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namel formation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골격성 3급 부정 교합을 지닌 법랑질 형성 부전증 환자의 복합적 치료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FOR AMELOGENESIS IMPERFECTA PATIENT WITH SKELETAL C III MALOCCLUSION)

  • 오정환;김학렬;황윤태;김여갑;류동목;이백수;윤병욱;전준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91-96
    • /
    • 2007
  •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전치부 개교합과 같은 골격적인 문제를 자주 동반하며, 이러한 경우 구강악안면외과, 보철과, 보존과, 교정과 의사들이 함께 치료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법랑질의 약화와 치아 우식증 등의 이유로 일반적인 교정치료를 시행할 수 없어 보철적 방법으로 치료하였다. 보존적, 보철적 방법을 이용하여 술전 교정과 같은 안정된 교합을 형성하였다.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고 SAS 등을 이용하여 악간고정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매복 정도에 따른 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MANAGEMENT OF ECTOPICALLY ERUPTING PERMANENT MOLARS BY THE DEGREE OF IMPACTION)

  • 이지현;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6-142
    • /
    • 2010
  • 이소맹출은 치아가 비정상적인 위치나 방향으로 맹출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구치부에서는 근심측으로 맹출하여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나 조기 탈락을 야기하여 공간 상실을 일으킬 수 있고, 부분 맹출된 경우 치은 하방의 치아우식 위험성이 증가하고 농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치부의 이소맹출 가운데 66% 정도는 가역적인 경우로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정상적인 맹출이 일어나며, 비가역적인 이소맹출의 경우에는 치아의 맹출 상태, 인접치에 의해 매복된 양, 인접치의 동요도, 통증이나 감염 여부 등의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본격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가역적으로 이소맹출된 상악 제1대구치와 하악 제2대구치를 치간이개 고무줄, modified Halterman appliance 그리고 외과적 노출 후 modified Halterman appliance를 이용한 방법 등으로 정상적인 맹출을 유도한 증례를 보고 하는 바이다.

치질에 대한 상아질 접착제의 접합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DENTIN BONDING AGENTS TO TOOTH STRUCTURE)

  • 박성택;조영곤;황호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732-74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daptation of light cured dentin bonding agents to tooth structure by measuring contraction gaps on interfaces between cavity wall and composite resin under SEM study. In this study, class V cavities with cementum margin were prepared on the buccal surfaces of 15 extracted human premolar teeth and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3 groups of 5 teeth each. The cavities were filled with three dentin bonding agents and two composite resins 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three dentin bonding agents; Scotchbond 2, Scotchbond Multi-Purpose. All-Bond 2, two composite resins; Silux Pius, Z-100. Group 1 : Scotchbond 2 + Silux Plus Group 2 : Scotchbond Multi~Purpose + Z-100 Group 3 : All-Bond 2 + Z-100 The restored teeth were stored in 100% relative humidity at $37^{\circ}C$ for 7 days. And then, the roots of the teeth were removed with the tapered fissure bur and the remaining crowns were sectioned occlusogingivally through the center of restorations. Adaptation at tooth-restoration interface was assesed occlusally, gingivally, and axially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Group 1, the adaptation to dentinal wall of Scotchbond 2 was poor, but the adaptation to enamel wall of Scotchbond 2 was excellent. 2. In Group 2, the adaptation to occlusal was axial wall and gingival wall of Scotchbond Multi-Purpose was excellent. Especially in axially wall, the dentin bonding agents infiltrated into dentinal tubules and there was excellent adaptation to dentinal wall. 3. In Group 3, the adaptation to occlusal wall and axial wall of All-Bond 2 was excellent. But in gingival wall, there was gap formation between composite resin and dentin bonding agent.

