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ee Voice Behavi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How Paternalistic Leadership affects Employee Voice Behavior in Korean Hierarchical Organizations?

  • Kim, Daechan;Lee, Sooch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48-57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Korean paternalistic leadership under a hierarchical structure on employee voice and also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leaders' behaviors-authoritarian, benevolent, and moral, and the effects on employee voice between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Quasi-government organizations. The sample of governmental organizations includes 195 employees under job control from at least middle-range or higher managers at local governments and local police agencies in Daegu and Busan metropolitan. The other sample also includes 189 employees reporting directly to managers with job control in public enterprises and government-funded Korean institutes in the same cities. This study employ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o test presumed hypothese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uthoritarian leadership between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Quasi-government organizations, but both benevolent and moral leadership are not. Benevolent and moral leadership are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voice, but authoritarian leadership is not.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n the applicability of paternalistic leadership into the Korean cultural context for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in terms of improvement of employee voice.

중국 IT기업 포용적 리더십이 직원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원 발언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clusive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in Chinese IT Enterprises -Employee Voice Behavior as Mediating Variables)

  • 정준의;이염남;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01-513
    • /
    • 2022
  • COVID-19 위기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혁신 능력이 기업에게 어느 시기보다 중요해졌다. 특히 IT기업간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포용적 리더십의 친근감은 직원들의 혁신행동과 직무성과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업의 발전과 경쟁력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포용적 리더십이 직원의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직원의 발언 행동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국 IT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9개의 유효 설문이 사용되었고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6.0을 활용해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연구 결과, 1) 포용적 리더십이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2) 직원 발언 행동이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3) 직원 발언 행동이 포용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3) 직원 발언 행동이 포용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사이에도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IT 분야 직원들의 혁신행동을 격려하고 성과를 개선하는 데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조직의 정보보안 공정성이 개인의 정보보안 관련 가치 일치 및 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인 간 영향 민감성의 적용 (The Impact of Information Security(IS) Organizational Justice on Employee IS Value Congruence and IS Voice Behavior: Exploring the Role of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 황인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4호
    • /
    • pp.1-28
    • /
    • 2023
  • Purpose Recently, organizations have been allocating significant financial resources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stringent information security (IS) policies in order to enhance IS. However, the potential for IS threats from internal sources within organizations remains high. This study proposes a mechanism whereby the organization's IS environment (organizational justice) enhances employees' perception of IS value congruence and encourages their voice behavior. Furthermore, this study validates that an individual's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can reinf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orementioned factors and voice behavior.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utilized AMOS 22.0 and Process 3.1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data was gathered from 435 employees employed in South Korean firms that implemented IS policies in their wor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value congruence, and voice behavi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by incorporating model 1 of Process 3.1 for the hypothesis pertaining to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Find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positive impact on voice behavior, which is further enhanced by value congruence.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value congruence on voice behavior is moderated by susceptibility to information influence, while susceptibility to normative influence only moderate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se result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organizations in developing customized information systems strategies that effectively promote employees' voice behaviors.

침묵과 발언 행동의 변별성: 측정 모형 비교 및 침묵 행동의 증분 설명력 (Discrimination between Silence and Voice Behavior in measurement and the incremental validity)

  • 정현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1호
    • /
    • pp.1-17
    • /
    • 2013
  • 본 연구는 조직 내 종업원들의 침묵 행동이 단순한 발언의 부재를 의미하는지 혹은 발언 행동과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 차원의 행동인지 여부를 측정 모형을 통해 확인하고, 구체적인 침묵 행동의 유형인 방어적, 체념적 침묵 행동이 발언 행동을 넘어서는 증분의 설명량을 가질 것인가에 대해 탐색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현재 조직에 속해 상사와 상호작용하며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204명의 개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연구문제들을 확인하기 위해 Pinder와 Harlos(2001) 및 Van Dyne, Ang, 그리고 Botero(2003)의 제안을 토대로, 발언과 침묵 행동에 대한 측정 모형들을 구축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침묵 행동은 일반적 혹은 동기를 포함한 구체적 유형으로 조작화 되었을 때도 발언 행동과 서로 구분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구체적 침묵 유형들은 팀 성과와 팀 몰입에 대해 증분의 설명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침묵 행동에 대한 연구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정보보안 기술 및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이 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개인의 정보 영향 민감성의 역할 (The Influence of IS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Uncertainty on IS Voice Behavior: The Role of Susceptibility to Informational Influence of Employee)

  • 황인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65-175
    • /
    • 2023
  • 조직 내부의 정보 노출 위협에 대한 관리가 조직 전체의 정보보안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조직들은 내부자에 적용되는 정보보안 정책을 엄격하게 구축하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정보보안 사고는 한 명의 고의적인 정보 노출에 의해서도 조직에 피해를 주므로, 심리적 측면에서 내부자의 정보보안 준수 행동 강화를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정보보안에 대한 불확실한 조직환경이 어떻게 개인의 정보보안 관련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정보보안 정책 구축 및 활용하는 조직의 내부자를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440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정보보안 기술 및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이 정보보안 예상 불안을 통해 정보보안 제언 행동을 감소시켰으며, 개인의 정보 영향 민감성이 정보보안 기술,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예상 불안에 의해 변화되는 제언행동을 조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실무적으로 불확실한 정보보안 환경의 보완 필요성과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침묵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ilence Motivation Scale)

  • 최명옥;박동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2호
    • /
    • pp.239-270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 내 구성원들이 조직 및 업무 관련하여 의도적으로 침묵을 선택하는 동기를 밝히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속된 3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직장인 104명을 대상을 조직 내 침묵 경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응답내용을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침묵동기에 대한 총 6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개발된 예비문항에 대해 4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ESEM 분석을 통해 침묵동기에 대한 5요인(방어적 침묵, 체념적 침묵, 비관여적 침묵, 기회주의적 침묵, 관계적 침묵)을 도출하고 최종 20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침묵동기 척도와 유사개념(일반적 침묵행동, 발언행동) 간 변별성 검증을 위해 척도 간 ESEM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침묵동기 척도는 일반적 침묵행동 및 발언행동과 변별되는 개념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침묵동기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직장인 339명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침묵동기의 5요인 구조모형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 침묵동기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