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expressing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5초

현대 패션 사진에 표현된 죽음의 재현(再現) - 페이스북의 패션 사진을 중심으로 - (Death 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Fashion Photography - The Focus on Facebook Fashion Photography -)

  • 윤예진;주성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05-215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representation of death' as expressed in the fashion photography posted on Facebook. Currently,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Well-dying'. Also contemporary art and fashion is a trend that expressed what about death more than life. And today, Facebook is one of the current worldwide as a powerful communication. Death 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fashion photography, as expressed in its first characteristic is 'Vanitas', and the main material was a skull. The shape of a skeleton of the symbol of death. Vanitas of inner meaning is vain, a mortal life's futility and death for the paradoxical emotion.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Phantom of the ruins'. This is like the darkness of death, and the shape represented in that space. And the death representation is depressed, gloomy atmosphere, dead-man and warm-less. Inner meaning is curiosity about the ghosts and the decadence romantic about the afterlife. The last characteristic is 'Grotesque'. This characteristic is the destruction of the body, fear of sadistic, and inhuman shape. This is parable with death that pain and fear of death, dark fantasy, the appearance of a contradiction modern society and cut off humanity. Inner meaning is the dark fear of death and the anger of wrong of the present society. At present, we have to reproduce the death, and what we want is eventually no one can escape 'Attention to death'. In addition, by expressing the solidarity between death and life is to want to get a consolation for the anxiety and afraid reality.

  • PDF

얼굴 표정의 자동 인식을 통한 PDA 상에서의 3차원 얼굴 애니메이션 (3-D Facial Animation on the PDA via Automatic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이돈수;최수미;김해광;김용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7호
    • /
    • pp.795-80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일곱 가지의 기본적인 감정 정보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얼굴을 PDA 상에서 렌더링할 수 있는 얼굴 표정의 인식 및 합성 시스템을 제시한다. 얼굴 표정 인식을 위해서 먼저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얼굴 부분을 검출한다. 그리고 나서 기하학적 또는 조명으로 인한 보정을 위해 정규화 과정을 거친다. 얼굴 표정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Gabor wavelets 방법을 enhanced Fisher 모델과 결합하여 사용할 때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본 표정 분류에서는 일곱 가지 감정 가중치가 결과로 제시되고, 그러한 가중 정보는 모바일 네트웍을 통하여PDA 상으로 전송되어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에 이용되어진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고유한 얼굴 캐릭터를 가진 3차워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하여 카툰 쉐이딩 기법을 채택하였다. 실험 결과 감정 곡선을 이용한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은 선형 보간법 보다 감정 변화의 타이밍을 표현하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찬 시의 낭만성과 비극성 (The Romance and Tragedy in Lee Chan's Poetry)

  • 유성호
    • 비교문화연구
    • /
    • 제19권
    • /
    • pp.127-147
    • /
    • 2010
  • Lee Chan's early poems were defined as the world of romance. His second-term poems were defined as proletarian poetry and poems written in prison when he made the romance as the core point through longing and desire for lost world. Maximizing the romance was proletarian poetry. His third-term poems were feelings of the northern countries called the spirit of Lee Chan's poems. He recognized the emotion of diaspora as the tragedy in these poems. It was remarkable time that the poet's tragedy observing and expressing the reality of colony. Afterward he wrote poems related inside withdrawal and war cooperation, finally he wrote poem after defecting to North Korea. Lee Chan showed the romance of desire in early poems and proletarian poems. Then he indicated acute scenery of the tragedy in the late 1930s' poems. In heavy situation, he moved from pro-Japanese literature to North Korean literature. However he didn't throw introspected self-reflection language to himself each his changing. But through several form of garden, he clearly showed consistent of maximizing his utopia sense. The time Lee Chan experienced was an icon which intensively indicated several features of deformed modern Korean poetic history. He was a unique poet who expressed various traces of modern Korean poetry in short time step by step. His path informed that he was a special poet who stepped the trace of many modern Korean poetry's extremes such as romantic poetry, proletarian poetry, prison poetry, pro-Japanese poetry and North Korean poetry. Likewise we can call his life as a grudge return. Because he left hometown, experienced the light and darkness of modern times and returned his hometown.

