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amel surface treatment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불소가 삭제된 법랑질 표면에 주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OF STANNOUS ELUORIDE TO THE STRIPPED ENAMEL SURFACE)

  • 노태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28
    • /
    • 1971
  • 본 저자는 삭제된 법랑질표면에 $8\%$ Stannous Fluoride $(SnF_2)$를 국소적으로 표면도포하여 1 mol의 lactate buffer solution에 넣어 비교표본과 탈회정도를 비교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차 불소도포한 48시간후의 탈회정도는 비교표본과 차이는 보였으나 양종표본 모두 심한 탈회 상태를 보여주었다. 2. 이차 불소도포한 48시간후는 점차 그 탈회도는 감소했다. 3. 일차, 이차 불소도포한 288시간후의 탈회도의 차는 $0.24{\pm}0.0.3\;mm$인 불소처리 표본에 비해서 비교표본에서는 $0.66{\pm}0.03\;mm$의 차이를 나타냈다. 4. 결과적으로 법랑질표면 삭제부위에 불소도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면서 불소가 함유된 치약을 계속적으로 사용하므로서 충치 발생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죽염이 초기인공우식법랑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mboo salt solution on remineralization of artificial caries-like lesions)

  • 오한나;홍석진;이혜진;최충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35-343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remineralization effect of Bamboo salt and NaF+Bamboo salt solutions on bovine enamel formed incipient artificial enamel caries by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 CT). Methods : Experimental solutions were distilled water(negative control), 2% sodium fluoride solution (2% NaF group), 3% bamboo salt solution (3% BS group) and the solution mixed 2% sodium fluoride solution and 3% bamboo salt solution (2% NaF+3% BS group).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extracted bovine teeth and divided into 4 groups of 10 specimens each by randomized blocks according to density. Then the specimens surface were divided equally into three parts to observe sound enamel area, incipient enamel carious area and remineralized enamel area. Only one-third of specimen surface was coated with nail varnish and these were exposed to a lactate carbopol buffer system for 72 hours. Then one-half of the demineralized enamel area was coated with nail varnish. The specimens were carried out under pH cycling model for 14 days as follows; samples were immersed in each experimental solution for 2 mins 3 times per day, demineralized for 4 hours and in mixed saliva for the remaining hours. After pH cycling, density was measured using micro CT. Results :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remineralization effects except for negative control group(p<0.05). The differences of density after experimental solution trea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4 groups (p<0.01). The density difference values of groups were $0.04{\pm}0.01$ in negative control group, $0.19{\pm}0.01$ in 2% NaF group, $0.14{\pm}0.01$ in 3% BS group, and $0.21{\pm}0.01$ in 2% NaF+3% BS group. Conclusions : The bamboo salt solution showed remineralization effects on incipient artificial enamel caries and the solution mixed sodium fluoride solution and bamboo salt solution showed more remineralization effects than the bamboo salt solution. Thus, it is suggested that bamboo salt can be used as remineralization agent in incipient enamel caries lesion.

법랑질 표면 처리방법에 따른 레진계 치아 고정재료의 접착강도 비교 (Comparison of adhesive strength of resinous teeth splinting materials according to enamel surface treatment)

