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Reading Ability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얼굴표정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ading Ability on Prosocial Behavior: Centered on Facial Expression)

  • 고정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433-4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하고 있는 사립유치원 만 5세 192명이다. 2018년 12월 17일부터 12월 27일까지 유아의 정서읽기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정서읽기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읽기능력은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정서읽기능력 향상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공감독서교육이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on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송지애;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67-292
    • /
    • 2018
  • 본 연구는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공감독서교육의 현실적인 공감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 10명을 선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공감독서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전문가 집단 10명과 교재도서의 중요도 선정을 위한 전문가 집단 12명의 델파이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경기도 U시 소재 A초등학교 5학년 104명을 대상으로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읽기 후속활동이 영아의 언어 및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ollow-up Activities after Reading Picture Books on Languag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 이화진;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55-46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follow-up activities of reading picture books influenced infants' languag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 2-year-old infants at public day care centers in Busan. After implementing follow-up activities of reading picture books for 8 week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changes in infants' languag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llow-up activities of reading pictures have brought positive impacts on infants' language ability. Results indicate a positive influence on infants' expressive and acceptive language ability. Second, follow up activities have also enhanced infants' socio-emotional development. Sepcifically, they have been effective in improving infants' low-level socio-emotional development such as 'internal control', 'peer interac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up activities developed by this research would help to enhance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영아반 그림책 읽기 활동,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및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s' Vocabulary Ability, Classroom Reading Activities and Teac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Book Reading)

  • 정지은;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91-10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oddlers' vocabulary ability with reading activities and teac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book reading. The subjects were 52 teachers and 104 toddlers at age 2. Lee and Kim (2004)'s categories of the Teachers' Verbal Behaviors, the categories of the Nonverbal Behavioral Analysis(Kim. 2005), and the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Kim, et al.1995) were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and Correl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subcategories of reading activities in classrooms, teachers' picture book reading behaviors, and toddler's vocabulary ability. The toddler's vocabulary ability increased as the 'interacting time both before and after book reading' became longer. The toddler's vocabulary ability increased as 'connecting with previous experience', 'asking questions for confirmation', 'acknowledging,' and 'expanding' of verbal behavior, as well as the nonverbal behavior, such as 'requesting behavior', 'emotional contact,' and 'empathetic behavior.' In conclusion, teachers' reading behaviors and activities were related to toddlers' vocabulary ability.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증진을 위한 감성독서교육 (Emotional reading education to improve the character of of Pre-Education Teachers)

  • 김성원;윤미승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2호
    • /
    • pp.68-79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독서를 활용한 인성교육 수업에 관한 사례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 기초하여 인성교육의 준거를 설정하고, 그에 합당한 도서 목록을 선정한 후, 실행 적용을 구성하였다.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독서를 활용한 인성교육 수업 목표로 유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을 함양하고, 유아에게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공과목 '인성과 감성독서' 강좌를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내용 개념과 이론수업을 듣고 인성덕목내용을 토대로 도서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뿐 아니라 유아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서 가정과 연계하여 실천할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는 점이 의의가 있다.

Predictor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among 'Looked after Children' in England

  • Sohn, Byou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61-74
    • /
    • 2009
  • This study identified the health, academic attainment, violence and abuse factors on predicting the conduct development and emotional symptoms in 'looked after children' placement. A sample of 1,543 children was interviewed regarding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and risk factor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ssess whether selected variables predicted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in 'looked after children'. All placement, health, academic, violence, and abuse factors differentiated behavioral and emotional symptom differences according to selected variabl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indictors of conduct behavior symptom among 'looked after children', included gender, age, placement, health, violence, and abuse. Placement, health, reading ability, violence, and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further predicted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These findings highlight multidimensional approaches to address various vulnerability indicators that have a direct application to prevention and intervention efforts to designed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children in public care.

