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irical antibiotic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2초

24개월 이상 소아에서 요로 감염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의 양상 : 6년간 단일 기관 경험 (Microbiological spectrum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 in more than 24-month-old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A6-year retrospective, single center experience)

  • 고정희;이지현;심은정;조도준;민기식;유기양;이대형;강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47-1152
    • /
    • 2009
  • 목 적:본 연구의 목적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 24개월 이상 소아 요로 감염 원인균의 분포와 변화를 알아보고 주요 원인균인 Escherichia coli의 항생제 감수성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3년 1월에서 2008년 12월까지 본원에 열성 요로 감염으로 입원하여 치료받은 24개월 이상 환아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변 배양 검사에서 단일 세균이 $10^5CFU/mL$ 이상인 경우에 유의하다고 보고 원인 균주와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였다. E. coli의 항생제 감수성의 변화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두 시기(A군: 2003-2005, B군: 2006-2008)로 나누어 chi-square test for trend를 사용하였다. 결 과:환아들로부터 63례의 균주가 분리되었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E. coli로 77.8%의 빈도를 보였다. 원인균들의 시기별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E. coli의 항생제 감수성은 aztreonam, cefotetan, cefotaxime, ceftriaxone, cefepime, amikacin, imipenem에 대하여 90% 이상,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49%, ampicillin과 ampicillin/sulbactam에 대하여 20-25% 이었다. 두 시기 동안 E. coli의 감수성은 대부분 항생제에 대하여 변화가 없었으나, cefuroxime에 대한 감수성은 74.1%에서 95.5%로 증가하였고(P=0.006), ciprofloxacin에 대한 감수성은 59.3%에서 86.4%로 증가하였다(P=0.039). 결 론:E. coli 및 다른 그람 음성균은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mpicillin, ampicillin/sulbactam에 감수성이 낮아 단독으로 요로 감염의 초기 경험적 항생제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되며, 적절한 경험적 항생제의 선택은 그 지역 사회의 원인균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항생제 감수성의 결과에 근거를 두어야 하겠다.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 : 단일기관에서 12년간의 경험 (Peritoneal Dialysis-related Peritonitis in Children: A Single Center's Experience Over 12 Years)

  • 오성희;이윤정;이진아;이주훈;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6권2호
    • /
    • pp.80-88
    • /
    • 2012
  • 목적: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의 특징과 International Society for Peritoneal dialysis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적절한지 분석하였다. 방법: 2000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서 복막 투석을 한 경험이 있는 7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복막 투석을 받은 32명의 환자에서 79회의 복막염이 발생하여 발생빈도는 0.43회/환자 년이었고 복막 투석 방식에 따른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P=0.459). 또한 21명의 환자가 51회의 복막 도관 감염을 경험하였고 도관 감염의 발생 빈도는 0.28회/환자 년이었다. 복막 도관 감염에 따른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P=0.721). 79회의 복막염 중 68.4%에서 균이 동정되었으며, 그람 양성균 중 85.3%가 ${\beta}$-lactam계 항생제에 감수성이 있었고 그람 음성 막대균 중 94.7%가 ceftazidime에 감수성이 있었다. 균이 동정되지 않은 복막염 중에는 92.0%에서 cefazolin과 ceftazidme에 치료 반응을 보였다. 결론: 복막 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0.43회/환자 년이었고, 복막염에 대한 치료로 cefazolin과 ceftazidime의 초기 경험적 항생제 투여는 복막염의 91.1%에서 적절하였다. 그러나 내성 균주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의 경험적 항생제 치료에 관한 연구 (Peritoneal Dialysis Associated Peritonitis and Empirical Antibiotics Therapy in Korean Children with Chronic Renal Failure)