  • PDF

CAD/CAM 세라믹 인레이로 수복한 치아의 응력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A TOOTH RESTORED WITH CAD/CAM CERAMIC INLAY)

  • 송보경;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6호
    • /
    • pp.464-484
    • /
    • 2001
  • When restoring a tooth, the dentist tries to choose the ideal material for existing situation. One criterion that is considered is its suitability for restoring coronal strength. As more tooth structure is removed, the cusps are weakened and susceptible to fracture. Further, this increased deformation may cause the formation of intermittent gaps at the margin between the hard tissue and the restoration, facilitating marginal leakage. The improvements in ceramic materials now make it possible for alternatives to amalgams, composites, and cast metal to be of offered for posterior teeth. Of the materials used, ceramics most closely approximates the properties of enamel. The introduction of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e(CAD/CAM) systems to restorative dentistry represents a major technological breakthrough.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fabricate ceramic restorations at a single appointment. Additionally, CAD/CAM systems eliminate certain errors and inaccuracies that are inherent to the indirect method and provide an esthetic restoration.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the loading characteristics of CAD/CAM ceramic inlay and to compar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associated with different designs of cavity(the isthmus width and cavity depth). A human maxillary left first premolar was prepared with standard mesio-occlusal cavity preparation, as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 Ceramic inlay was fabricated with CEREC 2 CAD/CIM equipment and cemented into the prepared cavity. Three dimensional model was made by the serial photographic method. The cavity width was varied $\frac{1}{3}$, $\frac{1}{2}$ and $\frac{2}{3}$ of intercuspal distance between buccal and lingual cusp tip. The cavity depth was varied 1.5mm and 2.3mm. So six models were constructed to simulate six conditions. A point load of 500N was applied vertically onto the first node of the lingual slope from the buccal cusp tip. The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were solved using ANSYS finite element program(Swanson Analysis System). (omitted)

  • PDF

기관 삽관을 시행한 조산아에서 발생한 상악 유전치의 발육이상 : 증례보고 (DEVELOPMENTAL DISTURBANCE OF PRIMARY INCISORS IN PRETERM INFANTS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 A CASE REPORT)

  • 임소영;김성오;이제호;김익환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9-93
    • /
    • 2019
  • 본 증례 보고는 기관 삽관 경험이 있는 조산아에서 상악 유전치의 발육장애가 나타난 증례이다. 본 증례들에서는 기관 삽관으로 인해 치관 형태 이상, 법랑질 결함, 맹출 지연이 나타났다. 또한 치배의 변위로 인한 맹출 경로 이상, 치근 만곡, 후속 영구치의 비정상적인 치근 형성도 나타났다. 이환 치아에 대해서는 예방적 수복치료 및 관리, 적절한 시기에 발치를 고려해야 한다. 소아치과의사는 삽관 경험이 있는 조산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적절한 개입을 통해 구강 건강 증진을 도모해야 한다.

Nuclear factor I-C가 치근발생 과정에서 Hertwig's 상피초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NUCLEAR FACTOR I-C ON THE FORMATION OF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DURING ROOT DEVELOPMENT)

  • 신인철;박주철;정문진;오현주;박선화;이창섭;김흥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76-583
    • /
    • 2005
  • 치아의 형성은 상피-간엽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되어지는 복잡한 발생과정이다. 지금까지 치관의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및 그들의 신호전달경로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어 왔지만 치근의 발생을 조절하는 기전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최근에 NFI-C knock out 생쥐에서 정상치관에 비정상적인 치근을 가지는 치아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NFI-C가 어떻게 치근의 형태와 상아모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NFI-C knock out 생쥐의 치근 발생동안에 HERS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cytokeratin 면역조직화학적방법과 치근상아질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DSPP mRNA in-situ hybrydization법을 수행하였다. 1. NFI-C knock out 생쥐의 치근형성시 HERS의 역할 Wild type과 knock out type 모두에서 cytokeratin은 모든 HERS 세포들과 반응하였고, HERS와 법랑상피 사이의 양성반응세포들의 연속성은 치경부 부위에서 소실되었다. Knock out type에서 치근상아질이 침착된 후, cytokeratin 양성-HERS 세포들은 치경부에서 불규칙한 배열과 극성의 상실을 보였다. 2. NFI-C knock out 생쥐의 치근상아질의 특성 DSPP mRNA의 발현은 wild type에서 치관과 치근상아질의 상아모세포 모두에서 강한 발현을 보인 반면, knock out type에서는 치관부위 상아질의 상아모세포에서만 강한 발현을 보였다. 3. NFI-C knock out 생쥐의 치근 발생과정에서 HERS는 치관으로부터 정상적인 확장을 보인 반면, 치근부위에서의 상아 모세포 분화는 실패하였다. 위의 결과들로 보아 NFI-C는 치근형성 과정에서 상아모세포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배양된 치유두 유래세포의 조골활성 및 골기질 형성의 평가 (EVALUATION OF OSTEOGENIC ACTIVITY AND MINERALIZATION OF CULTURED HUMAN DENTAL PAPILLA-DERIVED CELLS)

