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safety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초

어린이 화상사고 유형과 어머니의 예방, 태도, 지식에 대한 실태조사 (A survey of the Types of Burns in Children and Mother's Preventive Attitudes to, and Knowledge of Burns)

  • 한정석;김동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97-104
    • /
    • 1998
  • Burns in children result in the loss of precious life, or if the child survives, in much suffering from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se burn accidents to children happen in the bustle of family life and frequently without any warning. With this background inform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ty types of burns in children and mothers' attitudes towards, and knowledge of burn prevention, in order, to not only, in still a safety consciousness regarding the seriousness of burn accidents and the strengthening prevention, but also as basic data towards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aimed at prevention. From May 1 to May 25 in 1997,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others of children attending five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which had been selected for the study. The tools used for the study, whic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surveyed the type of burns suffered by children, mothers' knowledge of burns and attitudes toward burn acci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al numbers percentages and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computer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most frequent type of burn accidents were those caused by hot water(55.4%) and these were frequently related to everyday habits that easily lead to danger. Further, the first aid treatment following a burn was weak. The majority of the mothers had not instructed their children on who to contact in the case of a fire, first aid for burns, or how to take escape in the case of a fire. This left the children in a defenseless position in case of a fire. The mothers showed a lack knowledge, on what to do when a blaze is discovered, how to put out a fire, first aid for burns, escaping from a fire and appropriate water temperature, in that 50% of the time they answered incorrectly. From this study a prevention program, HIPP (Home Injury Prevention Program) could be developed that includes fire prevention habits and first aid for burns. This program can be used with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group education on fire prevention and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construction of a system of facilities and equipment to prevent fires and also prevent injury from fires.

  • PDF

어린이 화상사고의 실태와 예방대책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Burn Accidents in Children towards Developing a Program for Prevention)

  • 한정석;서미혜
    • 대한간호
    • /
    • 제36권4호
    • /
    • pp.61-74
    • /
    • 1997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which was done to examine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burn accidents in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a burn prevention program.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the mothers of 107 children admitted to two burn specialty hospitals in seoul and the mothers of 172 healthy children attending day care or kindergarten. The tool used in the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pretested and refined. Cronbach's alpha was 0.72.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November 1995 and April 1996. Statistically analysis was done using SAS Version 6.04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est, chi square, regression and logistic analysis. A suumary of the results shows the following : Eighty percent of the children in both groups lived in nuclear families but comparatively more of the children with burn accidents lived in apartments. More of the parents in the group of healthy children had university education and held white collar or professional jobs, while the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burn accidents were slightly younger than the parents of the healthy children. but not significantly younger.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burn accidents had more than one chi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burn accidents that they were more frequently boys, either first or last born and very active. Most of the burn accidents occurred in fall or winter. sometime between noon and midnight and the majority occurred in the home and were caused by hot liquid. In 86% of the cases emergency care was not given at home but the child was brought to the hospital emergency unit. Most of the burns were second degree or greater. involved the arms or legs. required admission, and 41.5% occurred when the parents were preparing or eating meals. In a test of knowledge of preventive measures, the mothers of children who had suffered burn accidents scored slightly higher than the mothers who had no experience with burn accident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o what to do in the case of a fire, the mothers of the healthy children had more knowledge about who to notify. but 70% of the mothers in both groups did not know how to escape from the house if it was of fire. 80 to 96% did not know what do to in case of a fire, such as rolling if clothes were on fire. 80% did not know what emergency care to give for a burn, and 74 to 87% did not know when it is appropriate to try to put out a fire. It can be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si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t frequent situation which resulted in burn accidents was when the parents were not aware of the danger of burns or were not paying attention to the child. and when there were no protective devices to prevent burns. and that accidents most frequently occurred at home. the most effective way of preventing accidents is to develop in the parents a "safety mind", Since burn accidents in children are usually more severe than in adults. the physical.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damage is greater. In order to develop and awareness of this in the general public. the use of mass media. books and pamphlets and other educational media that provide education on prevention of burn accidents need to be utilized.

  • PDF

온라인 쇼핑몰VMD에 대한 지각된 가치의 영향요인으로 소비자 조절초점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s' regulatory focus as a determinant of perceived value of online shopping mall VMD)

  • 서용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213-232
    • /
    • 2014
  • 의류제품 온라인쇼핑몰의 고객확보 경쟁이 날로 치열해 짐에 따라 쇼핑몰 재방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쇼핑몰의 VMD는 소비자의 쇼핑몰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기존연구에서 VMD가 소비자 선택과 쇼핑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규명되었지만, 소비자의 목적지향적 특성에 따라 소비행동(선택과 평가, 성과반응)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쇼핑몰이나 제품을 평가하고 선택할 때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 소비자가 사용하는 전략과 개인적 목적지향 성향의 적합성에 따라 소비행동과 성과평가에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최근 이와 같은 개인특성을 설명하는 이론이 조절초점이론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 상황에서 VMD 요소가 개인적 목적지향 성향인(조절초점)에 따라 소비자 반응(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민감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였다. 실증연구는 두 개의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소비자의 초절초점이 온라인 쇼핑몰 VMD 요소의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향상초점 성향이 강한 소비자는 시각적요소와 엔터테인먼트 속성에 민감한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는 안전과 프라이버시 속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2]에서는 온라인 VMD의 지각된 가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향상초점 소비자는 쾌락적 가치가 충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는 실용적 속성이 충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아의 자유선택활동과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 (Young Children's Free Choice Activities and a Play Rule Restricting the Number of Players)

