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Vocabular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2초

대학도서관 공간 평가를 위한 감성어휘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Vocabulary Based on Space Assessment of the Academic Library)

  • 노동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3-104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공간과 관련된 감성어휘들을 도출하여 향후 도서관 공간 설계 및 평가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5단계의 추출 및 정제 과정을 통하여 대학도서관 공간과 관련된 주요 감성어휘 12개를 도출하였다. 감성어휘와 관련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분석, 대학도서관 사서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설문조사, KJ법을 통한 유사도 평가 등을 한 결과, 최종적으로 '다양하다, 만족스럽다, 필요하다, 가득하다, 깨끗하다, 안정적이다, 알맞다, 조화롭다, 개방적이다, 따뜻하다, 자연스럽다, 훌륭하다'가 대학도서관 공간과 관련된 감성어휘로 선정되었다.

Forest Activities for Developing Emotional Vocabulary and Lowering Cortisol Levels in Kindergarteners

  • Yun, Suk Young;Seol, Ga Ae;Jang, Hyun Hee;Kim, Mi Jin;Cho, Byung 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5-39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on the cortisol concentrations in the body and emotional vocabulary of kindergarteners. The participants were 36 kindergarten children aged 4-5, 17 in the control group and 19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est activities consisted of six steps according to the level of kindergarteners, and the program was carried out at G City Environment Training Institut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hildren's emotional vocabulary was self-reported and salivary cortisol was analyzed to evaluate changes in the body's stress hormones. As a result, in the control group, positive word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0.14 to 1.53 (p=.003), but the decrease in negative words was not significant (p=.059). In the experimental group, positive word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0.47 to 2.84 after forest activities (p=.000). Negative word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94 to 0.00 after forest activities (p=.000). In the analysis of salivary cortisol, the change in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s was not significant (p=.667) in the control group, merely decreasing from 0.179 ㎍/dl to 0.161 ㎍/dl.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0.202 ㎍/dl to 0.161 ㎍/dl after forest activities (p=.049).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est play activities may be helpful in encouraging young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by increasing positive vocabulary and decreasing negative vocabulary and reducing stress in kindergarteners.

감성 어휘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사례의 선호도 조사 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Survey for the Media Facade Cases according to the Sensibility Keywords)

  • 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58-67
    • /
    • 2013
  •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investigation of media facades used for landmarks in downtown areas in previous studies, visits to these areas, and recording of media facades. The changes in the colors or the size of buildings were analyzed among the recorded cases and 12 of these cases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The sensibility preference of the media facades was evaluated by sorting the 12 kinds of media facades, and providing them as materials to a group of 60 participants (40 undergraduate and 20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chitecture and design) consisting of an equal proportion of males and females.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four_stage questions: 1) Five questions of recognition evaluation about media facades and the cognitive evaluation items of emotional vocabulary and color preference in each research case; 2) sensibility preference items regarding the media facade color design; and 3) design evaluation items of the media facades; 4) Video clips and still images were recorded from a middle distance at 7p.m to 11p.m. in central New York, Singapore, Seoul, and Beijing. The participants looked at the changes in colors through the video clips in each case and evaluated their preferences through 23 pairs of emotional vocabulary items using system dynamics. Construction of an emotional vocabulary follow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media facades and color design. To evaluate the sensibility preference and the perceived representative colors of the media facade, this study suggests new emotional responses that depended on the color emotional vocabulary of light in the LED lighting technical evaluation methodology. A media facade with a moving change of colors, unlike a fixed landscape color design, suggests a new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architectural factors. New architectural color coordination can be presented for urban landscapes at night. Designs that factor in the pedestrians' emotional vocabulary or preference should take precedence over the use of high luminance and various colors.