  • 이예림;김수연;김진우;박세희;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2호
    • /
    • pp.72-80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레진계 치아고정 재료의 법랑질 치면 처리 방법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레진계 치아고정 재료로 G-FIX, LightFix를 사용하였다. 시편 제작을 위해 소의 하악 절치 20개를 사용했다. 노출된 법랑질 표면을 4부분으로 구분하여, 각 분획 마다 37% 인산(E), 37% 인산+Adhesive resin (E+A), 37% 인산+G-premio bond (E+GP), G-premio bond (GP)로 각각의 치면 처리를 하고, 재료를 접착하였다.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시편의 파절된 표면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재료와 표면처리 방법 사이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고 각 재료에서 표면처리 방법 사이의 비교를 위해 One-Way ANOVA test를 하고 Scheffe's test로 사후 검정 하였다. 각 표면처리 방법에서 재료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하였다. 모든 통계는 95% 유의수준에서 진행하였다. 결과: 동요치 고정을 위한 G-FIX는 산부식만 시행한 후 재료를 적용해도 접착 레진을 추가적으로 사용했을 때와 유사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LightFix는 산부식을 시행한 후 접착 레진을 추가적으로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또한, G-FIX와 LightFix 모두에서 별도의 산부식 없이 자가부식 접착제만 처리했을 때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교호작용의 검증 결과 치아고정용 레진과 표면처리 방법 사이의 상호 연관됨이 관찰되었다. 파절 양상은 모든 군에서 대부분 혼합성 파절이 관찰되었다. 결론: 치아 고정용 레진인 G-FIX와 LightFix의 사용시 제조사의 지시와 같이 산부식만 시행한 후 재료를 적용해도 충분한 접착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탄산가스 레이저 조사가 법랑질 표면구조와 치면열구 전색재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_2$ LASER IRRADIATION ON ENAMEL SURFACE AND THE BOND STRENGTH OF SEALANT MATERIAL)

  • 윤동식;김용기;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61-771
    • /
    • 1998
  • In this study, attempt has been made to evaluate the effect of $CO_2$ laser irradiation on enamel surface structure and the bond strength of sealant material. Conventional acid etching was used as a control technic for comparis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The highest mean shear bond strength value was observed in samples of Group I (acid-etching)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p<.05) between all the other groups. 2. The shear bond strength in Group IV was the lowest among laser etching group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p>.05). 3.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that the rough and irregular surface was created by $CO_2$ laser treatment with the formation of numerous pores, micro-cracks, and small bubble-like inclusion. Increasing the energy density induced localized surface melt with a thin smooth glaze-like appearance. 4. In acid-etched control specimen cohesive failure predominated, whereas adhesive failure was the main mode in laser-treated group.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_2$ laser is not an adequate substitute for the acid-etch technique in enamel preconditioning.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the effective condition of laser irradiation which could attain the better bond strength of restorative materials.

  • PDF

불소를 첨가한 10% Carbamide Peroxide의 법랑질표면 변화와 미백효과 (Effect of Fluoridated 10% Carbamide Peroxide on Enamel Surface Change and Whitening)

  • 이혜진;김현대;김민영;권태엽;김교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5-100
    • /
    • 2010
  • 본 연구는 자가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 Carbamide Peroxide에 NaF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백 후 인공적으로 변색시킨 법랑질의 색, 경도 및 표면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0% CP 미백처리군과 10% CP+NaF 미백처리군의 색조변화량은 미백 후 색조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NBS unit로 환산해본 결과 미백처리군 모두 very much에 해당되어 임상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2. 10% CP 미백처리군은 미백처리 후의 법랑질 표면경도 값이 미백처리 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불소첨가 미백군은 미백처리 전과 비교하여 표면경도 값이 거의 변하지않았다. 3. 미백처리 전 후의 법랑질 표면에 대한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과 원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미백처리 후 탈회현상에 의해 법랑질 표면이 거칠어짐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미백제와 함께 불소를 적용한 처리 군에서는 미백 처리에 의해 거칠어진 법랑질 표면이 불소에 의해 재광화가 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10% CP 치아 미백은 법랑질 표면에 영향을 미쳐 미백 후 치아의 시림이나 표면의 형태변화, 경도 값의 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 할 수 있으므로 불소를 포함한 미백제의 사용이나 치아미백 후 불소도포를 시행함으로써 법랑질 표면의 재광화를 유도하여 치아미백 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에너지 음료가 법랑질 부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ergy Drink on Enamel Erosion)

