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ergy Resource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3초

친환경건축물인증 단지 거주자의 에너지자원 및 환경부하에 대한 의식 연구 (Residents' Consciousness about the Energy Resource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at Green Building Certificated Housing Complex)

  • 김재은;권오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7-262
    • /
    • 2009
  • In green building certificated housing complex, although various planning factors in terms of 'Energy resource and Environmental impact' were adopted, the residents' consciousness for their economical and psycholgical effect has not been fou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usability of environment-friendly factors, with regard to the aspects of 'energy resource and environment impact' and residents, consciousness for them in order to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to design the user-oriented green building house complex better than previous ones. the finding were summarized as follows: 1)Increasing awarenes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ed housing complex', Resident should feel contribution to the environment. 2)When mass housing planning, the development of sensible certification is required. 3)Green building certificated housing complex should change from 'certification for the Financial compensation' to 'certification for the Contribution to the environment'.

  • PDF

정책과정에서 환경영향평가 통합 (Integrating Impact Assessment into the Policy Process: The Case of Energy Resource Development in North Dakota)

  • Leistritz, F. Larry
    • 환경영향평가
    • /
    • 제3권2호
    • /
    • pp.15-24
    • /
    • 1994
  • 환경영향평가 연구의 목표(국가환경정책법에 명시)는 개발사업에 대한 여러가지 인자들(생태적, 경제적, 사회적)을 사업이 결정되기 전에 고려하여 사업이 진행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확보하는데 있다. 말하자면, 목표는 환경영향평가를 계획과 정책과정에 통합하는데 있다. 국가환경정책법이 시행된 지 25년이 된 오늘날에 그러한 통합의 방향으로 진행의 정도에 관해서 문의하는 것은 적절하다. 이글은 미국의 대평원지역에서의 자원개발사업과 관련하여 계획과 정책과정에서의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역할을 검토한다. 특히 에너지 추출 및 변환사업과 관련한 사회경계적 영향과 사업평가, 지방과 지역계획, 주정책개발에서의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역할을 설명한다.

  • PDF

태양에너지 가용잠재량 자원지도 분석 (The Analysis of a Potential Solar Energy Resource Map)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4호
    • /
    • pp.573-579
    • /
    • 2012
  • Many countries have recently been expanding efforts for low-carbon global economy to solve the problem of global warming. Development and research for various types of new reusable energy is on the rise throughout the world. The most promising source of energy is the solar photovoltaic energy and the government take an initiative to establish both short-term and long-term policies to develop the solar energy potential resource map. The solar energy and industrialize area researched by GIS methods for optimum site for solar power transfer system. This study attempts to address the hot issue of the development and suitability of the solar photovoltaic energy site using GIS spatial analysis. We need to analyze and describe the solar technology, green energy policies and the energy market trend of the field.

북극권 자원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EIA)를 위한 정보 구축 방안 (Study of Information System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of the Arctic Development Project)

  • 김세원;김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53-61
    • /
    • 2019
  • 북극권에는 미개발된 막대한 에너지·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 항로의 이용이 가능해지고, 자원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극지 인접국들과 선진국들은 국가적 차원에서 북극권 개발과 건설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동시에 북극권 자원 개발과 자원 이송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오늘날 환경 문제는 북극권 개발사업의 비용뿐 아니라, 사업 자체의 성공 여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북극권 자원 개발사업을 위해서는 에너지·자원 개발 및 이송과 관련된 기술 확보와 함께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에 대한 전략 수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북극권 자원 개발 시, 고려해야 할 환경영향평가의 특성과 절차를 살펴보고, 그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을 고찰하였다. 본 시스템은 북극권 환경영향평가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그를 활용하는 응용시스템으로 구성되며, 북극권 자원 개발사업을 위한 전략수립 등을 위하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현장 내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Energy Usage in Construction Sites)

  • 이충원;태성호;장형제;임효진;김현숙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9-120
    • /
    • 2022
  • As the seriousness of the climate crisis is emphasized, movements to solve it are becoming active. In Korea, efforts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across all industries are being strengthened through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The construction industry predict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buildings during the entire life cycle, but in the construction process, there is a difference in energy usage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put,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environmental impact if data cannot be collected.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energy usage in the apartment construction process as part of the study on predicting and reduc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construction site. To this end,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buildings were set as global warming, resource consumption, and ozone layer effects, and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the actual energy use in the case were evaluated. In addition,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energy us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 PDF

간략화된 전과정 평가를 이용한 전동차 대차의 환경영향 진단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for the bogie of electric motor unit(EMU) using simplified life cycle assessment(S-LCA))