음성 정보를 이용한 자폐아 치료용 로봇의 동작 설계 (Therapeutic Robot Action Design for ASD Children Using Speech Data)

  • 이진규;이보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23-1130
    • /
    • 2018
  • 이전 연구에서 자폐성 장애의 여러 특징적 증상을 갖는 아이들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로봇을 설계 및 제작하여 현장실험이 진행 되었으며 기존 로봇은 터치에 의한 아이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 표현 동작을 한다. 이러한 터치 상호작용에 감정 교육 및 치료를 위해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동작 설계를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 접촉은 치료 활동의 초기에 사용되기 어려워 초기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작 방식을 보완하여 음성 정보를 이용한 빠른 상호작용을 통해 치료 활동이 초기에 가능하고 유연한 대처와 다양한 상황에서 로봇이 사용될 수 있는 동작 설계를 기술한다. 이에 필요한 요소로서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음성 인식 구조가 설계되었으며 실험을 통하여 분류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인공신경망은 향후 다양한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현장실험을 통하여 동작의 효용성을 살펴볼 것이다.

영화에서 의상의 스타일링, 색채, 재질감이 캐릭터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영화 <내 아내의 모든것>, <결혼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Costume Styling, Color and Texture on Character Expression in Movies - Focusing on the Movie and -)

  • 김소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4호
    • /
    • pp.53-67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stume styling, color and texture on character expression in the movies "All About My Wife" and "Marriage Blue". As a study method, the main scenes were captured from the DVD image and the costumes of the main characters were analyzed to examine how the costumes express the personality change according to the story development of the characters. The characters in "All About My Wife" and "Marriage Blue" were studied to see how their personality changes as the story develops and how the costume supports the personality change of those characters. It was checked that costume contributes to effectively deliver the emotion of the characters to audience. In the movies, costum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pleting the character, and styling, color, and texture of the costume are one of the important means of expression. In a movie, costumes, styling, color, and texture contribute towards development of each character's character. And these elements act synergistically by acting simultaneously rather than independently, thus defining the image of the costume and playing a role in building characters. Movie directors persuade the audience by expressing their intentions in various ways. Among them, movie costum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expression tools. The styling, color, and texture of the clothes are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ology that will create a character, so I hope that the field of film art will be researched extensively in the future.

사용자 리뷰에서 표정 인식을 이용한 감정 표현 기법 (Emotional Expression Technique using Facial Recognition in User Review)

  • 최원관;황만수;김능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3-28
    • /
    • 2022
  • 오늘날 디지털 플랫폼의 발달과 팬데믹 상황에 더불어 온라인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의 오프라인 시장과 다르게 온라인 시장에서의 특수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온라인 리뷰를 확인하게 되었고, 여러 연구들의 선례를 통해 리뷰가 사용자의 구매 의도를 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기존의 리뷰작성 방식에서는 작성자의 감정이 글의 어투나 단어와 같은 요소들을 통해 표현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작성자의 감정을 쉽게 파악하기 어려웠으며 작성자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강조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작성자가 일일이 강조하고 싶은 부분의 굵기를 굵게 하거나 감정에 따라 색상을 바꾸는 등 여러 번거로운 작업의 수고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하여 표정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감정을 확인하고 기존의 감정과 색상에 관한 연구를 활용하여 각 감정에 맞는 색상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 리뷰에서 색상을 부여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상 캐릭터가 제공하는 감정에 따른 학습자의 감정적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changes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emotions provided by virtual characters)

  • 최동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5-164
    • /
    • 2022
  • 실제 교실 환경과 반복 훈련을 제공하는 가상 환경 기반 시뮬레이션을 교사교육에 활용하는 데 상당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시뮬레이션 학습환경이 더욱 정교하게 학습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감정적 상호작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감성은 창의적 사고, 영감, 집중력, 학습동기에 중요한 요소이기 학습자와의 정서적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이를 교수 시뮬레이션에 적용하는 것은 필요한 활동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EEG(Electroencephalogram)와 시선추적을 통해 공감적 반응을 위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인하고, 감성교수 시뮬레이션 설계를 위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는 의도된 공감적 반응이 제공되었고, 상황적 감성이 학습자의 정서 반응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교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아바타의 개발 및 감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상황에 적합한 시나리오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교사교육 시뮬레이션의 설계에 시사점을 갖는다.