  • 이상구;조중범;손영배;박성원;김수진;진동규;백경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213-220
    • /
    • 2008
  • 목 적 : 최근 소아 복막염에서 methicillin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균주가 증가하고 있어서 the International Pediatric Peritonitis Registry(IPPR) 가이드라인에 따른 초치료 경험적 약제의 선택의 효용성에 대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발생한 복막염을 중심으로 ISPD 가이드라인을 따른 경험적 항균제 선택의 치료 효과적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7년간 삼성 서울 병원에서 복막 투석을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복막염을 일으킨 원인 균의 미생물학적 특성과 ISPD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복막염을 치료 했을 때의 임상적 경과 등에 대해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복막 투석을 받은 42명의 환자 중, 21명에서 48례의 복막염이 발생하였다. 복막염 발생율은 one episode over 35.3 patient-months였으며, 복막염 발생 전까지의 평균 투석 기간은 18.06$\pm$15.81개월이었다. 그람 양성균에 의한 복막염이 전체의 58.3%를 차지하였으며, 이중 S. aureus와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가 가장 많았다. 동정된 그람 양성균들 중 35.7%는 1세대 cephalosporin에 저항성을 보였으나 4세 이하의 환자에서는 50%가 저항성을 보였다. 그람 음성균 중에서는 E. coli가 가장 많았다. 동정된 모든 균들은 현재 사용중인 1세대 cephalosporin과 ceftazidime의 병합 요법에 64.8%가 감수성을 보였다. 결 론: 국내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에서 경험적 항생제 초치료로 현재 사용중인 1세대 cephalosporin과 ceftazidime의 병합 요법은 여전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4세 미만의 환자에서는 경험적 항생제 초치료로 1세대 cephalosporin 대신 glycopeptide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아에 있어서 전신성 칸디다증의 임상적 특징 : 전신성 세균 감염증과 비교 (A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stemic Candidiasi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Comparison with Systemic Bacterial Infection)

  • 임정화;박경필;김진경;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7호
    • /
    • pp.847-854
    • /
    • 2002
  • 목 적: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장기간 입원 중인 환아는 입원중 전신성 감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이미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는 환아에서 전신 감염 증상이 발현하면, 전신성 칸디다증은 장기간의 amphotericin B의 투여가 필요하며 세균 감염증은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의 교체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인 저출생 체중아를 대상으로 전신성 칸디다증의 임상증상과 증상 발현시의 검사 소견을 전신성 세균 감염증과 비교함으로써 이들 소견의 조기 감별 진단 상의의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미숙아 중 저출생 체중아 중에서 배양검사로 확인된 전신성 칸디다증 20례와 전신성 세균 감염증 23례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전신성 칸디다증 환아(이하 칸디다군)의 출생시 체중은 $1,290{\pm}290g$으로 전신성 세균 감염증 환아(이하 세균군)의 $1,530{\pm}430g$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며, 총 정맥 영양, 항생제 투여, 중심 카테테르, 기관 삽관, $H_2$ 차단제 사용의 빈도가 더 높았다. 임상 양상에 있어서는 서맥 동반 무호흡 및 호흡 곤란이 두 군의 주된 발현시 증상으로, 발현 빈도는 칸디다군(90%)에서 세균군(61%)에 비해 높았다. 증상 발현시 시행한 검사 소견에서 혈소판 감소증과 백혈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가 칸디다군 7례(35%), 세균군 2례(9%)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균은 대부분 혈액에서 배양되었으며(칸디다군 19례, 세균군 19례), 그 외에 요, 중심 카테테르, 뇌척수액 등에서 배양되었다. 감염균은 칸디다군은 Candida albicans가 15례, 세균군은 Klebsiella pneumoniae와 Enterobacter cloacae가 각각 5례로 가장 빈번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장기 입원 중 전신 감염증 증상을 보이는 환아에서 호흡기 증상과 함께 검사상 혈소판 감소 단독 또는 혈소판 감소증과 백혈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전신성 칸디다 감염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Clinical Features of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 Eun, So Hyun;Kang, Ji-Man;Kim, Ji Hong;Kim, Sang Woon;Lee, Yong Seung;Han, Sang Won;Ahn, Jong Gy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1호
    • /
    • pp.35-44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방광 요관 역류(vesicoureteral reflux) 환아에서 재발성 요로감염의 임상양상을 조사하고, 첫 번째 및 재발성 요로감염 간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방관 요관 역류로 진단된 소아 환자 중에서 요로감염이 발생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요로감염 건에서 같은 균종이 동정된 경우를 1군으로, 다른 균종이 동정된 경우를 2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2005년 4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13년 간의 연구 기간 동안, 총 77명의 방관 요관 역류 환아가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요로감염을 경험하였다. 이중 47명의 환자(61.0%)가 재발성 요로감염소견을 보였다. 재발성 요로감염 환자중에서 1군은 19명(40.4%)이었고, 2군은 28명(59.6%)이었다. Escherichia coli (n=37, 39.4%)는 재발성 요로감염환자의 첫번째 및 두번째 요로감염 건에서 가장 흔하게 분리된 원인균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Klebsiella pneumoniae (n=18, 19.1%), Enterococcus faecalis (n=14, 14.9%), Enterobacter aerogenes (n=7, 7.4%), 및 Pseudomonas aeruginosa (n=4, 4.3%) 순이었다. 비록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 E. coli에 의한 재발 시, 같은 균에 의한 재발 임에도 ceftazidime, piperacillin/tazobactam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비율이 첫 번째보다 두 번째 감염에서 증가하였고, E. aerogenes에의한재발에서도 cefotaxime, ceftazidime, piperacillin/tazobactam 및 meropenem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비율이 첫 번째보다 두 번째 감염에서 증가하였다. 결론: 방관 요관 역류 환아의 재발성 요로감염에서 경험적 항생제를 선택할 때, 이전 감염의 병원균 및 항균제 감수성 결과가 재발 시에 항상 동일하지는 않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Gram-Negative Bacteria in Children Younger Than 24 Months with a Urinary Tract Infection: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over 15 Consecutive Years