  • 이유정;원계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7-8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선택활동 시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에 따른 유아의 놀이를 알아보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가 자유선택활동 운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참여자는 사립유치원 4세 학급 유아 25명과 담임교사와 공동연구자인 도움교수였다. 2014년 7월부터 10월까지 유아 관찰, 유아 인터뷰, 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영역 선택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름표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서로 간의 과도한 경쟁을 하고 있었으며 규칙을 위반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인원수 제한규칙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 제한, 사회정서발달 저해와 안전사고 위험, 자유선택 행동 저해 등의 역기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규칙의 역기능을 인식한 연구자는 인원수 제한규칙을 해제함으로써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공간 놀이 갈등 조절에서 유아의 자율성이 증진되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과 운영방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자유선택활동의 다양한 제한규칙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규칙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중학생을 위한 보건교육의 영역 및 주요개념 선정을 위한 일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for Health Education in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s)

  • 이경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26
    • /
    • 1990
  • In Korean education, the health contents are scattered in various course subjects throughtout the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curriculum. So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 for health education using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that represent the scope of material that should be covered in health instruction. The steps used in selecting these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were as follows: 1.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health and health education was done to develop the rationale underlying this study. 2. Health topic areas basic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o human needs and to societal needs for healthful living were indentified. 3. The major concepts for each health topic area based on health sciences and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levels were selected. 4. The major concepts selected were organized in sequence to guide health education from grade one to grade n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dentification of eleven health topic areas essential for health education. These include: personal habits and health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nutrition and health prevention of disease and disorders drugs and health mental health family life and health sex education accident prevention consumer health community health 2. The identification of the major concepts(generalizations) for each health topic area: 33 major concepts were identified as a guide in determining the health cont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s. These are 1) body cleaniness, 2) health of the sensory organs, 3) dental health, 4) exercise and rest, 5) growth and development, 6) body structure and function, 7) developmental tasks, 8) balanced nutrition, 9) eating habits, 10) food preparation and food storage, 11) sources of disease and disorders, 12) disease preventive behavior, 13) care during illness, 14) drug use and misuse, 15) drug addiction, 16) emotional responses, 17) human relationship, 18) self concept, 19) social adjustment, 20) health habits of the family, 21) interdependence of family members, 22) origin of life, 23) characteristics of man and woman, 24) sexual instinct, 25) safety behavior, 26) emergency measures, 27) criteria for selection of health products, 28) proper use of health information, 29) utilization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30) environmental conservation, 31) environmental pollution, 32) population control, 33) fun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3. The organization of the concepts(generalizations) in sequence and for continuity in health instruction at the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level.

  • PDF

한국 영화에 나타난 아버지 캐릭터의 부성성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Research on the Semiotic Analysis of Father Characters' Paternity in Korean Films)

  • 이윤석;김슬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15-228
    • /
    • 2011
  • 수천년을 거쳐 온 역사 속에서 '아버지'라는 인물은 가족의 건강과 마음을 챙겨주는 대상 이외에도 사회적으로 가족을 대표하고 부양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19세기에 편중된 서구의 가부장적 전통과 더불어 한국 사회에서의 아버지 역시 한국 전통의 유교문화를 바탕으로 가부장적 부성성을 띠고 있다. 1960년대부터 산업화를 이루어 결국 21세기에는 가족중심주의 대신 개인중심주의로, 서열화 대신 평등성을 강조하며 상호존중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하는 근대적 가치에 중심을 두게 되었다. (2005, 한국가족문화원, 21세기 한국 가족)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진 급작스런 근대화로 인해 실제로는 아직 한국사회에 전통적 가족문화 현상이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국 이러한 한국 특유의 가족문화를 바탕으로 가족 내에서 한국의 아버지는 가부장적 남성중심적 사고를 가지고 가족의 생계와 안전을 책임지며 감정보다는 이성에, 부드러움 보다는 무뚝뚝함에 더 중심을 두는 것이 남자, 그리고 아버지로서의 역할이라고 여기게 된다. 이러한 아버지의 모습에 대한 사회적 이데올로기는 미디어를 통해 표현되는데, TV나 영화에서 보여지는 가부장적 아버지의 이미지가 그 예이다. 본고는 그러한 한국의 아버지가 묘사된 영화 분석을 위해 선정한 영화 두 편을 통해 한국 영화 속에서 표현되는 아버지의 역할이 어떠한지를 메츠의 통합체, 계열체분석과 그레마스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기호학적 의미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사례분석을 위해 선정된 영화로는, 한국형 가장으로서의 아버지가 표현된 영화 '플라이 대디'와 한국형 기러기 아빠가 등장하는 '우아한 세계'가 있다. 위의 영화들은 영화 속의 가부장적 부성성과 그 배경이 된 한국 전통의 이데올로기가 미디어를 통해 투영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법무보호대상자의 진로자본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very Process of Career Capital for Rehabilitation Protection Recipient)

