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ngered plants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5초

In vitro Conservation of Coleus forskohlii- an Endangered Medicinal Plant

  • Rajasekharan P.E.;Ambika S.R.;Ganeshan 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35-141
    • /
    • 2005
  • Protocols for in vitro conservation was developed for Coleus forskohlii. Plants maintained both in field served as explant source. Shoot tips and single node cuttings were used to optimize protocols for in vitro multiplication.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0.54\;{\mu}M$ naphthalene acetic acid (NAA) and $8.87\;{\mu}M$ benzy-ladenine (BA) induced multiple shoots in shoot tips and nodes. Shoot multiplication was amplified with a gradual decrease of BA concentration, leading to its final omission after 4 months. Concomitant rooting on multiplication media enabled successful establishment extra vitrum. For in vitro conservation studie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2-3 week maintained in vitro plants under standard and reduced culture conditions (SCC, RCC). In vitro plants could be successfully conserved in full strength MS medium (FMS) under SCC for 6 months without subculture with full potential to regenerate, producing viable shoots and nodes. The root production remained unaffected due to conservation, showing high rooting activity in mannitol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Preset low temperature (15 and $10^{\circ}C$) and reduction in media constituents does not appear to favour conservation, although the former accomplished conservation levels equal to (FMS) under SCC.

백두대간 만복대.고리봉.수정봉 일대의 관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anbokdae, Goribong and Suieongbong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김용식;박양규;유윤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7-403
    • /
    • 2003
  • 여원재에서 만복대 사이 백두대간에 해당되는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04과 305속 439종 60변종 3품종 총 502종류로 확인되었다. 산림청이 지정한 회귀 및 멸종위기종은 구름송이풀, 구상나무 금마타리, 께묵, 눈향나무(식), 땅나리. 목련(식). 산작약. 뻐꾹나리. 금강제비꽃의 총 10종류와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식물종은 보춘화 1종류가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 종은 개나리(식), 구상나무, 금마타리, 꽃마리, 나비나물, 노각나무, 말채나무, 병꽃나무, 분취, 뻐꾹나리, 일월비비추, 할미밀망 등의 총 24종류가 확인되 었다.

명지산의 식물상 및 희귀식물 (The Flora and Rare Plants in Mt. Myoungji)

  • 이유미;김성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66-386
    • /
    • 1997
  • 이 연구는 명지산의 식물상을 파악하여 중부 이북 지역 식물상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희귀 식물 분포 특성에 따라 명지산 지역의 희귀 식물 보존 전략 수립에 화용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조사는 1991년부터 1997년 9월까지 21차례에 걸쳐 명지산 일대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명지산은 해발 600m 정도를 경계로 아래쪽은 잣나무 및 낙엽송 조림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위쪽으로는 신갈나무를 우점으로하여 다양한 수종들이 혼생하는 낙엽활엽수림을 이루고 있고, 바람꽃류 및 금낭화 대군락, 흰노루오줌, 흰도라지모싯대 등의 식물이 특징적인 종이었다. 2.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명지산의 총 소산식물은 101과 359속 576종 90변종 11품종의 총 677종류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특산 식물은 19과 31속 32종류, 귀화식물의 27종류로 특히 귀화 식물의 67%는 최근 출현한 종들이었다. 3. 명지산에는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가운데 총 26종류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나타났으며 특히 광릉요강꽃, 애기송이풀, 깽깽이풀, 개족도리 등의 분포는 특기할 만하였고, 따라서 이 지역 희귀식물에 대한 조합적인 보존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 PDF

백암산(1,004m, 울진군) 일원의 관속식물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Backam-san Mt.(Uljin-gun) Area)

  • 김영철;채현희;박유철;이선미;남기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7-376
    • /
    • 2021
  • 지역적인 규모에서 식물자원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은 대상 지역에 대한 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이다. 그럼에도 관심도가 높지 않은 지역에 대한 조사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는 비교적 관심도가 높지 않은 한반도 중남부에 위치한 백암산(1,004m) 일원의 식물자원을 조사하였다. 총 9회의 조사를 통해 108과 339속 572종 12아종 49변종 5품종 638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1분류군이 조사되었고 한국고유종으로는 총 2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V등급이 1분류군, IV등급이 13분류군, III등급이 36분류군, II등급이 29분류군 그리고 I등급이 3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3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그중 생태계교란 외래식물은 3종이 분포하였다. 백암산을 중심으로 서쪽과 동쪽에 분포하는 식물에서 차이가 있었다. 백암산의 정상과 능선 및 서쪽지역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보전가치가 높은 식물이 주로 관찰되었다. 분포하는 식물을 고려해 볼 때 낙동정맥 상에 위치한 백암산은 식물의 확산경로로 기능하였다고 추정되었다.