  • Lee, Yoon Kyoung;Lee, Haejeong;Kim, Jong Min;Kang, Ji-Man;Lee, Sang Taek;Lee, Nam Yong;Kim, Yae-Jean;Cho, Heeyeo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9권2호
    • /
    • pp.148-153
    • /
    • 2015
  • Purpose: We investigated trends in antibiotic resistance for gram-negative bacteria in infants with a urinary tract infection (UTI) over 15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for children younger than 24 month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and were diagnosed with a UTI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4. We selected urine culture data that grew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Baseline clinical information and results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15-year study time frame into three periods (A: 2000-2004, B: 2005-2009, and C: 2010-2014).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478 applicable children were identified (E. coli, 89.7% and K. pneumoniae, 10.3%). Antibiotic resistance to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s was increased from period A to period C (A, 2.1%; B, 8.3%; C, 8.8%; P=0.025). Resistance to quinolones also showed a steady pattern during periods A to C,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7.9%; B, 9.7%; C, 12.4%; P=0.221). The incidence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producing gram-negative bacteria increased from period A to period C (A, 1.4%; B, 7.6%; C, 8.2%; P=0.012).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mmon uropathogens E. coli and K. pneumoniae experienced increasing resistance rates against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s and a constant antibiotic resistance to quinolones in children younger than 24 months. We also showed a recent increased incidence of ESBL-producing gram-negative bacteria in patients with community-acquired UT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rveil resistance in order to properly select empirical antibiotics.

해면 정맥동 혈전증(Cavernous Sinus Thrombosis) 치험례 (CAVERNOUS SINUS THROMBOSIS : A CASE REPORT)

  • 장현석;장명진;김용관;김경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447-455
    • /
    • 1995
  • Cavernous sinus thrombosis is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of abscesses of the maxillofacial region. The initial symptoms of CST are usually pain in the eye and tenderness to pressure. this is associated with high fluctuating fever, chills, rapid pulse, and sweating. Venous obstruction subsequently causes edema of the eyelids, lacrimation, proptosis, chemosis and retinal hemorrhages. Blindness is sometimes an accompaniment of cavernous sinus thrombosis when the infection also involves the orbit. There is also cranial nerve involvement (oculomotor, troclear, abducence) and ophthalmoplegia, diminished or absent corneal reflex, ptosis, and dilation of the pupil occur. The terminal stages bring signs of advanced toxemia and meningitis. Infections of the face can cause a septic thrombosis of the cavernous sinus. Furunculosis and infected hair follicles in the nose are frequent causes. Extractions of maxillary anterior teeth in the presence of acute infection and especially curettage of the sockets under such circumstances can cause this condition. The infection is usually staphylococcal. The inflection may spread directly through the pterygoid plexus of veins and the pterygomaxillary space and then ascend into the sinus or it may spread directly from the pterygopalatine space to the orbit. This is possible because of the absence of valves in the angular, facial, and ophthalmic veins. The treatment is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followed by specific anbibiotic therapy based on blood or pus culture. The inflection usually involves one side, however, it may easily spread to the opposite side through the circulus sinus. Unless it is treated early, the prognosis is poor even in this doses. Occasionally the antibiotics will not adequately resolve the septic thrombus, and death ensues. the use of anticoagulants to prevent venous thrombosis has been recommended, but the efficacy of such therapy has not been substantiated. Surgical access through eye enucleation has been suggested. We report a case which demonstrates cavernous sinus thrombosis by the infection after the functional neck dissection and the intraoral reconstruction with auriculomastoid fascio-cutaneous island flap.