뉴트로 스타일 제품의 감정 어휘 추출 연구 (A Study on Extracting Emotional Vocabulary of New-tro Style Product)

  • 이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41-548
    • /
    • 2020
  • 감성에 대한 관심도는 한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세대의 감성을 가리키는 신조어인 갬성과 더불어 최근에는 복고에 새로움을 더한 뉴트로(New-tro)와 같은 새로운 스타일이 나타났다. 감성의 특성이 시간과 환경에 대한 영향이 강하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현재의 새로운 스타일에 대한 일반인들의 감정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9개의 뉴트로 스타일이 적용된 제품에서 '갖고 싶다, 귀엽다, 기분이 좋다, 기쁘다, 독특하다, 멋있다, 세련되다, 예쁘다, 재미있다, 좋아하다, 즐겁다, 특별하다' 12개의 감정 어휘를 선정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 남성은 '재미있다-귀엽다-기분이 좋다', 여성은 '독특하다-귀엽다-재미있다' 등의 순으로 감정의 강도가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40대, 30대, 50대, 20대의 순으로 감정의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감정 어휘는 뉴트로 스타일이 적용된 대상의 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시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감성 평가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A Study on Imag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Speech Emotion Information

  • Kim, Tae Yeun;Bae, Sang Hy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31-138
    • /
    • 2018
  • In this paper, we have implemented speeches that utilized the e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speech and image matching and recommendation system. To classify the user's emotional information of speech, the emotional information of speech about the user's speech is extracted and classified using the PLP algorithm. After classification, an emotional DB of speech is constructed. Moreover, emotional color and emotional vocabulary through factor analysis are matched to one space in order to classify emotional information of image. And a standardized imag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he matching of each keyword with the BM-GA algorithm for the data of the emotional information of speech and emotional information of image according to the more appropriate emotional information of speech of the user.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cognition rate of standardized vocabulary in four stages according to speech was 80.48% on average and system user satisfaction was 82.4%.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images according to the user's speech information will be helpful for the study of emotional exchange between the user and the computer.

SNS의 해시태그를 이용한 감정 단어 수집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motional Word Collection System using Hash Tag of SNS)

  • 이종화;이윤재;이현규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2호
    • /
    • pp.77-94
    • /
    • 2018
  • Purpose As the amount of data became enormous, it became a time when more efforts were needed to find the necessary information. Curation is a new term similarly to the museum curator, which is a service that helps people to collect, share, and value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In SNS, hash tag is used for emotional vocabulary to be transmitted between users by using (#) tag. Design/methodology/approach As the amount of data became enormous, it became a time when more efforts were needed to find the necessary information. Curation is a new term similarly to the museum curator, which is a service that helps people to collect, share, and value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In SNS, hash tag is used for emotional vocabulary to be transmitted between users by using (#) tag. Findings This study base on seven emotional sets such as 'Happy', 'Angry', 'Sad', 'Bad', 'Fearful', 'Surprised', 'Disgusted' to construct 327 emotional seeds and utilize the autofill function of web browser to collect 1.5 million emotional words from emotional seeds. The emotional dictionary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as a tool to make emotional judgment from unstructured data.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한국어 SentiWordNet 개발 방안 연구 : 분노 감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Developing Korean SentiWordNet for Big Data Analytics : Focusing on Anger Emotion)

  • 최석재;권오병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9
    • /
    • 2014
  • 빅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감정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들이 특정 대상에 대하여 갖고 있는 인식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품, 영화, 그리고 사회적 이슈 등에 대한 문장을 분석하여 사람들이 해당 주제에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측정하여 구체적인 선호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문장에서 드러나는 감정 정도를 얻기 위해서는 감정어휘의 목록과 정도값을 제시할 수 있는 감정어휘사전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감정어휘를 발견하는 방법과 이들의 정도값을 결정하는 문제를 다룬다. 기본적인 방법은 기초 감정어휘의 목록 수집과 이들의 정도값은 선행연구 결과와 직접 설문 방식을 이용하고, 확장된 목록의 수집과 정도값은 사전의 표제어 설명부(glosses)를 이용해 추론하는 것이다. 그 결과 발견된 감정어휘는 전형성을 띠고 있는 기본형 감정어휘, 기본형 감정어휘의 gloss에 사용된 확장형 1단계 1층위 감정어휘, 비 감정어휘 중 gloss에 기본형 또는 확장형 감정어휘를 가지고 있는 확장형 2단계 1층위 감정어휘, gloss의 gloss에 기본형 또는 확장형 감정어휘가 사용된 확장형 2단계 2층위 감정어휘의 네 종류로 나뉜다. 그리고 확장형 감정어휘의 정도값은 기본형 감정어휘의 정도값을 기초로 문형의 가중치와 강조승수를 적용하여 얻었다. 실험 결과 AND, OR 문형은 내포된 어휘의 감정 정도값을 평균내는 가중치를, Multiply 문형은 정도 부사어의 종류에 따라 1.2~1.5의 가중치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NOT 문형은 사용된 어휘의 감정 정도를 일정 정도로 낮추어 역전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확장형 어휘에 적용되는 강조승수는 1층위에서 2, 2층위에서 3을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정서 어휘에 반영된 선율 특성에 적합한 화음 구성과 전개 (Harmonic Compositions and Progressions for T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Emotion Vocabulary)

