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scopic image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4초

내시경의 위암과 위궤양 영상을 이용한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자동 분류 모델 (Convolution Neural Network Based Auto Classification Model Using Endoscopic Images of Gastric Cancer and Gastric Ulcer)

  • 박예랑;김영재;정준원;김광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1-106
    • /
    • 2020
  • Although benign gastric ulcers do not develop into gastric cancer, they are similar to early gastric cancer and difficult to distinguish. This may lead to misconsider early gastric cancer as gastric ulcer while diagnosing. Since gastric cancer does not have any special symptoms until discovered, it is important to detect gastric ulcers by early gastroscopy to prevent the gastric cancer. Therefore, we developed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model that can be helpful for endoscopy. 3,015 images of gastroscopy of patients undergoing endoscopy at Gachon University Gil Hospital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ResNet-50, three models were developed to classify normal and gastric ulcers, normal and gastric cancer, and gastric ulcer and gastric cancer. We applied the data augmentation technique to increase the number of training data and examined the effect on accuracy by varying the multiples. The accuracy of each model with the highest performance are as follows. The accuracy of normal and gastric ulcer classification model was 95.11% when the data were increased 15 times, the accuracy of normal and gastric cancer classification model was 98.28% when 15 times increased likewise, and 5 times increased data in gastric ulcer and gastric cancer classification model yielded 87.89%. We will collect additional specific shape of gastric ulcer and cancer data and will apply various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visual enhancement. Models that classify normal and lesion, which showed relatively high accuracy, will be re-learned through optimal parameter search.

Xanthogranulomatous Pancreatitis Mimicking a Pancreatic Cancer on CT and MRI: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Park, Jong Min;Cho, Seung Hyun;Bae, Han-Ik;Seo, An Na;Kim, Hye Jung;Lee, So Mi;Yi, Jae Hyuck;Lim, Jae-Kwang;Cho, Chang M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0권3호
    • /
    • pp.185-190
    • /
    • 2016
  • Xanthogranulomatous inflammation is a rare benign condition involving various organs. However, its pancreas involvement is very rar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only 17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Interestingly, all reported 17 cases due to various causes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Here, we present a case of xanthogranulomatous pancreatitis in a 63-year-old man. He presented with epigastric pain and solid mass mimicking ductal adenocarcinoma in the body and tail of pancrea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xanthogranulomatous pancreatitis via endoscopic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After that, he was followed up and monitored without any surgical treatment. Here, we show imaging findings and serial image changes of xanthogranulomatous pancreatitis for this case.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두부방사선 계측 분석 및 인후 내시경적 연구 (CEPHALOMETRIC AND NASOPHARYNGEAL ENDOSCOPIC STUD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최진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149-165
    • /
    • 1999
  • The pathomechanism of obstructive sleep apnea(OSA) is not clearly elucidated. The possible mechanisms are pathologic reduction of pharyngeal muscular tonus during sleep, abnormal anatomical stenosis of nasopharyx or a combination of the above two mechanisms.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the cause(anatomical location or pathologic dynamic change) of OSA in order to treat it. Cephalometric analysi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is a good method for evaluating anatomical morphologic change but it cannot give any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changes occurring during sleep. On the contrary, nasopharyngeal endoscopy offer 3 dimensional image and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changes. Accordingly, these two diagnostic tools can be utiliz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OSA Cephalometric analysis of craniofacial skeletal and soft tissue morphology in 53 patients with OSA and 43 controls was performed and cephalometric analysis and nasopharygeal endoscopy were performed in 9 patients with OSA in order to come up with individualized therapy plan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Patients with OSA showed 1. body weight gain 2. clockwise mandibular rotation 3. increased anterior lower facial height 4. inferiorly positioned hyoid bone 5. increased length of soft palate 6. decreased sagittal dimension of nasopharyx 7. increased vertical length of inferior collapsable nasopharyx 8. increased length of tongue Through cephalometric analysis and nasopharygeal endoscopy(mutually cooperative in diagnosis), 9. one can find the possible origin of OSA and make a adequate individualized therapy plan and predict accurate prognosis. Cephalometric analysis and nasopharygeal endoscopy are highly recommended as a diagnostic aid in OSA patients

