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ergy Trade

검색결과 461건 처리시간 0.028초

Financing the Commercialisation of Green Innovation

  • Park, Jeongwon;Jeong, Changhyun
    • STI Policy Review
    • /
    • 제4권1호
    • /
    • pp.94-118
    • /
    • 2013
  • Innovation plays a large role in green growth. While it is a widely accepted view that, without innovation, it would be very difficult and costly to address major environmental issues, innovation itself tends to be constrained by limited access to eco-financing and is inherently risky, often requiring a long-term horizon. Although global consensus is more or less established as to the urgency and necessity of accelerating green innovati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financing in this area is largely insufficient, with increasing funding gaps in many countries. A new financial mechanism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re-orient financial flow and enable innovators to overcome the valleys of death that occur throughout the innovation cycle. A number of different modalities exist in financing the commercialisation of eco-innovation. Existing mechanisms have not been as successful as expected, revealing critical limits to furthering certain types of projects that are essential for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gress. Experts' estimations have shown that the funding gap will widen in the coming years as demand for clean energy and green infrastructure rises, and as green technologies and innovation develop faster than the market for it can develop. Against this backdrop,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reefold: to identify issues and problems regarding current means of funding for eco-innovation and green projects; to provide insight into securing longterm green financing by looking at European cases; and ultimately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eco-specific financial instruments, focusing on governments' roles in sustainable financing for eco-innovation. This study analyses different models of financing mechanisms, a mix of public and private funds, in view of suggesting conditions for the sustainable financing of green projects, especially for large-scale high-risk project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analyses of mechanisms and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funding modalities, this study ultimatel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effectively supporting the commercialisation of eco-innovation.

계층적 센서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위한 최적의 클러스터 비율 분석 (An Analysis of Energy Efficient Cluster Ratio for Hierarchical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자룡;김대영;조진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6호
    • /
    • pp.446-453
    • /
    • 2013
  •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링 기법은 네트워크 확장성과 네트워크 수명 연장에 효율적이라고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 multi-hop to one-hop 전송 환경을 고려하여 에너지 효율성에 최적인 클러스터 비율(cluster ratio, CR)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지정한 클러스터 비율을 통한 시스템 홉 수(hop-count) 최소화와 노드 간 패킷수신율(packet reception ratio, PRR) 최대화 사이의 이해득실(trade-off) 관계를 분석하고 이 두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목표함수를 유도한다. 제안한 목표함수를 통하여 얻은 최적의 클러스터 비율은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송에 드는 비용뿐만 아니라 노드 간 재전송 오버헤드를 줄여줌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최소 홉 수 클러스터링 방안과 비교되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LNG 냉열을 활용한 인천항 냉동·냉장 클러스터 입주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n analysis of the Factors of Moving in and Activation Strategies for Incheon Cold-Chain Cluster using LNG cold energy)

  • 안길섭;오재균;양태현;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1-111
    • /
    • 2019
  • 냉동 냉장창고의 집적단지인 '콜드체인 클러스터' 구축이 물류업계의 현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는 한국가스공사와 협력하여 송도 LNG 인수기지에서 발생하는 냉열 에너지를 이용한 냉동 냉장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CFPR 방법론을 활용하여 냉동 냉장 클러스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상위요인에서는 안정성과 수익성 요인이 0.281로 가장 중요시 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세부요인으로는 지속가능한 물동량 확보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임대료 수준, LNG 냉열 활용기술의 지속 가능성과 일반 냉동 냉장창고와의 경쟁, 시설 중복투자 배제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평가 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활성화 요인을 활용하여 국내 지역별 냉동냉장클러스터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증착 기법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초박막 세라믹 코팅 분리막 기술 (A Review on Ultrathin Ceramic-Coated Separator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Deposition Processes)

  • 김우철;노영준;최승엽;;이용민
    • 전기화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34-153
    • /
    • 2022
  •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밀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사용환경이 가혹해지고 있지만, 전지의 안전성은 타협할 수 있는 특성이 아니다. 특히, 더 높은 에너지밀도 확보를 위해 고용량 전극 소재 개발과 함께 분리막 원단 뿐만 아니라 세라믹 코팅층의 두께 및 무게의 박막화와 경량화가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그 중, 기존 슬러리 코팅 방식을 증착 방식으로 대체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분리막의 내열성 확보를 위해 도입된 수 ㎛ 수준의 세라믹 코팅층을 nm 수준으로 박막/경량화 하면서도 동등의 내열성을 확보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증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코팅 분리막은 리튬이온전지 에너지밀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균일한 물성의 세라믹 코팅 분리막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증착 공정 중 온도를 제어해야 하며, 생산속도와 공정비용을 기존 슬러리 코팅 수준으로 떨어뜨려야 하는 현실적 문제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리막 원단 대비 두께 및 무게 증가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는 전지의 고에너지밀도 달성에 필요한 매력적인 접근법임은 분명하다. 본 총설에서는 세라믹 증착 코팅에 사용되고 있는 세 가지 방법인 1) 화학적 기상 증착법, 2) 원자층 증착법, 그리고 3) 물리적 기상 증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코팅 분리막을 소개하고자 한다. 각 증착법의 원리와 장/단점을 설명하고, 제조된 세라믹 코팅 분리막의 물리적, 전기화학적 특성 및 전지의 성능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소재 관점에서 금속 또는 유기물질이 코팅된 초박막 코팅 분리막의 기술 동향도 소개하였다.

