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tracheal tuberculosi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Obstructive Fibrinous Tracheal Pseudomenbrane Mimicking Tracheal Stents

  • Kim, Ju-Sang;Yu, Ji-Hyun;Kim, Yu-Seung;Kim, Il;Ahn, Joong-H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1호
    • /
    • pp.59-61
    • /
    • 2011
  • Obstructive Fibrinous Tracheal Pseudomenbrane (OFTP) is a rarely known but potentially fatal complicati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Sudden respiratory failure shortly after extubation is not infrequent in the ICU. However, these cases are commonly diagnosed as laryngospasm, retention of secretion or laryngeal edema. A 68-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6-day history of progressive dyspnea. She had undergone invasive ventilator care for 24 hours. The patient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with improvement after having an extubation. However, after 3 days she re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progressive dyspnea.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OFTP from the results of chest CT and bronchoscopy. This is the first case studied in detail using CT images, pulmonary function test, and bronchoscopy.

Massive Hemoptysis due to Endotracheal Hemangioma: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Yu, Yeonsil;Lee, Suhyeon;An, Jinyoung;Lee, Jeongmin;Kim, Jihoon;Lee, Youngkyung;Jung, Eunah;Song, Sookhee;Kim, Hyeok;Kim, Suh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2호
    • /
    • pp.106-111
    • /
    • 2015
  • Tracheal hemangioma is a rare benign vascular tumor in adults. We reported a case of massive hemoptysis caused by a cavernous hemangioma in a 75-year-old man. This is the first report, to our knowledge, of a tracheal cavernous hemangioma that presented with massive hemoptysis. The lesion was removed with a $CO_2$ laser under rigid laryngoscopy. Endovascular tumors, such as tracheobronchial hemangiomas, should be considered a diagnostic option in cases of massive hemoptysis without a significant underlying lung lesion.

1시간 자가호흡관찰에 의한 기계적 호흡치료로부터의 이탈 (Weaning Following a 60 Minutes Spontaneous Breathing Trial)

  • 박건욱;원경숙;고영민;백재중;정연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361-369
    • /
    • 1995
  • 연구배경: 이탈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자가호흡 관찰, IMV, PSV등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중 어떤 방법이 다른 것보다 우수하다는 결론은 없다. 자가호흡관찰에 의한 이탈에는 주로 T-tube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되는데, high flow로 산소를 공급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탈 후에는 기도유지가 어렵거나 지속적인 흡입치료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발관을 하는 것이 호흡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기관내 튜브가 그 내경에 따라 다양하지만 정상 기도저항(< $2cmH_2O/L/sec$)보다 훨씬 더 높은 기도저항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내 튜브를 통한 산소공급으로 1시간 자가호흡관찰 후 이탈 및 발관을 동시에 시행하는 방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은 1993년 6월부터 1994년 6월까지 호흡부전으로 기계적 호흡치료를 받은 환자들이며, 이탈시도의 기준은 첫째, 호흡부전을 초래한 기저질환이 호전되고, 둘째, 생명증후들이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며, 셋째, $FiO_2$ 0.4 이하에서 동맥혈 가스분석상 산소분압이 55mmHg 이상인 경우로 하였다. 55명 중 위의 이탈기준을 만족시키는 18명의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5{\pm}17.5$세이며, 남녀비는 1:1 이였고, 총 기계호흡시간은 38시간에서 341시간의 범위(평균 $105.9{\pm}83.4$시간)를 보였다. 이탈방법은 이탈기준을 만족시키는 대상환자에서 기관내 튜브를 통해 분당 6L의 산소를 공급하고 1시간 367동안 이탈시킨 상태에서 의사가 환자 옆에서 이학적 소견 및 활력징후를 관찰하고, 30분과 60분 후에 각각 동맥혈 가스분석을 시행했다. 이 첫 1시간동안 환자의 전신상태, 호흡횟수, 맥박수 및 동맥혈가스분석등을 모두 고려하여 청색증, 발한, 심한 빈맥이나 고혈압, 혈압저하, 늑간의 내함, 기이호흡등이 나타나지 않고, 산소분압이 55~70mmHg 정도로 유지될 경우 일단 이탈성공이 기능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다시 인공호흡기를 연결하여 1~2시간 동안 환자를 안정시킨 후, 최종 이탈과 발관은 환자에게 물어보아서 자가호흡을 할수 있다고 의사를 표현한 경우 동시에 이탈과 발관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결과: 1) 기계적 호흡치료를 받았던 55명 중 위의 이탈기준을 만족시키는 18명의 환자에게 총19회의 이탈을 시도하여 16회가 성공해 84.2% 성공율을 보였으며, 1명은 이탈 실패 후 2번째 이탈시도시 성공하였다. 2) 호흡부전의 원인별로는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 환자 14명 중 8명에서 이탈시도의 기준을 만족시켰고, 폐혈증은 21명 중 4명, 폐부종은 6명 중 3명, 농약중독은 6명 중 1명, 속립성결핵은 3명 중 1명, 흡인성 폐렴은 5명 중 1명에서 이탈시도가 가능하였다. 3) 이탈성공군과 이탈실패군의 이탈 전후 분당 호흡 횟수의 변화를 보면, 성공군에서는 1예에서 이탈 후 30분에 분당 호흡횟수가 30회에 이른 후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전례에서 분당 호흡횟수가 30회 미만이데 반해, 실패군에서는 모두 30회 이상의 분당 호흡 횟수를 보이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탈전후 산소분압의 변화를 보면 실패군의 1예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전례에서 산소분압이 55mmHg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기관내 튜브를 통한 산소공급으로 1시간 자가호흡관찰 후 이탈 및 발관을 동시에 시행하는 방법은 상당히 높은 이탈 성공율을 보이는, 쉽고 효율적인 방법이며 동시에 이탈과 발관을 시행하여도 문제가 있는 경우는 없었다.