  • PDF

광섬유 다발과 Gradient-index Lens가 결합된 고 분해능 및 최소침습 직경의 공초점 내시 현미경 대물렌즈의 설계 (Design of an Endoscopic Microscope Objective Lens Composed of Flexible Fiber Bundle and Gradient-index with a High Resolution and a Minimally-Invasive Outer Diameter)

  • 장선영;임천석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7-94
    • /
    • 2008
  • 공초점 내시 현미경의 경우 살아있는(in vivo) 동물체들의 뇌 속에서의 암세포나 특정 세포를 분석할 수 있으며, 비 침습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암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초점 내시 현미경의 경우 최소 직경과 고 분해능을 요하게 된다. 본 논문은 최소 직경을 가지는 GRIN 렌즈와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광섬유 다발을 연결시킴으로써 보다 측정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직경이 1 mm이고 수치구경이 0.5이며 pitch가 0.25인 GRIN렌즈를 사용하였으며, 광섬유 다발은 30,000개의 코어로 구성된 유동적인 광섬유 다발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GRIN 렌즈에 의해서 발생되었던 구면수차는 광학보상자를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그 결과 설계되어진 공초점 내시 현미경 대물렌즈의 경우 종 분해능은 $1.63\;{\mu}m$이고 축상물점과 비축물점에서의 에너지 분포가 100%일 때 각각의 spot size는 축상물점에서 $0.3\;{\mu}m$ 비축물점에서 $0.83\;{\mu}m$의 결과를 얻었으며 보다 값싸고 제작에 용이한 양산 비구면 렌즈로 대체 구현된 결과에서는 종 분해능이 $1.74\;{\mu}m$이고, 축상 물점에 대한 spot size는 $1.1\;{\mu}m$이고 비축물점에서는 spot size가 $2.94\;{\mu}m$로 설계되었다.

Open versus closed reduction of mandibular condyle fractures : A systematic review of comparative studies

  • Kim, Jong-Sik;Seo, Hyun-Soo;Kim, Ki-Young;Song, Yun-Jung;Kim, Seon-Ah;Hong, Soon-Min;Park, Jun-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1호
    • /
    • pp.99-107
    • /
    • 2008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was to provide reliable comparative resul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any interventions either open or closed that can be used in the management of fractured mandibular condyle Patients and Methods : Research of studies from MEDLINE and Cochrane since 1990 was done. Controlled vocabulary terms were used. MeSH Terms were "Mandibular condyle" AND "Fractures, bone". Only comparative study were considered in this review using the "limit" func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two review autho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abstracts of studies resulting from the searches. The stud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some criteria, and following were measured: Ramus height, condyle sagittal displacement, condyle Towns's image displacement, Maximum open length, Protrusion & Lateral excursion, TMJ pain, Malocclusion, and TMJ disorder. Results : Many studies were analyzed to review the post-operative result of the two methods of treatment. Ramus height decreased more in when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s opposed to open reduction. Sagittal condyle displacement was shown to be greater in closed reduction. Condyle Town's image condyle displacement had greater values in closed reduction. Maximum open length showed lower values in closed reduction. In protrusive and lateral movement, closed reduction was less than ORIF. Closed reduction showed greater occurrence of malocclusion than ORIF. However, post-operative pain and discomfort was greater in ORIF. Conclusion : In almost all categories, ORIF showed better results than CRIF. However, the use of the open reduction method should be considered due to the potential surgical morbidity and increased hospitalization time and cost. To these days, Endoscopic surgical techniques for ORIF (EORIF) are now in their infancy with the specific aims of eliminating concern for damage to the facial nerve and of reducing or eliminating facial scars. Before performing any types of treatment, patients must be understood of both of the treatment methods, and the best treatment method should be taken on permission.