진로적 측면에서 본 독서자본의 개념화 및 구성요소 탐색 : 빅 데이터 분석 활용 (The conceptualization of reading capital and the search for its components from the career perspective: Using Big Data Analysis)

  • 최미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14-426
    • /
    • 2018
  • 본 연구는 진로적 측면으로서 독서자본을 개념화하고 구성요소를 탐색하여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논문과 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독서관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효과성이 검증된 논문 209편을 대상으로 빅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독서자본의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독서자본(讀書資本, Reading Capital)은 독서를 통해 체화된 소양, 경험, 태도 등 유 무형 능력이 표출되어 인간을 이해하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이를 실행해 나감으로써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게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독서역량이란 독서에 대해 개인이 갖고 있는 흥미, 경험, 태도, 능력이 축적이 되어 독서를 지속적으로 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힘으로 정의하였으며, 인문학적 소양을 인간의 참된 본성과 전인성의 토대위해 인간을 이해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이를 실천해 나 갈수 있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통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독서자본의 구성요소는 독서흥미, 독서활동, 독서태도, 독서능력을 독서역량으로, 정서지능, 관계성, 자아정체성, 창의성, 적응성, 주도성, 가치관 등을 인문학적 소양으로 개념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독서자본의 정의, 구성요소의 탐색 및 정의는 관련 후속연구들 간의 연구 확장에 기초자료로써 그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농촌가정 자녀들의 방과후 활동에 대한 연구 (After-school activities of rural children)

  • 옥경희;김미해;천희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85-103
    • /
    • 2001
  • After-school activities were examined for 449 rural children in first through seventh grades. Childrens engagement of after-school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especially childrens age and behavior control ability. Findings showed a decline in amount of time spent studying and reading and a raise in going to a game-room.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ere also differed by a range of after-school activities. Children spent more time in studying and reading showed higher grades, happiness, school life. Teachers reported greater aggressive behavior and less adjustment of school life among children participating more in game related activities and hanging out. Watching TV, doing house chores and visiting friends were not variables which showed different outcomes.

  • PDF

Korean heritage students and language literacy: A qualitative approach

  • Damron, Julie;Forsyth, Justin
    • 비교문화연구
    • /
    • 제20권
    • /
    • pp.29-66
    • /
    • 2010
  • This paper is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s of Korean heritage language learners (KHLLs) with literacy (reading and writing), particularly before they enter the college-level heritage language classroom. Previous research,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has addressed the overall language background of KHLLs, including oral and aural proficiency and writing and reading ability, as well as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when the student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in relation to language test scores. This study addresses KHLL experiences in the following six areas as they relate to student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ir own heritage language literacy: language proficiency, motivation for learning, academic preparedness, cultural connectedness, emo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Fourteen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a convenience sample by responding to a 10-question survey. Trends in responses indicated that KHLLs entered the classroom with high integrational motivation and experienced great satisfaction with perceived progress in literacy, but students also expressed regret for having missed childhood learning experiences that would likely have resulted in higher proficiency. These experiences include informal and formal instruction in the home and formal instruction outside of the home.

저학년 외국인 가정 다문화 학생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에 관한 실행연구 - A초등학교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Action Research on Reading Picture Books for Lower-Grade Multicultural Students from Foreign Backgrounds: A Case of Collaborative Lessons with A Elementary School Library)

  • 위현미;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9-87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외국인 가정 다문화 학생의 언어능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운영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계획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며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다문화교육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업의 주요 요소들을 도출하여 수업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계하였다. 실제로 경기도의 A초등학교에서 1학년과 2학년 다문화 학생 5개 반 43명을 대상으로 20주 동안 반별로 각각 3회의 시범수업과 17회의 본 수업, 총 100회의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어 이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한국어 표현력과 발표 태도가 개선되었으며, 도서관 이용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은 학급생활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활용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절차는 실제 학교교육 현장의 수업 운영과정에서 구상되고 발전된 것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증가에 따른 수업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반영한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어떻게 수업 환경을 개선하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