  • PDF

늑막직하 농양을 동반한 결핵성 간장 육아종 1례 치험 (Hepatic Tuberculous Granuloma with Subphrenic Abscess - A Case Report -)

  • 정상조;안재호;오성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6호
    • /
    • pp.585-589
    • /
    • 1991
  • We experienced a rare hepatic tuberculous granuloma with subphrenic abscess. The patient was 45-years old female. She complained the right flank pain and tenderness on the protruding mass for 2 weeks. It was fixed, erythematous and 5x5cm sized mass, which was thought as cold abscess. She has done the hysterectomy as endometriosis at November 1990. Under general endotracheal anesthesia, the mass was incised, but the pus was not found. The needle aspiration was done through the 8th ICS, then the yellowish non-foul odor pus was rushed out. The 7th and 8th ribs were resected segmentally about 5cm. The abscess cavity was placed in the subphrenic area, therefore the operative fields extended along the 8th ICS. After the evacuation of subphrenic abscess, the granulomatous tissues from the superior aspect of liver was seen. The granuloma was resected and the penrose drainage was inserted. The tuberculosis was resulted from the 8th ICS muscles. subphrenic abscess and granuloma on the pathology report.

  • PDF

동일한 최고 흡기압(Peak inspiratory pressure)에서 기관 내관 풍선(Endotracheal tube cuff)의 최소 밀폐압(Minimal occlusion pressure)에 대한 상시량의 영향 (The Effects of Tidal Volume on Minimal Occlusion Pressure of Endotracheal Tube Cuff in Patients with Same Peak Inspiratory pressure)

  • 손장원;김태형;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5호
    • /
    • pp.434-438
    • /
    • 2004
  • 배 경 : 기관 내관 풍선(cuff)의 압력은 과도하게 높으면 기관에 손상을 일으키고, 낮으면 압력 누출이 초래되므로 적절한 압력 유지가 필요하다. 적절한 cuff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시행하는 최소 밀폐압 (minimal occlusion pressure) 방법에서 cuff의 압력은 최고 흡기압(peak inspiratory pressure)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고 흡기압 이외의 다른 요소, 특히 환기 용적과의 관련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 동일한 최고 흡기압을 유지하면서 상시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기관 내관 cuff의 최소 밀폐압에 영향을 주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인공 호흡기 치료 중인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cuff 압력 측정계를 이용하여 공기 누출이 일어나지 않는 cuff의 최소 압력(최소 밀폐압)을 구하였다. 최고 흡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인공호흡기의 설정을 조절하면서 1회 호흡량을 10% 증가시킨 용적과 10% 감소시킨 용적을 각각 적용하면서 최소 밀폐압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초기 설정에서 최고 흡기압은 $32.6{\pm}4.72cmH_2O$ 였고, 최소 밀폐압은 $19.0{\pm}2.26$ mmHg 였다. 각 환자의 최고 흡기압과 최소 밀폐압 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r=0.77, p<0.01). 상시량을 10% 증가시킨 경우(high volume state)의 최소 밀폐압은 $20.3{\pm}2.41$ mmHg로 증가하였고(p<0.05), 상시량을 감소시킨 경우(low volume state)의 최소 밀폐압은 $16.8{\pm}3.01$ mmHg로 감소하였다(p<0.001). 결 론 : 최고 흡기압 뿐만 아니라 1회 호흡량도 기관 내관 cuff의 최소 밀폐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기간 기계호흡 환자에서 기관내 관의 기낭압의 변화 (The Changes of Cuff Pressure from Endotracheal Intubation for Long-term Mechanical Ventilation)