  • 오한나;이혜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9-423
    • /
    • 2015
  • 시판 중인 에너지음료의 법랑질 부식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판매량이 높은 3종의 에너지음료와 대조군으로 생수를 선정하였다. 각 음료의 pH와 적정산도를 측정하고, 우치시편을 제작하여 음료에 각각 1, 3, 5, 10, 15, 30분을 침지한 후 나타나는 양상을 표면미세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음료에 구연산이 첨가되어 있었다. 에너지음료의 평균 pH는 $3.01{\pm}0.44$로 번인텐스에서 $2.51{\pm}0.01$로 가장 낮았다. 적정 산도의 평균은 pH 5.5에서 2.98 ml로 번인텐스에서 3.59 ml로 가장 높았다. 모든 에너지음료가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경도가 감소하였으며 음료 30분 처리 후 표면 경도값은 레드불에서 $119.72{\pm}15.16$ VHN으로 가장 낮은 경도값을 보였고, 핫식스 $208.75{\pm}10.99$, 번인텐스 $210.47{\pm}8.01$ 순이었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에너지음료는 치아 법랑질에 부식을 유발하였으며, 음료처리 전과 후에 레드불이 가장 낮은 법랑질 표면 경도 값을 보여 실험에 사용한 에너지 음료 중 가장 많은 법랑질 부식을 유발하였다. 이로써 구연산을 함유하고, pH가 낮은 에너지 음료의 섭취는 치아표면경도를 감소시켜 부식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ddition of Hydroxyapatite to Toothpaste and Its Effect to Dentin Remineralization

  • Sadiasa, Alexander;Jang, Dong-Woo;Nath, Subrata Deb;Seo, Hyung Seok;Yang, Hyn Mo;Lee, Byong Taek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8-176
    • /
    • 2013
  • In this study, hydroxyapatite (HAp) was incorporated into toothpaste and its effect on the remineralization and restoration of dental enamel was evaluated. Different sets of toothpaste were incorporated with HAp levels of 0%, 5%, 10 %, and 15 %. The filler particles of the resulting toothpaste samples were observed via SEM and XRD and compared with compositions of several commercially available toothpastes, showing that the HAp was successfully incorporated into the toothpaste samples. Different sets of human enamel were inflicted with lesions and then treated with the different fabricated toothpaste samples for five minutes three times a day for seven days. During the treatment, the teeth were subjected to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cycles to simulate the effect of natural saliva. The surface of the enamel samples were observed using SEM before and after one week of treatment, showing the formation of HAp layers on the surfaces of the enamel samples. The effect of the toothpaste on the lesions was observed using an inverted light microscope and the lesion depth was found to decrease as the concentration of HAp in the toothpaste used increased. HAp was successfully incorporated in the toothpaste and its presence was found to lessen lesion depths and improve tooth remineralization.

수종의 CLEAN-UP technique이 법랑질 표면거칠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CLEAN-UP techniques on enamel surface roughness)

  • 조상완;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91-800
    • /
    • 1997
  •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한 소구치 60개를 4군으로 나누고 치과용 저속 절삭기에서 $18,500{\pm}300rpm$으로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4가지 회전 마무리 기구(G1; No. 169L carbide fissure bur, G2; No.2 round bur, G3; No.4 round bur, G4; No.8 round bur)로 잔여 레진을 제거하고 러버컵과 pumice로 법랑질을 5초간 마무리하였을 때 법랑질 손상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브라켓 부착전 러버컵과 pumice로 전처치한 후(P1), 각 군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잔여 레진을 제거한 후(P2), 러버컵과 pumice로 마지막 마무리 후(P3)의 법랑질 표면거칠기를 표면거칠기 측정기에서 각각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2에서 법랑질의 표면거칠기는 G1군의 경우 $2.60{\pm}0.55{\mu}m$으로 가장 매끄럽게 나타났고 G2군의 경우 $3.24{\pm}0.80{\mu}m$, G3군의 경우 $3.44{\pm}0.94{\mu}m$으로 나타났고 G4군의 경우 $3.89{\pm}0.54{\mu}m$으로 가장 거칠게 나타났으며 G2군과 G3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2. P3에서 법랑질의 표면거칠기는 G1군의 경우 $2.29{\pm}0.47{\mu}m$으로 가장 매끄럽게 나타났고 G2군의 경우 $2.44{\pm}0.56{\mu}m$, G3군의 경우 $2.44{\pm}0.58{\mu}m$으로 나타났고 G4군의 경우 $2.92{\pm}0.43{\mu}m$으로 가장 거칠게 나타났으며 G1군은 G2군, G3군과, G2군은 G3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모든 군에서 P2, P3는 P1보다. P2는 P3보다 표면거칠기가 거칠게 나타났다(p<0.01). 4. 아무 처치도 하지 않은 정상 법랑질에 러버컵과 pumice로 5초간 전처치한 경우 주사전자현미경관찰에서 미세한 긁힘을 발견할 수 있었고 네군 모두에서 러버컵과 pumice로 연마 후에도 제거할 수 없는 흠을 남기며 러버컵과 pumice로 마무리 후 육안관찰시 잔여 레진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는 레진 잔사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레진 침투법 후 인공 법랑질 백색 병소의 색과 경도 변화 비교 (Color and hardness changes in artificial white spot lesions after resin infiltration)