UWB/WiFi 모듈 기반의 내시경 카메라용 무선전송 설계 (Design of UWB/WiFi Module based Wireless Transmission for Endoscopic Camera)

  • 심동하;이재곤;이재선;차재상;강민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초광각 무선 내시경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내시경은 초광각 카메라 모듈과 무선전송 모듈로 구성된다. 162도의 초광광 렌즈와 이미지 센서 및 카메라 프로세서가 $3{\times}3{\times}9cm3$ 크기의 케이스에 함께 패키지 된다. 무선전송 모듈로 UWB 기반 및 WiFi 기반의 플랫폼을 각각 구현한다. UWB 기반 모듈은 의 고화질 영상을 MJPEG로 압축하여, $2048{\times}1536$ (QXGA)의 해상도에서 15 fps의 속도로 영상을 전송하며,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는 41.2 Mbps에 달한다. 구현된 내시경은 의료용 내시경의 화각과 해상도 수준을 가지며, 상용 고성능 WiFi 내시경과 비교할 때 ~3X의 화각과 16X의 해상도를 갖는다. WiFi 기반의 모듈은 $640{\times}480$ (VGA)의 해상도에서 30 fps의 속도로 영상을 스마트 기기로 스트리밍 하며, 최대 1.5 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보여준다. 구현된 모듈은 저가격의 의료용 무선 전자 내시경의 구현 가능성을 보여주며, U-헬스케어, 응급처치, 가정의료, 원격진료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son of Single-Incision Robotic Cholecystectomy, Single-Incision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nd 3-Por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Postoperative Pain, Cosmetic Outcome and Surgeon's Workload

  • Kim, Hyeong Seok;Han, Youngmin;Kang, Jae Seung;Lee, Doo-ho;Kim, Jae Ri;Kwon, Wooil;Kim, Sun-Whe;Jang, Jin-Young
    •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168-176
    • /
    • 2018
  • Purpose: Robotic-associated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a novel method for overcoming some limitations of laparoscopic surger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outcomes (postoperative pain, cosmesis, surgeon's workload) of single-incision robotic cholecystectomy (SIRC) vs. single-incision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SILC) vs. conventional three-por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3PLC). Methods: 134 patients who underwent laparoscopic or robotic cholecystectomy at a single center during 2016~2017 were enrolled. Prospectively collected data included demographics, operative outcomes, questionnaire regarding pain and cosmesis, and NASA-Task Load Index (NASA-TLX) scores for surgeon's workload. Results: 55 patients underwent SIRC, 29 SILC, and 50 3PLC during the same period. 3PLC patient group was older than the others (SIRC vs. SILC vs. 3PLC: 48.1 vs. 42.2 vs. 54.1 years, p<0.001). Operative time was shortest with 3PLC (44.1 vs. 38.8 vs. 25.4 min, p<0.001). Estimated blood lo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ostoperative stay were similar among the groups. Pain control was lowest in the 3PLC group (98.2% vs. 100% vs. 84.0%, p=0.004), however, at 2 weeks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p=0.374). Cosmesis scores were also worst after 3PLC (17.5 vs. 18.4 vs. 13.3, p<0.001). NASA-TLX score was highest in the SILC group (21.9 vs. 44.3 vs. 25.2, p<0.001). Conclusion: Although SIRC and SILC take longer than 3PLC, they produce superior cosmetic outcomes. Compared with SILC, SIRC is more ergonomic, lowering the surgeon's workload. Despite of higher cost, SIRC could be an alternative for treating gallbladder disease in selected patients.