  • 박혜경;한순옥;박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400-413
    • /
    • 2017
  • 출소 후 건전한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법무보호대상자(이하 보호대상자)들은 반드시 진로자본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들의 진로적응 실패는 개인은 물론 사회안전망에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로자본 회복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 보호대상자 10명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보호대상자들의 진로자본 손상에 따른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 요인, 직업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요건 등 진로 주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호대상자들은 수감생활로 진로자본 손상을 경험하며,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 사회적 낙인의 두려움, 자기에 대한 평가절하가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자신감 결여와 소극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등이 사회적 관계를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었다. 한편,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우자, 고용주, 가족, 친구들의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업적응을 위한 노력으로 진로에 대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태도와 긍정적인 자세가 중요하며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에서의 긍정적인 평가와 인정, 진로 성공경험 등이 일에 대한 자신감 상승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진로자본 회복과정에서 역기능적 신념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난 대응 활동 시 노출가능 유해인자 종합분석 -화재 현장을 중심으로- (Comprehensive Analysis of Exposed Adverse Factors in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 Focused on Fire -)

  • Park, Chanse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20-430
    • /
    • 2014
  • 화재와 같은 재난현장에서 재난대응활동을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은 진압 구조 구급활동을 하는 동안 열, 연기, 유독가스에 노출되며 정신적인 스트레스, 생물학적 유해인자, 그리고 화재 진압 시 요구되는 인체공학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인한 육체적 과부하 등의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개별적 수준에서는 일부 존재해 왔지만 화재현장에서 소방관에게 노출되는 유해인자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그 대책까지 제안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현장에서의 안전 및 유해인자를 종합적으로 도출하고 그 대응방안까지 제시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의 노출로 인한 건강장애 및 사고 예방에 기여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소방업무환경별로 화재진압분야, 구조 및 구급분야, 생활환경분야로 나누어 환경분석을 하고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심리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화재현장의 유해인자를 도출하고 노출현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물리적 유해인자 중에는 특수건강검진 결과 가장 많은 케이이스수를 차지하는 소음분야에 대하여 대처방안을 모색하였다. 화학적 유해인자는 보호장비와 클린룸 운영방안을, 생물학적 유해인자는 감염예방교육과 예방접종, 주기적 관리점검 체계확립을, 심리적 유해인자는 PTSD 경감 부스 설치와 멘토링제도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차세대 이동공간 대상의 콘텐츠 감성 평가를 위한 우선순위 도출 (Prioritization Analysis for Contents Sensibility Evaluation of the Future Mobility)

  • 이정민;주다영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3-16
    • /
    • 2018
  • 제 4차 산업 시대의 도래는 기존 사회와 산업 생태계를 급속히 변화시키며, 기술, 문화, 금융 등의 경계선을 사라지게 하고 있다. 이동공간 산업도 마찬가지로, 기존의 기계공학 중심의 산업이 전자 및 정보통신기술과 융합함에 따라 이동성 및 안전성 중심의 공간을 넘어, 인포테이먼트 및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수행된 차세대 이동공간 관련 이론적 평가 방법은 대부분 사용성 평가, 혹은 수용성 평가방법 등에 집중되어있으나, 실제 동향조사에 의하면 대부분의 자동차 OEM을 포함한 많은 이동공간 업체에서는 감성평가를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차세대 이동공간에서의 콘텐츠 인터랙션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 어떠한 감성 요소들을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해 수행한다. 패트릭 조단의 네 가지 즐거움 이론의 감성요소들을 기반으로 국내 운전자 116명을 대상으로 차세대 이동공간에서 콘텐츠 감성평가를 수행할 때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 평가하였다. 통계분석 및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 결과, 심리적-관념적-사회적-물리적 즐거움 순으로 평가 우선순위를 도출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콘텐츠 소비 유형에 따른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교육요구 조사 (Survey on Educational Needs fo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황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71-28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업무 수행 과정에서 겪고 있는 요구 중에서 지식, 기술, 태도의 결핍과 관련된 교육요구를 밝히고, 다양한 형태의 교육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교육체계의 수립 및 향후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교육요구분석 결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게 필요한 상위 10개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위기(응급)상황 대처기술의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와 실천(특성, 인권, 안전, 건강 등), 사례관리(심화), 상담기법(기본), 사례관리(기본), 상담기법(심화),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민원대응 및 감정노동 관리, 의사소통 능력향상(직원 간, 클라이언트 등), 사업성과(사업 계획, 실행, 관리 및 평가 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직무전문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도내 직무교육의 다양성과 체계적 훈련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종사자를 위한 체계적 교육훈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직무교육의 질적 성장, 직무중심의 교육과정 확대, 전문성 있는 우수한 강사진의 확보 등 다양한 결과들이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