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bronchial blood clo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좌측 주기관지 피덩이를 우로키나아제 기관내 국소주입으로 제거한 1예 (A Case of Endobronchial Urokinase for Relief of Bronchial Obstruction by Blood Clots)

  • 최정;이사라;곽충환;배현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3호
    • /
    • pp.297-302
    • /
    • 2003
  • 저자들은 좌주기관지내 피덩이로 인해 폐허탈과 심한 호흡부전을 보인 환자에서 기관지내 국소 우로키나아제의 사용으로 피덩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linical Effectiveness of High-Flow Nasal Cannula in Hypoxaemic Patients during Bronchoscopic Procedures

  • Chung, Sang Mi;Choi, Ju Whan;Lee, Young Seok;Choi, Jong Hyun;Oh, Jee Youn;Min, Kyung Hoon;Hur, Gyu Young;Lee, Sung Yong;Shim, Jae Jeong;Kang, Kyung H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1호
    • /
    • pp.81-85
    • /
    • 2019
  • Background: Bronchoscopy is a useful diagnostic and therapeutic tool. However, the clinical use of high-flow nasal cannula (HFNC) in adults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for diagnostic and invasive procedures has not been well evaluated. We present our experiences of well-tolerated diagnostic bronchoscopy as well as cases of improved saturation in hypoxaemic patients after a therapeutic bronchoscopic procedur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of hypoxaemic patients who had undergone bronchoscopy for diagnostic or therapeutic purposes from October 2015 to February 2017. Results: Ten patients (44-75 years of age) were enrolled. The clinical purposes of bronchoscopy were for diagnosis in seven patients and for intervention in three patients. For the diagnoses, we performed bronchoalveolar lavage in six patients. One patient underwent endobronchial ultrasonography with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of a lymph node to investigate tumour involvement. Patients who underwent bronchoscopy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had endobronchial mass or blood clot removal with cryotherapy for bleeding control. The mean saturation ($SpO_2$) of pre-bronchoscopy in room air was 84.1%. The lowest and highest mean saturation with HFNC during the procedure was 95% and 99.4, respectively. The mean saturation in room air post-bronchoscopy was 87.4%, which was 3.3% higher than the mean room air $SpO_2$ pre-bronchoscopy. Seven patients with diagnostic bronchoscopy had no hypoxic event. Three patients with interventional bronchoscopy showed improvement in saturation after the procedure. Bronchoscopy was well tolerated in all 10 cas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HFNC in hypoxaemic patients during diagnostic and therapeutic bronchoscopy procedures has clinical effectiveness.

소아 무기폐에서 굴곡성 기관지내시경 소견 및 치료적 유용성 (Flexible Bronchoscopic Findings and Therapeutic Effects in Atelectasis of Children)

  • 신미용;황종희;정은희;문정희;이주석;박용민;안강모;이상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090-1096
    • /
    • 2002
  • 목 적: 저자들은 무기폐로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을 시행받은 소아 환자들의 임상 양상, 기관지내시경 소견과 기관지내시경의 치료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한달 이상 지속된 만성 무기폐, 급성 광범위 무기폐, 또는 우연히 발견되어 지속기간을 알 수 없는 무기폐를 보여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을 시행 받은 66명의 소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무기폐가 발생한 기저 질환으로는 폐렴 후에 발생한 경우가 32례(60.4%)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결핵, 만성폐질환, 수술, 천식, 교통사고와 연관되어 나타났다. 무기폐는 우중엽(24.6%)과 우상엽(24.6%)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기관지내시경 소견은 정상 기도를 보인 경우가 26례(39.4%)로 많았고, 염증성 기도 변화를 보인 경우가 29례(경도의 염증성 기관지 협착 15례, 기도 점막의 부종과 과다 분비물을 보인 경우가 14례, 작은 육아종 3례, 점액마개가 3례)로 이상 소견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 선천성 기도 기형, 기관지내결핵, 기관지의 외인성 압박과 혈전 등이 관찰되었다. 폐렴과 연관되어 발생한 무기폐의 기관지내시경 소견도 정상 기도를 보인 경우가 32례 중 14례(43.7%)였으며 기도 점막의 부종과 과다 분비물, 기관지 협착 등의 염증성 변화가 역시 이상 소견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치료적 목적으로 분비물의 흡입, 기관지 세척 및 N-acetylcystein($Mucomyst^{(R)}$) 주입을 시행받은 39례 중 18례(46.1%)에서 무기폐가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호전되었고, 폐렴과 동반되어 나타난 무기폐의 경우에는 치료적 처치를 시행 받은 23명 중 13명(56.5%)에서 무기폐가 호전을 보였다. 결 론: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받은 소아들에서 무기폐는 대부분 폐렴과 만성폐질환, 천식 등의 염증성 호흡기질환과 동반되어 발생하였다. 기관지내시경 소견상 이상 소견으로는 경도의 기관지 협착과 다량의 염증성 분비물 등의 염증성 기도 변화가 대부분이었으나 약 40%에서는 정상소견을 보였다. 굴곡성 기관지내시경은 소아에서도 무기폐의 진단에 유용하였고, 만성 무기폐나 급성 광범위 무기폐의 치료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폐렴 후 발생한 지속적 무기폐의 치료에 기관지내시경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