  • 김용기;윤희택;양윤희;이재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581-585
    • /
    • 2005
  •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a bogie in the electric motor unit(EMU) were evaluated quantitatively using simplified life cycle assessment(S_LCA). Target was the bogie and life cycle inventory(LCI) database for the bogie was established. The software used for simplified LCA was PASS. Environmental impacts with the parts of the bogie were dependent on their weight significantly. Among impact categories, abiotic resource depletion(ARD) and global warming(GW) were shown dominantly. Global warming was occurred mainly due to the emission of CO₂released from energy consumption and abiotic resource depletion was caused mostly by the consumption of iron ore for the manufacturing of steel. Therefore,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bogie could be reduced by the light-weighting of EMU and the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cy.

에너지가격변화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Measuring the Economic Impact of the Energy Price Changes in Korea)

  • 김수덕;손양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0권4호
    • /
    • pp.495-513
    • /
    • 2001
  • We investigate a practical method of calculating the impact of multiple domestic energy price change on the final demand, production, the export and import change, the change in the balance of payment of Korean economy. By combining an existing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with the traditional input-output analysis with two additional assumptions on the price behavior, we provide a cost-effective method of analyzing the impact of multiple energy price changes on the domestic economy. The energy price shock we used in this paper is 0.127% increase weighted by the sectoral productions. The total impacts on price level and GDP are 1.258% and -0.940%, respectively. The impact on the total output (GDP and intermediate goods) is about -1.580%.

  • PDF

환경규제가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절감산업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The Impact of Environmental Regulation on Korea and Japan's Exports of Renewable Energy and Energy Saving Industry)

  • 심기은;정경화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8권1호
    • /
    • pp.75-103
    • /
    • 2009
  • 'Porter Hypothesis'는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에서 재생에너지 및 환경규제 관련 산업의 기술개발이 촉진되어 해당산업의 수출이 증가한다고 환경규제와 무역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이점에 착안하여 수입국의 환경규제가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절감산업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중력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분석한다. 또한 환경선진국인 일본의 경우에도 같은 분석을 시행하여 우리나라와 비교한다. 추정 결과에 의하면 도출된 환경변수의 계수값이 부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지만 전반적으로 한국 및 일본의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절감산업에 있어 환경과 수출과의 관계에서 'Porter Hypothesis'가 성립됨을 보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환경변수의 계수값을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세 가지 환경변수의 계수에 대한 한국의 절대값이 일본의 것보다 연도와 환경변수의 종류에 관계없이 크게 나왔다. 이는 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절감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제경쟁력을 갖춘 일본 기업들의 제품과 기술력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의 시장에서도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 기업은 아직 일본에 비하여 국제시장에서 다소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입국의 환경규제가 강할수록 수출의 감소폭이 일본에 비하여 클 수밖에 없다. 이러 한 실증분석 결과는 우리의 기술 수준이 아직 선진국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간접적인 증거이다.

  • PDF

신·재생에너지 전원이 피크타임 전력 공급에 미치는 영향 (Impact Analysis of the Power Generation Capacitie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on Peak Electricity Supply)

  • 김수덕;김영산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5권2호
    • /
    • pp.269-296
    • /
    • 2006
  • 본 연구는 신 재생전원설비가 전력공급설비로서의 역할을 키워감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공급상의 문제를 신 재생에너지원별로 확률적인 분석을 통하여 제기하였다. 각 원별 패턴은 풍속, 일사량, 그리고 월력에 근거한 조수간만의 차이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들은 확률적 분포를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피크공급에 대한 각 원별 기여도에 대한 확률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결과, 통상적인 전력수급계획에서 각 에너지원별 혹 발전원별 설비이용률만을 고려하여 설비계획에 반영하는 기존의 방법론이 갖는 한계를 보여준다.

  • PDF

Effect of Environmental Respons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on Manufacturing Enterprise Gr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Tipanya, Noma;Li, Liang;Salma, Elaydi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6권2호
    • /
    • pp.1-26
    • /
    • 2022
  • This study uses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practice and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AMO) theory and corpo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o explor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respons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ER-HRM) on energy-intensive manufacturing's gr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self-comple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managers of energy-intensive manufacturing in the Lao PD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98 managers of energy-intensive manufacturing for analysi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y smart PLS 3.0 to test the hypotheses in this research. The findings have shown a strong direct and positive impact of the environmental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y of ER-HRM practice on gr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ability of ER-HRM practice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gr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ndings also prove the partial mediation of green technology innovation links ER-HRM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ER-HRM in energy-intensive manufacturing to achieve innovation and performance while reducing emi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