축령산(남서사면) 지역의 식물상 및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lora and Stand Structure in Southwest Slope of Mt. Chukryong (Gyeonggi-do, Gapyeong-gun))

  • 김남영;김영설;최은희;손호준;김정유;박완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18-26
    • /
    • 2006
  • 2005년 3월부터 10월까지 축령산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임분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87과 268속 399종 1아종 53변종 4품종으로 총 457종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1과 14속 14종 총 14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는 8과 12속 13종 총 13종류, 귀화식물로는 8과 14속 15종 변종 총 16종류로 나타났다. 축령산의 임분구조를 분석한 결과, 상층은 신갈나무로 대표되며 잣나무, 층층나무, 헛개나무, 물푸레나무 순으로 우점하고 있고, 중층은 쪽동백나무, 참회나무, 당단풍,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다.

  • PDF

진도(전라남도 진도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Jindo Island)

  • 한병우;나혜련;한국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회;현진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2-194
    • /
    • 2018
  • 진도군 진도의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5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48일, 22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34과 437속에 속하는 704종 11아종 60변종 7품종 등 78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끈끈이귀개, 지네발란 2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 1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III등급 이상 53분류군이 포함된다. 귀화식물은 73분류군으로서 귀화율은 9.3%로 나타났다.

강원도 홍천군 지역의 관속식물상 - 계방산, 공작산, 대룡산, 매화산, 응봉산, 침석봉을 중심으로 - (Vascular Plants of the Hongcheon-gun Area in Gangwon Province - Mt. Gyebang, Mt. Gongjak, Mt. Daeryong, Mt. Maehwa, Mt. Eungbong, and Chimseok Peak -)

  • 김중현;김용현;윤창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3-394
    • /
    • 2010
  •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08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3목 118과 443속 903종 6아종 125변종 18품종 3교잡종으로 총 1,05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37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35분류군 이었고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에는 6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환경부 지정 법정 보호식물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224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4.3%, 도시화지수는 16.1%로 나타났다. 조사된 1,055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359분류군(34%), 약용 293분류군(27.7%), 목초용 166분류군(15.7%), 관상용 143분류군(13.5%), 목재용 41분류군(3.9%), 섬유용 25분류군(2.3%) 그리고 공업용이 3분류군(0.2%)으로 나타났다.

운문산(경북 청도) 군립공원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 (A Study on resource plants around the provincial park in Mt. Unmun(Cheongdo-gun, Gyeongsangbuk-do))

  • 박선주;송임근;박성준;이원형;장순영;안보람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7-349
    • /
    • 2010
  • 운문산 자연휴식년제구역 일원의 식물상과 용도를 파악하고자 2007년 1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월 평균 2회이상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운문산 일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98과 304속 514종 3아종 68변종 20품종으로 총 605분류군이었다. 이중 희귀 및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1분류군, 특산식물은 2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노랑무늬붓꽃과 천마 등 7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2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용도별 구성은 식용 225분류군(37.2%), 약용 191분류군(31.6%), 관상용 64분류군(10.6%), 목초용 46분류군(7.6%), 목재용 18분류군(3.0%), 섬유용 14분류군(2.3%), 공업용 3분류군(0.5%)로 나타났다. 자연자원관리를 위하여 자연체험학습장으로 설정하여 불필요한 간섭을 최소화하고, 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효율적인 관리대책을 마련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Southwest Chuncheon Area)

  • 이혜정;한준수;이우철;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6-395
    • /
    • 2008
  •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을 2006년 3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11과 448속 766종 2아종 119변종 27품종으로 총 914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914분류군 중 특산식물은 33분류군이며, 희귀식물과 멸종위기 식물은 각각 26분류군과 4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15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생활형 조성은 H-R5-D1-e type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914종류의 용도는 식용이 308종류(33.7%)로 가장 높았고 약용 276종류(30.2%), 목초용 148종류(16.2%), 관상용 127종류(13.9%), 목재용 36종류(3.9%), 섬유용 25종류(2.7%), 그리고 공업용이 4종류(0.4%)로 나타났다. 식생분석결과 춘천 남서부 지역의 식생은 5개의 군집, 즉 거제수나무-고로쇠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그리고 소나무 군집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설악산의 식물상 (Flora of Mt. Seorak, Gangwon-do)

  • 홍문표;이호준;전영문;홍보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6-486
    • /
    • 2010
  • 설악산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조사한 결과, 총 109과 463속 814종 1아종 122변종 57품종 총 99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994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53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60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V등급 42분류군, IV등급 27분류군, III등급 58분류군, II등급 57분류군, I 등급 64분류 군 등 총 248분류군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귀화식물은 60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국화과가 전체의 31.7%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귀화율은 6.0%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반지중식물(27.6%), 지중식물(25.0%), 지상식물(21.8%) 등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