  • 정복현;박완;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156-165
    • /
    • 2002
  • 연구배경: 기관내 관에 의한 합병증 중에서 기낭에 연관된 문제로 높은 기낭압은 기관 점막의 허혈성 손상을 초래하고 너무 낮은 기낭압은 상기도 분비물의 흡인과 환기 가스의 누출에 따른 환기 장애를 초래한다. 이러한 기낭과 관련된 문제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낭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장기간 기계호흡을 받는 환자에서는 환자의 호흡역학의 변화 등 여러 원인에 의해서 적절한 기낭압이 변할 수 있어 기낭압의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연구 보고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간 기계호흡을 받는 환자에서 기관내관의 기낭압의 변화를 알아 보고 기낭압의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호흡부전으로 14일 이상 장기간 기계호흡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 내관 삽관 일부터 발관 일까지 매일 기낭 공기량의 변화에 따른 기낭압의 변화를 알아 보고 적절한 기낭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낭 공기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기낭압은 삽관 일수에 따라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적절한 기낭압을 유지 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낭내 주입 공기량은 환자에 따라 1.9~6.9 cc 로써 다양하고 동일한 환자 내에서도 적절한 기낭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낭내 주입 공기량의 변화가 심하고, 일정한 기낭 공기 3cc 주입시 측정된 기낭압의 변화가 평균 22 $cmH_2O$였다. 수은혈압계로 측정된 기낭압은 자동기낭압관리기로 측정된 기낭압과 정확히 일치하였다. 결 론 : 기낭압에 의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 일정한 공기량을 기낭내 주입하거나 간헐적인 기낭압의 측정으로는 적절한 기낭압을 지속적으로 유지 하는데 부적절하여 지속적인 기낭압의 측정 및 감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수은혈압계는 자동기낭압관리기를 대체하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측 폐보호를 위해 Univent$^{(R)}$튜브를 사용한 대량객혈환자의 증례 (Massive Hemoptysis Cases Intubated with the Univent$^{(R)}$ Bronchial Blocker for Lung Protection)

  • 문재영;이영석;류지원;허진원;홍상범;김상위;임채만;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2호
    • /
    • pp.212-217
    • /
    • 2012
  • Massive hemoptysis is a life-threatening condition and sometimes leads to death due to airway obstruction rather than exsanguinations. In a critical hemoptysis, endotracheal intubation may be necessary to maintain adequate gas exchange and protect the unaffected side of the lung. Bronchial blockers (BBs), commonly used technique for one-lung ventilation in thoracic or cardiac surgeries, are valuable devices for protecting the airway in massive endobronchial bleeding. We report three cases intubated with BBs, Univent$^{(R)}$, in massive hemoptysis. We suggest that BBs are one of the indispensable equipments for respiratory specialized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Nd-YAG 레이저와 풍선도관을 이용하여 치료한 기관내 삽관 후 발생한 기관협착 1예 (A Case of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Treated by Endoscopic Nd-YAG Laser and Balloon Catheter)

  • 박정웅;박상준;서지영;김호철;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624-629
    • /
    • 1998
  • 기관내 삽관 후 발생한 기관협착환자의 치료는 아직 완전한 치료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치료법들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경직성 기관지경이나 풍선도관을 이용한 물리적인 확장, 혹은 레이저시술 후 스텐트 삽입등이 수술적인 치료 전에 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저자등은 레이저시술에 이은 풍선 도관으로 확장을 시행한 기관내 삽관 후 발생한 기관협착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cute Respiratory Failure Caused by Hepatopulmonary Fistula in a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 Lee, Jungsil;Kim, Yoon Jun;Kim, Hyung-Jun;Kim, Jee-Min;Kim, Young-Chan;Choi, Sun Mi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9권3호
    • /
    • pp.179-183
    • /
    • 2016
  • A 59-year-old man presented with acute dyspnea following sudden productive cough and expectoration of a full cup of "blood-tinged" sputum. He had been diagnosed with hepatitis B virus-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had received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5 years ago for a 20-cm hepatic mass; he denied any history of hematemesis and the last esophagogastroduodenoscopy from a year ago showed absence of varix.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with angiography showed new appearance of right basal lung consolidation but no bleeding focus. Despite the use of systemic antibiotics, the patient developed respiratory failure on day 7 of hospitalization. After intubation, a massive amount of brown sputum with anchovy-paste-like consistency was suctioned via the endotracheal tube. Bronchoscopic toileting was performed and the patient was extubated. In the ward, he continued to expectorate the brown sputum. On day 25 of hospitalization, a repeat CT scan showed simultaneous disappearance of the pneumonic consolidation and the necrotic fluid within the hepatic mass, suggesting the presence of a fistula. He has continued to receive systemic antibiotics, sorafenib, and entecavir, and follow up by respiratory and hepato-oncology specialists.

AMBU(Air Mask Bag Unit) 환기로 복강기종과 종격동기흉이 합병된 중증 천식 1예 (A Case of Severe Asthma Complicated with Pneumoperitoneum and Pneumomediastinum During AMBU Ventilation)

  • 조훈;최병문;정호경;박자영;장병일;선우미옥;서찬희;성한동;신미정;황순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85-589
    • /
    • 2001
  • 저자들은 심한 천식발작으로 내원한 43세 여자환자에서 응급 기관내 삽관 및 AMBU 양압환기에 종격동기흉, 복강기종, 후복강기종 및 피하기종이 합병되었으나 내과적 치료로 회복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