관리 기능으로서 학습과제 작성, 검색 그리고 과제제출 항목들로 구성된다.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는 공학인증이 목표로 하는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향상 및 인재양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관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지속적인 결과물의 기록 및 관리는 대상 학생들이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상시로 필요한 곳에 제출 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공학교육 체제 개선을 위한 공과대학 이해관계자의 인식 조사 연구 - ${\bigcirc}{\bigcirc}$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gineering College Stakeholder's Perceptions for Improvements of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 박기문;이규녀;김영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39-25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 이해관계자(stakeholder)인 교수, 학생, 직원/조교들을 대상으로 공학교육인증제를 포함한 공학교육 체제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공학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공학교육 체제의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터한 공학교육 체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실 및 장비 등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요자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중장기 교육환경 개선과 재정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공학교육 이해관계자간 관계 증진을 위하여 멘토링 프로그램과 미래상담설계 등의 제도가 실효성 있게 재정비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 행정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서비스의 질 평가를 통한 우수 직원/조교에 대한 보상과 직무교육 강화 등의 개선이 요구되며, 공학교육인증제와 관련한 행정 업무의 단순화와 전담인원 충원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공학교육인증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학교육혁신센터의 위상 강화와 체계적인 홍보 체제가 필요하며, 외부 인사가 포함된 '공학교육 체제 평가 협의회(가칭)'와 같은 공학교육 평가 전문가 위원회가 필요하다. 다섯째, 공학교육인증제는 이해관계자들의 실익 부재와 행정 소요의 피로 누적 등으로 인하여 그 실효성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하여 공학교육 관련기관 차원의 방안 연구가 시급하다.

온라인 비교과 설계 교육과정에서 기초 설계 교육과정으로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온라인 IoT 비교과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Applicability from Extracurricular Design to Basic Engineering Design in Online : Focusing on the Case of IoT Extra-Curricular in Online)

  • 황윤자;허지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30-4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IoT program in online,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design course in consideration of design elements and realistic constraints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in online. For this study, IoT programs developed based on online classes were operated, and the effectiveness as a subject was verified through satisfaction surveys, competency test, and interview of participating students. In addition, by presenting design elements and realistic constraints in a online environment required to apply to engineering design courses, it is expected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and operating actual design curriculum.

공학교육 인증프로그램 재학생과 비인증프로그램 재학생의 OECD 고등교육학습성과평가 결과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sults from an OECD Higher Education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between Accredited Students with an Engineering Education and Non-Accredited Students)

  • 김학진;송오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5호
    • /
    • pp.51-58
    • /
    • 201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a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devised by the University of Seoul on higher education outcom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engineering accredited students (31) and those who are not accredited (47) with the OECD AHELO (Assessment of Higher Education Learning Outcomes) in 2013. The AHELO assessment tool consisted of 25 multiple-choice questions which evaluated generic skill-learning outcomes, also using contextual surveys to establish the students' backgrounds. The results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In the results from the multiple-choice exam for generic skill learning outcomes, accredited students scored 1.35 points higher than non-accredited students. Secondly, according to the contextual survey related to students' university education experience, such as lectures, seminars, group projects, and online tutoring, it was found that accredited students were provided more activities in seminars and group projects. Moreover, for class activities, more of these were provided to accredited students, especially in the areas of assortment-structuralization and teamwork-based activities. Thirdly, according to the contextual survey results related to participation in class, specifically regarding asking questions and participating in discussions, interacting with the professor, and opportunities for study time, there were no recognizable differences between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students, However, while accredited students at least had opportunities to gain experience in most areas, there were some areas for which education resources were not provided to non-accredited students. Therefore, for the University of Seoul, our results imply that accredited students may show better performance in the areas of academic accomplishment and in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s compared to non-accredited studen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positively contributes to employment competitiveness while also improving the necessary global standards of higher education outcomes.

잠재집단분석방법을 통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공학인증제 프로그램 선택에 따른 공학 창의성 유형 탐색 (Exploring the Pattern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ngineering-Related Creativity by Gender, Academic Year, an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 이준기;신세인;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16-35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공과대학생들의 공학 창의성이 성별, 학년, 공학교육인증 참여 여부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살펴보면 첫째, Rasch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에 사용된 공학 창의성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둘째, 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성별, 학년별, 공학교육인증 참여 유부별로 공학 창의성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셋째, 공학 창의성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넷째, 잠재집단분석(poLCA)을 활용하여 공학 창의성에 따라 구분되는 잠재집단들을 규명하고, 규명된 잠재집단과 성별, 학년별, 공학교육인증 참여가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에는 2098명의 공과대학 재학생이 참여하였으며, 4개의 하위 구인으로 이루어진 공학 창의성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라쉬 분석결과 공학 창의성 검사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삼원분산분석 결과 공학창의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년의 경우 창의적 인지 외의 모든 구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은 공학 창의성의 선택 여부는 유의미한 차이가 타나나지 않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공학 창의성 요소들은 상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공학 창의성 요소를 근거로 잠재집단을 확인한 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에게는 3가지의 공학 창의성 잠재집단이 발견되었으며, 1학년과 여학생일수록 공학 창의성이 가장 낮은 잠재집단에 소속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과대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컴퓨터공학 분야 설계교육 방법론 (Design Education Methodology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김상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66-75
    • /
    • 2015
  • Commonly it is perceived that it is difficult to teach engineering design and satisfy accreditation criteria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related majors. However, since engineering design in these disciplines are a product design, it is more adaptable than other majors which are process design oriented. This paper shows that although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with conventional engineering design,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can be effectively done. This paper concentrates on how engineering design related curriculum can be constructed,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such curriculum, and how engineering design can be taught in individual design courses(excluding introductory and capstone courses) based on case experience.

IP(지식재산권) 교육 저변확대를 위한 교과운영모델 방안 (Curriculum model plans to extend the IP training base)

  • 조재신;송요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29-338
    • /
    • 2016
  • 최근 창조경제가 중요시 되면서 학습자 중심의 IP 교육이 각 대학별로 급속히 확산되고 IP 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는 반면 아직 이를 위한 교과과정 및 IP 교육 이수 인증(확인)에 대하여 충분히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IP 교육 모듈을 제시하고, IP 교육 이수 인증(확인)에 대한 필요성과 인증 방안을 제시한다. 지식재산인력 및 교육의 필요성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식재산교육의 현황 및 분석, 지식재산 선도 대학 전체의 지식재산 강좌 추세를 살펴본다. 이어 국내교육인증제도인 교육인증제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교과운영모델(안)으로서 IP교육 8개 과정 모형, 지식재산 표준교육과정 교육 이수체계 및 교육모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