포항제철(주) 슬러지와 Dust를 이용한 폐황산 중화반응에서 얻어진 석고의 결정성장연구 (Crystal growth of gypsum by neutralization reaction of waste sulphuric acid using sludge and dust in Pohang Iron & Steel plant)

  • Ji whan Ahn;Ka yeon Kim;Hwan Kim;Sang bop Lee;Eu dug Hwang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73-680
    • /
    • 1997
  • 금속 표면 처리 공정 및 체련 공정 중에 발생하는 폐황산의 중화처리에는 NaOH,$Na_2CO_3,CaO,Ca(OH)_2,CaCO_3$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화제의 사용시 드는 높은 처리비용으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포항제철(주)의 소성 공장으로부터 나오는 슬러지 와 스테인레스 제조 꽁청에서 나오는 dust의 활용을 모색하였으며, 이 때 나오는 석고부산물의 결정 및 재활용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슬러지를 중화제로 사용할 경우 캉산 영역 ( (pH < 2)에서는 소성 후 수화시킨 것을 사용한 후 약산영역(pH>2)에서 순수한 슬러지를 사용 하여 중화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얼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 때 생성되는 석고 부산물의 화학 분석 결과는 석고원료 품질규격에 부합됨을 확인할 수 있어 이 제조법에 의한 석고원료 공급부 족현상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스테인레스 제조 공청에서 나오는 d dust를 이용해 순수한 황산 빛 폐황산의 중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석고의 상 빛 형상을 비교한 결과, 순수한 황산의 경우 높은 반응성과 반응온도로 인해 구형의 응집체형 석고가 생성되고, 폐황산의 경우 순수한 황산에 비해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휘스커형 석고가 생성됨을 전자현미 경 사진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수입 음식료품의 푸드 마일리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Estimation of Food Miles and CO2 Emissions of Imported Food)

  • 주옥정;이재범;성미애;김수연;류지연;김대곤;홍유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7-68
    • /
    • 2010
  • Increas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last century has led to remarkable changes in our environment and climate system. Many policy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cross the world, many of which require our lifestyle changes from energy-intensive to energy-saving. One of the changes in our living patterns is to consider food miles. A food mile is the distance food travels from where it is produced to where it is consumed. Providing information of food miles will help people choose low mileage food, helping promote a "green consumption" action and lead to a low carbon society with emission reduction systems. In this study, 10 items are selected from 23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2-digit coding system (HS) to estimate their food miles, and $CO_2$ emissions released in the transportation of imported food. For the estimation, four countries are chosen-Korea, Japan, United Kingdom (UK) and France, with Korea and Japan's 2001, 2003, and 2007 trade statistics and UK and France's 2003 and 2007 trade statistics used. As a result, Korea showed in 2007 the highest level of food miles and $CO_2$ emissions per capita among 4 countries. That suggests that Korea should make an effort to purchase local food to reduce food miles and use low-carbon vehicles for food transport, contributing to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Compar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based CO2 Emissions by Economic Growth