  • 김지훈;손호현;장주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2호
    • /
    • pp.90-95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sin infiltration technique on color and surface hardness of white spot lesion (WSL) with various degrees of demineralization. Materials and Methods: Ten human upper premolars were cut and divided into quarters with a $3{\times}4mm$ window on the enamel surface. Each specimens were separated into four groups (n = 10) and immersed in demineralization solution to create WSL: control, no treatment (baseline); 12 h, 12 hr demineralization; 24 h, 24 hr demineralization; 48 h, 48 hr demineralization. Resin infiltration was performed to the specimens using Icon (DMG). $CIEL^*a^*b^*$ color parameters of the enamel-dentin complex were determined using a spectroradiometer at baseline, after caries formation and after resin infiltration. Surface hardness was measured by Vickers Micro Hardness Tester (Shimadzu, HMV-2). The differences in color and hardness among the groups were analyzed with ANOVA followed by Tukey test. Results: Resin infiltration induced color changes and increased the hardness of demineralized enamel. After resin infiltr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lor change (${\Delta}E^*$) or microhardness among the groups (p < 0.05).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resin infiltration on color and hardness among groups with different extents of demineralization.

레진시멘트, 표면처리 및 열순환에 따른 IPS Empress의 전단결합강도 (EFFECTS OF RESIN CEMENTS, CERAMIC SURFACE TREATMENTS AND THERMOCYCLING ON SHEAR BOND STRENGTH OF IPS EMPRESS CERAMIC)

  • 한정민;유영대;이용근;임미경;이수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3호
    • /
    • pp.473-481
    • /
    • 1999
  • This study evaluated the shear bond properties of IPS Empress glass ceramic to enamel and dentin surfaces with three ceramic surface treatments, and three resin cements. The influence of thermocycling was also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resin cements, ceramic surface treatments, and thermocycling on shear bond properties. Ninety freshly extracted, noncarious human mola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rface treatments of ceramic were etching <5.0% hydrofluoric acid, application of silane coupling agents(Tokuso Ceramic Primer, Clearfil porcelain bond, Monobond-S), and the combination of the two methods. Empress cylinders were bonded to enamel and dentin surfaces with three kinds of resin cements(Bistite resin cement, Panavia 21, Variolink). The specimens were aged in $37^{\circ}C$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Half of the specimens were then thermocycled 500times between $5^{\circ}C$ and $55^{\circ}C$ with a dwell time of 15 seconds. Each specimen was debonded in shear mode and measured shear bond properties by using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Zwick 020, Germany).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PC+(one-way ANOVA, Scheffe' s test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ithout thermocyl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shear bond strength to enamel surface between Bistite Resin Cement and Panavia 21 in case of etched and silane-treatment(p<0.05). 2. Without thermocyling, the shear bond strength of a group treated with silane and etch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 group treated with silane or etching with the application of Panavia 21 and Variolink(p<0.05). 3. A group treated with etching with the application of Variolink only showed a decrease of shear bond strength after thermocycling(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