억울 경험의 과정과 특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Eogul')

  • 서신화 ;허태균 ;한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4호
    • /
    • pp.643-674
    • /
    • 2016
  • 한국 사람들에게 억울은 자신이 처한 상황 또는 마음상태를 묘사하는 유용한 수단이자 화병에서 자살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람들이 어떤 경우에 억울함을 느끼며 어떤 방식으로 이를 해소하는지, 억울하다는 것을 어떠한 의미로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억울에 대한 이해를 보다 명확히 하기위해 2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한국인들이 억울이라는 말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상황과 억울을 경험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조사하여 억울 경험의 구조와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억울함은 자신의 일을 주관적으로 부당하다고 인식하고 여기에 부정적인 정서가 따름으로써 경험되는 보편적인 과정을 거쳐 발생하였다. 하지만 어떠한 상황을 부당하다고 여기는지 그리고 억울을 어떻게 표현하며 해소하는지는 각 문화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연구 2에서 억울 경험 과정에 연관된 문화적 맥락(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관,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관, 느슨한-경직된 체계특성, 권위주의 성향)이 억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억울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사를 생명력 있게 만드는 멘탈 이미지의 하위양식 (Sub-modality of Mental Images to Make lines Alive)

  • 최정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19-129
    • /
    • 2019
  • 연기교육에서 기존의 화술교육은 장단음 찾기, 자음과 모음의 조음연습, 딕션연습 등 대사를 표현하는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교육으로 대사가 말처럼 살아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사가 살아나는 순간은 배우가 대사를 말하는 사이 단어 이면의 멘탈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보는 순간이다. 필자는 뇌과학 분야에서 인지뇌과학과 NLP (Neural Linguistic Programing)의 지식을 빌려와 멘탈 이미지가 무엇인지, 왜 멘탈 이미지가 생각과 감정의 기본 요소인지를 추적한다. 또한, 멘탈 이미지를 섬세하게 떠올리는 과정(하위양식)에서 신체의 근육들이 어떻게 반응하게 되고, 그 반응하는 근육들을 이용해 어떻게 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의 말하기 재료들(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이 살아나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화술교육에서 왜 멘탈 이미지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는지를 증명한다. 결론에서는 멘탈 이미지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배우가 만나게 되는 장애물에 대해 열거하고, 장애물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로 '호흡의 활성화'를 후속논문으로 계획한다.

만화의 칸 연출을 적용한 VR 애니메이션 연구 - <Mescaformhill: Missing Five>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mic Panel Direction in VR Animation - Focusing on <Mescaformhill: Missing Five>)

  • 박수경;이태구;최수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53-258
    • /
    • 2023
  • 만화의 칸 연출은 칸의 크기와 배치, 순서 등을 통해 이야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캐릭터나 특정 행동이 일어나는 곳으로 시선을 유도하며, 시간의 경과나 순서를 표현하며, 배경, 조명, 색상 등을 사용하여 감정을 강조하고 분위기를 전달하는 등 다양한 연출적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칸 연출을 VR 애니메이션에 적용하면 사용자는 VR 공간에서 만화 속의 세계에 더욱 몰입감 있는 체험을 할 수 있다. 2022년에 제작된 VR 애니메이션 <Mescaformhill: Missing Five>에 나타난 만화의 칸 연출은 시청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연출적 요소가 매우 중요하며, VR 공간에서는 카메라의 각도를 자유롭게 바꾸어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물리적 상호작용은 만화의 칸 연출에추가적인 생동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연출들은 VR 애니메이션에서 새로운 스토리텔링 방식을 제시하고, 새로운 매체로의 성공적인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