식도암 환자의 GET 영상 평가 (GET Imaging Evaluation of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 문종운;이충운;서영덕;윤상혁;김용근;원우재
    • 핵의학기술
    • /
    • 제17권2호
    • /
    • pp.31-36
    • /
    • 2013
  • 위배출 시간 측정(Gastric Emptying Time, GET)은 비침습적이고 정량적 평가 방법으로서 주로 내시경이나 방사선적 검사로 기계적 폐쇄가 없음이 확인된 위정체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 외에 식도암 환자(식도 절제술을 시행한)를 대상으로 수술 직후와 1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후의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를 시행하여, 수술 후 흉강내에서 위장 기능의 평가 자료로서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원을 내원해서 식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93명을 대상으로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를 수술 직후와 1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후에 두 번 시행하였다. 환자의 검사 전 준비사항으로는 12시간 이상 밤새 공복과 약재나 흡연을 중단 시켜야 하고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주사 후 아침 일찍 검사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검사 방법은 유동식의 위배출 시간 측정은 예민도가 떨어지므로 시행하지 않고, 고형식의 위배출 시간 측정 방법으로 $^{99m}Tc-DTPA$로 표지된 레진이 들어간 계란찜, 그리고 김밥과 점성이 높은 발효유와 함께 먹은 후 입위 자세로 3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검사의 평가 방법은 위배출 곡선 상에서 위내 방사능치가 50%가 되는 시간, 즉 반감기(T1/2)를 구하였고, 반감기가 180분 이상시 지연 위배출, 180분 이내는 중등도, 삼킴과 동시에 소장으로 넘어가는 경우를 급속 위배출로 구분하였다. 일반적인 위배출 시간 측정 영상은 위의 전정부와 위저부가 강하게 나타나는 영상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장으로 넘어가는 영상이지만, 식도 절제술을 시행한 식도암 환자는 흉강쪽에 강한 집적 영상을 보였다. 수술 직후 반감기(T1/2)는 급속 위배출이 12.9%, 중등도 위배출이 52.7%, 지연 위배출이 34.4%로 나타났다. 이후 1년 이상의 시간이 흐른 뒤의 반감기 결과는 수술 직후 급속 위배출 환자 중 67%가 중등도 위배출로, 지연 위배출을 보였던 환자는 69%가 중등도 위배출로 나타났다. 중등도 위배출을 보였던 환자 중 급속 위배출 이나 지연 위배출로 나빠진 경우는 24%이다. 식도 절제술을 시행한 식도암 환자의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는 반감기(T1/2)가 급속 위배출 및 지연 위배출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중등도 위배출로 변하는 소견을 보였다. 이는 주로 위를 보는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가 흉강내의 식도를 대신하는 위장 기능의 평가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평가 기준을 세분화하고 검사의 시간 간격을 좁힌다면 좀 더 많은 정보와 분석으로 정확한 임상 진단과 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PDF

위장조영검사에서 피폭선량 저감 (Radiation Exposure Dose Reduction o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 임병학;천권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9-116
    • /
    • 2017
  • 위장조영검사는 위내시경검사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일시적인 변비나 복통 외에 특별한 부작용이 없어 위내시경 검사가 어려운 환자나 노약자에게 유용하며, 위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어 병변의 위치를 정확히 묘사할 수 있는 장점으로 현재 상부위장관 질환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검자의 위장조영 검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검사 중 부적절한 움직임과 호흡조절로 피폭선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위장조영검사 수검자의 검사에 대한 이해를 도와 검사 중 적절한 협조를 유도하고, 재촬영 건수의 감소와 검사 시간의 단축, 수검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위장조영검사의 검사 과정과 주의사항을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검사 전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시청하게 함으로써, 동영상을 이용한 사전교육이 검사시간 단축과 재촬영 건수, 피폭선량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30대부터 80대까지 각각 20명씩 선출한 120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 후의 피폭선량과 검사 시간, 재촬영 건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 연령대 평균으로 나타낸 교육 전 수검자의 피폭선량은 $3171.83{\mu}Gy{\cdot}m^2$, 교육 후 수검자의 피폭선량은 $2931.73{\mu}Gy{\cdot}m^2$로 나타났고, 검사시간은 교육 전 8.05 min, 교육 후 6.75 min으로 나타났으며, 재촬영 건수는 교육 전 1.68건, 교육 후 1.22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영상 교육을 이용하여 위장조영검사 수검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위장조영검사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이 위장조영검사 수검자의 검사시간 단축, 재촬영 건수와 피폭선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