  • PDF

소아 요로감염의 원인균주별 임상양상과 항생제 내성률 : 대장균과 비대장균의 비교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Escherichia. coli Versus Non-E. coli)

  • 배이영;이수영;정대철;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2호
    • /
    • pp.67-73
    • /
    • 2010
  • 목적:소아 UTI에서 non-E. coli UTI 의 빈도를 확인하고 원인균주별(E. coli vs. non-E. coli) 임상양상과 항생제 내성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9월부터 2009년 8월까지 UTI 입원 환아 중에서 원인균주가 배양 증명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학적 특징, 임상양상, 검사소견, 원인균주와 항생제 내성률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전체 84명 중 E. coli UTI 은 63명(75.0%)이었고 non-E. coli UTI은 21명(25.0%)이었다. 성별 연령군에 따라서 non-E. coli의 분포는 차이를 보였다 : 6개월 미만 남아군, 10.5%; 6개월 이상 남아군, 50.0%; 6개월 미만 여아군, 43.7%; 6개월 이상 여아군, 25.0% (P =0.014). E. coli UTI군에 비해, non-E. coli UTI 군에는 입원 전 항생제를 치료받은 환아의 비율이 높았고(P=0.017), 혈뇨가 동반된 환아의 비율은 낮았다(P=0.014). E. coli 보다 non-E. coli는 cefazolin과 cefotaxime, imipenem, TMP/SMX, tetracycline에 대해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P<0.05). 결론:소아 UTI 치료과정에서, 증가 추세의 non-E. coli UTI 빈도와 성별 연령군별 원인균주의 차이, E. coli 보다 높은 non-E. coli의 항생제 내성률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에서 발생한 Mycobacterium abscessus에 의한 폐렴 1예 (A Case of Mycobacterium Abscessus Pneumonia in a Patie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임재준;오명돈;유철규;송영욱;김영환;서정욱;한성구;최강원;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96-102
    • /
    • 1999
  • 전신성 홍반성 낭창으로 3년 전부터 스테로이드를 복용 중이던 40세의 여자 환자가 발열과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증상과 방사선학적 소견은 경험적인 항균제 투여에 반응이 없었으며 개흉 폐생검의 결과 항산균을 관찰할 수 있었고 객담 항산균 배양 검사에서는 신속 성장균을 발견하여 생화학적 검사와 분자 생물학적 검사로 Mycobacterium abscessus로 확인하였다.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imipenem과 amikacin을 정주 투여하여 환자의 증상과 방사선 소견을 모두 호전시킬 수 있었다.

  • PDF

승모판 폐쇄 부전증에서 발생한 국소적 폐부종 1예 (Localized Pulmonary Edema in Patient with Severe Mitral Regurgitation)

  • 윤영걸;방도석;박범철;이성훈;김재수;박열;홍영철;박상민;고경태;한상훈;박상훈;임준철;나동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432-435
    • /
    • 2005
  • 승모판 폐쇄 부전증에 의한 심부전의 경우 대부분 양측폐에 대칭적으로 폐부종이 발생하지만 일부의 경우 국소적인 폐부종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우상엽에 발생하며 우중엽에 동반되기도 한다.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의 흉부 방사선 소견상 일측성 침윤이 보일때 폐렴과 국소적인 폐부종을 감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