  • 박봉욱;변준호;최문정;하영술;김덕룡;조영철;성일용;김종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279-288
    • /
    • 2007
  • In the present study, we focused on stem cells in the dental papilla of the tooth germ. The tooth germ, sometimes called the tooth bud, is the primordial structure from which a tooth is formed. The tooth germ consists of the enamel organ, the dental papilla, and the dental follicle. The dental papilla lies below a cellular aggregation of the enamel organ. Mesenchymal cells within the dental papilla are responsible for formation of dentin and pulp of a tooth. Tooth germ disappears as a tooth is formed, but that of a third molar stays in the jawbone of a human until the age of 10 to 16, because third molars grow slowly. Impacted third molar tooth germs from young adults are sometime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osteogenic activity and mineralization of cultured human dental papilla-derived cells. Dental papillas were harvested from mandible during surgical extraction of lower impacted third molar from 3 patients aged 13-15 years. After passage 3, the dental papilla-derived cells were trypsinized and subsequently suspended in the osteogenic inductio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50 g/ml L-ascorbic acid 2-phosphate, 10 nM dexamethasone and 10 mM -glycerophosphate at a density of $1\;{\times}10^6\;cells/dish$ in a 100-mm culture dish. The dental papilla-derived cells were then cultured for 6 weeks and the medium was changes every 3 days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Dental papilla-derived cells showed positive alkaline phosphatase (ALP) staining during 42 days of culture period. The formation of ALP stain showed its maximal manifestation at day 7 of culture period, then decreased in intensity during the culture period. ALP mRNA level was largely elevated at 1 weeks and gradually decreased with culture time. Osteocalcin mRNA expression appeared at day 14 in culture, after that its expression continuously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up to day 28. The expression remained constant thereafter. Runx2 expression appeared at day 7 with no detection thereafter. Von Kossa-positive mineralization nodules were first present at day 14 in culture followed by an increased number of positive nodules during the entire duration of the culture period. Osteocalcin secretion was detectable in the culture medium from 1 week. The secretion of osteocalcin from dental papilla-derived cells into the medium greatly increased after 3 weeks although it showed a shallow increase by then. In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cultured human dental papilla-derived cells differentiated into active osteoblastic cells that were involved in synthesis of bone matrix and the subsequent mineralization of the matrix.

성견에서 수직적 골결손부에 골이식후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 (Periodontal Response According to the Timing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alter Bone Graft into Angular Bony Defect in the Dog)

  • 이상열;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69-379
    • /
    • 2001
  • 본 연구는 수직적 골결손부에 골이식을 시행한 후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체중 15 kg내외의 성견 9마리에서 상악 좌우측 제 3절치의 원심 치근면에 수직적 골결손을 형성하고 치주질환을 유발시킨 2주 후 치주판막술을 시행하고 골결손 기저부 수준의 치근면에 기준 홈을 형성하였다. 골이식 후 치유기간에 따라 2주군, 4주군, 6주군으로 각각 3마리씩 분류하고 우측 제 3절치는 치주판막술만 하는 비이식측으로, 좌측 제 3절치는 치주판막술과 골이식을 병용한 이식측으로 설정하여 양측 모두 술후 2주, 4주, 또는 6주부터 120 gm의 교정력을 적용하여 8주 동안 치체이동 시킨 후 2주간 보정하였다. 이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조직표본을 만든 후 치주조직의 반응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실험동물에서 비이식측에 비해 이식측의 골재생양이 많이 나타났다. 2. 6주군에서는 홈에서 백악-법랑 경계부까지 거리의 1/2이상 치조골과 백악질이 재생되었고 상피의 하방증식없이 결합조직대가 치근면과 부착을 이루었다. 3. 4주군에서는 5주군과 유사한 치주조직 재생소견을 보였으나 그 양은 더 적게 나타났다. 4. 2주군의 경우 골재생이 양측 모두 홈에 한정되어 나타났으며 상피의 하방증식이 홈의 기저부까지 연장되고 백악질과 결합조직의 재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치주질환에 의한 수직적 골결손 환자에서 치주판막술과 골이식을 시행하고 교정적 치아이동을 할 경우 교정력 적용시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반응이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복합레진의 간헐적 광중합 방법이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MITTENT COMPOSITE CURING ON MARGINAL ADAPTATION)