  • Jooman Noh;Hong Chong Cho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6권8호
    • /
    • pp.21-36
    • /
    • 2022
  • Purpose - Carbon emission standards are based on the "production-based carbon emissions" generated by the production of goods in the relevant country which were the existing measurement methods. However, can such carbon emissions measurement standards be established international? For example, some of the goods produced in developing countries are produced for the demand of developed countries. The method of measuring carbon emission based on the final demand of a certain country is called "consumption-based carbon emissions." This study compares productionand consumption-based CO2 emissions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in ninety-three countries categorized by income level. Design/methodology - Our empirical model considers the difference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based CO2 emissions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Also, our model investigated whether the EKC hypothesis i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had been based on production-based emissions was also established in the consumption-based emission model. Considering the continuous characteristics of CO2, we utilized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specifically a system GMM econometric technique because CO2 in the previous period can affect CO2 in the present period. Findings - Our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s show that for the consumption-based CO2 emissions model, CO2 continuously increases as economic growth increases in the upper-middle income countries. The inverted U-shaped result was found in the case of the production-based model. However, in the lower-income countries, an inverted-U shape in which CO2 emissions decrease at some point as the economy grows in the production-based model does not appear. On the other hand, in the consumption-based model, an inverted U-shaped result was obtained when estimating with system-GMM. Additionally,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energy imports, and energy consumption had an effect on both the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based model regardless of the group's CO2 emissions. On the basis of such assessments, policymakers need to consider not only production- but also consumption-based options. Originality/value -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production-based CO2 emissions, with most of them revolving around economic growth or the effect of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on CO2 emissions. However, this study considers the relationship with economic growth using consumption-based emissions as a dependent variable by classifying ninety-three countries by income level.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해역수질 속성의 비시장적 가치 추정: 인천특별관리해역을 중심으로 (Using a Choice Experiment to Measure the Non-market Value of Sea Water Quality with a Focus on the Incheon Special Area Management Plan)

  • 진세준;박소연;유승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1-458
    • /
    • 2018
  • 인천연안은 인천광역시, 경기도 김포시 시흥시 안산시 일대로,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어업활동 후 버려진 어구 어망, 육상에서부터 한강을 타고 흘러오는 쓰레기 때문에 인천연안의 해양생태계의 변화가 우려되고 있다. 인천연안이 심각하게 오염되자 해양수산부는 인천연안을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하여 해양환경 자산인 해역수질을 보존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인천연안 해역수질의 비시장 가치를 선택실험법(choice experiment)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이를 위해, 전국 1,000 가구를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속성 각각의 한계지불의사액(MWTP, marginal willingness to pay)을 추정한다. 인천연안 해역수질의 속성별 가치(가구당 연간 한계지불의사액)를 추정한 결과, 가구당 연간 해역수질 1 %p 개선의 MWTP는 75원, 동물종의 다양성 증가의 MWTP는 135원, 식물종 다양성 증가의 MWTP는 309원, 해양쓰레기 1 %p 저감의 MWTP는 72원으로 나타났다. 모든 추정결과는 유의수준 1 %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정책당국에 해양환경 관리정책 수립과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에 대한 정치·경제요인의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olitical and Economic Forces on the Export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 성봉석;유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2호
    • /
    • pp.209-233
    • /
    • 2018
  •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요인이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1992년부터 2012년까지의 OECD 19개 회원국의 패널 자료를 이용하였다. 실증모델을 설정하기 전 데이터의 특성 파악을 위한 다양한 패널 프레임워크 분석(정규성, 구조변화, 1차 자기상관, 패널 이분산성, 패널 개체 간 상호의존성, 패널 단위근 검정)을 수행하였다. 패널 프레임워크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데이터 특성에 부합하는 실증모형을 설정하고, 동태 패널 모델의 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Bias-corrected Least Square Dummy Variable Estimator(LSDVC)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공식적인 강제압력으로 표출되는 정부의 수요견인정책과 경쟁압력을 표출되는 시장매력도는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신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정치요인 중 규범적 압력으로 표출되는 전통에너지산업의 주도와 비공식적인 강제압력으로 표출되는 공공압력은 재생에너지 기술의 수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수출 촉진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LPG-수소복합충전소 운영데이터 모니터링 분석 (Analysis of Operation Data Monitoring for LPG-Hydrogen Multi-Fueling Station)

  • 박송현;김동환;구연진;김필종;허윤실
    • 에너지공학
    • /
    • 제28권4호
    • /
    • pp.1-7
    • /
    • 2019
  • 최근 수소충전소 수요 증가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LPG, CNG, 주유소 등 기존의 자동차용 연료공급시설 내에 융합, 복합의 형태로 수소충전소 설치가 가능하도록 특례고시를 제정·공포하였다. 수소 융복합충전소는 특례기준 제정 이전까지 국내에서 운영된 사례가 없어, 4계절, 일교차와 같은 환경특성을 감안한 실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실증을 위해 설치된 울산 LPG-수소복합충전소의 충전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충전데이터는 압축기, 저장용기, 디스펜서에서 발생한 시간별 온도, 압력 데이터이며, 계절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2018년 7월 중 울산 지역의 최고기온 일과 2018년 1월 중 최저기온 일을 포함하여 4계절 충전데이터를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외기온도의 변화가 수소차 차량용기의 초기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종적으로 차량의 충전시간과 충전속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수소충전소 기준(KGS FP217)과 미국의 충전프로토콜(SAE J2601)에서 제시한 한계온도를 초과한 경우는 없어 차량용기에 대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