  • 이수연;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65-2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 어휘에 반영된 선율에 적합한 화음 구성과 전개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8명의 음악중재전문가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정서 어휘의 의미와 선율을 반영하는 화음 구성과 전개를 작곡하고 근거에 대해 서술하게 하였다. 자료 분석은 화음 구성 비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정서 어휘별로 비교하고, 유사한 답변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124명의 음악치료와 음악전공자를 대상으로 연구 1의 결과에 따른 정서 어휘별 화음 구성과 전개의 적합성을 조사하고, 타당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쁨의 어휘는 장화음, 주화음, 연속적인 화음 변화, 화남의 어휘는 단화음, 증화음, 9 11화음, 미해결된 7화음의 전개, 슬픔의 어휘는 단화음, 감화음, 반음계 전개의 사용 비율이 높았다. 타당도 검증 결과, 기쁨(97.2), 화남(75), 슬픔(80.6)으로 나타나 기쁨의 어휘에서만 유의성이 높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노래의 선율 창작시 가사가 전달하는 정서적 측면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화음 사용의 근거자료를 제시한다.

영아반 그림책 읽기 활동,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및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s' Vocabulary Ability, Classroom Reading Activities and Teac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Book Reading)

  • 정지은;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91-10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oddlers' vocabulary ability with reading activities and teac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book reading. The subjects were 52 teachers and 104 toddlers at age 2. Lee and Kim (2004)'s categories of the Teachers' Verbal Behaviors, the categories of the Nonverbal Behavioral Analysis(Kim. 2005), and the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Kim, et al.1995) were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and Correl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subcategories of reading activities in classrooms, teachers' picture book reading behaviors, and toddler's vocabulary ability. The toddler's vocabulary ability increased as the 'interacting time both before and after book reading' became longer. The toddler's vocabulary ability increased as 'connecting with previous experience', 'asking questions for confirmation', 'acknowledging,' and 'expanding' of verbal behavior, as well as the nonverbal behavior, such as 'requesting behavior', 'emotional contact,' and 'empathetic behavior.' In conclusion, teachers' reading behaviors and activities were related to toddlers' vocabulary ability.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의 공공 디자인 평가와 감성 평가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 Evaluation and User's Sensibility Evaluation of the Daejeon Skyroad Media Facade)

  • 백영주;김보성;김성훈
    • 감성과학
    • /
    • 제24권1호
    • /
    • pp.25-36
    • /
    • 2021
  • 본 연구는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의 공공 디자인 평가와 감성 평가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 영상물을 시청하여 대상자들이 미디어 파사드의 공공 디자인 평가 항목과 감성 어휘로 구성된 감성 평가 항목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의 공공 디자인 평가 결과의 평균 비교를 진행하고, 감성 어휘의 요인 구조를 도출하여 각 요인에 포함되는 감성 어휘를 바탕으로 공공 디자인 평가 요인과의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의 성별, 미디어 파사드 경험 여부, 연령에 따라 일부 차이 및 경향성을 보이는 공공 디자인 평가 항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성 어휘의 요인 구조로는 총 14개의 어휘가 4개의 요인 구조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공공 디자인 평가 요인에 걸쳐 공통으로 관련성이 높은 감성 어휘로는 "쾌적한-불쾌한"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관적으로 쾌적하다고 인식되는 감성이 공공디자인으로서 대전 스카이로드 미디어 파사드의 주된 가치로 평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성별과 연령을 고려한 정책이 반영되어 대전 스카이로드가 운영된다면 공공 디자인으로서의 가치가 더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