  • 윤용환;박성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248-259
    • /
    • 2007
  • 이 실험의 목적은 광중합복합 레진을 자체 제작한 광조사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간헐적 광중합시켜 기존의 연속 중합법과 변연적합도를 비교함으로써 간헐적 광중합의 영향을 알아 보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Pyramid (Bisco, Schaumburg, U.S.A)와 Heliomolar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이다. 발치된 상악 소구치에 class II MOD 와동 형성 후 위 두 재료를 bulk 충전하고 다음의 중합cycle에 따라 중합시켰다: 제1군- 연속 광중합 (60초간 계속 광조사); 제2군-2초 광조사, 1초 광차단 (90초 시행); 제3군- 1초 광조사 1초 광차단 (120초 시행); 제4군- 1초 광조사, 2초 광차단 (180초 시행). 저작재현장치 (R&B, Daejeon, Korea)로 720000회의 운동횟수, 분당 120의 회전속도, $5^{\circ}C$$55^{\circ}C$의 물을 교대로 치아에 6000회 주사하면서 5.0 kg의 하중을 치아에 적용하였고 실험 전후 변연적합도를 전체와 부위별 변연으로 나누어서 $\times200$배율의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변연은 교합면, 인접면, 치은면 등 세 부위로 나누어서 법랑질 변연을 측정하였다. 전체 변연적합도에서 각 군간, 재료간, 저작 운동 전후 차이를 보기 위해 thre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시행하였고, 부위별 변연적합도에서는 각 군에서 부위별 차이와 각 부위에서 군간 차이를 보기 위해 각각 on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시행하였다 (95% 유의수준). 전체 변연적합도를 보면, 저작 운동 전에는 Pyramid의 경우 3, 4군이 1,2군에 비해, Heliomolar의 경우 3.4군이 1군에 비해 전체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저작 운동 후에는 Pyramid. Heliomolar모두 3군이 1군에 비해 전체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다 (p < 0.05). 재료간 비교에서는 저작 운동 잔에는 2군에서 Heliomolar가 Pyramid보다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p < 0.05) 그 외의 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저작 운동 후에는 모든 군에서 재료간 유의차가 없었다. 각 부위별 변연적합도를 비교하면, 저작 운동 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4군이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 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 2, 4군이 1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저작 운동 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3군이 1,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흰쥐 절치의 법랑질형성과 법랑모세포 변환주기에 불소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Fluoride Exposure on the Stages of Amelogenesis and Ameloblast Modulation in Rat Incisors)

  • 정문진;정순정;최백동;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6
    • /
    • 2008
  • 태아형성 시기에 투여된 불소가 법랑모세포의 법랑질형성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생후 11일 된 흰쥐의 하악 절치를 대상으로 대조군과 두 그룹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결과, 흰쥐태아 치아기의 조직학적 구성은 전분비대, 분비대 및 성숙대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성숙대에서는 법랑질에서 물과 유기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평탄끝 법랑모세포(smooth-ended ameloblast)와 무기이온을 추가로 공급하는 주름끝 법랑모세포(ruffle-ended ameloblast)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조직학적 구성은 흰쥐태아에서도 성체에서 관찰되는 구조들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법랑모세포의 전환주기를 알아보기 위한 형광물질(calcein)을 이용한 검사결과, 전환주기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평균 1회가 감소되었는데 불소농도가 증가할수록 평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시상총길이에 대한 주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 비율보다 평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 비율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치아의 총길이에 있어서 100 ppm 불소투여군은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200 ppm 불소투여군에서는 다소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험군의 평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와 주름끝 법랑모세포의 두께가 절단연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향을 띄었고 성숙대의 길이도 절단연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불소투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환주기가 감소되고 이것은 치아의 총길이도 감소하게 되어, 결국 치아성장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