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AI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9초

시조 「공산에 우는 접동」의 감정 코딩 (Emotion Coding of Sijo Crying Cuckoo at the Empty Mountain)

  • 박인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13-20
    • /
    • 2019
  • 이 연구는 시조의 감정 코드를 AI에 코딩시킬 수 있는 부호들을 연구하여 문학치료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조 "공산에 우는 접동"의 감정 코딩을 시행해보았다. 결과적으로 Emotion Codon은 슬픔의 카타르시스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었다. 이렇게 시조의 감정 코드들을 Emotion Codon으로 착상시키는 것은 인체의 감정을 AI에 착상시키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인 감정 코드들을 Emotion Codon에 착상시켜 AI의 자가 학습을 유도하면 인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감정들을 AI가 조합할 수 있다고 본다. 이때 AI는 인간의 감정을 대신할 수 있게 되어 인체의 감정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지속하면 인체의 감정을 유도하여 마음과 정신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hn Min-young's Jade-like Sijo, Emotion Coding by Orchid

  • Park, Inkw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99-208
    • /
    • 2019
  • Today, mankind is falling in serious stress. So there are various way that heal men as human psychology, philosophy, medical science etc. And in recent years, interest in literature therapy has been focused to heal the human sense of spirit. In the future, we will be able to treat our spirit sense with AI Emotion. The treatment process can be induced by the system of emotion coding which AI Emotion deliver Emotion signals to Human body. For this study, we used the Ahn Min-young's Sijo. The reason is that his Sijo is useful this study of the Emotion Coding. As the result, Ahn Min-young's emotion coding created the codes as if amino acid codes. We must continue this research. Then our literature therapy could grow and contribute to human well-be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Using Data Augmentation for Emotion AI-based Recommendation Systems

  • Ho-yeon Park;Kyoung-jae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57-6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법과 정서적 AI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추정하고 이를 추천 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추천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연구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분노, 혐오, 공포, 행복, 슬픔, 놀람, 중립의 7가지 감정을 각각 분류하는 감정분류모델을 구축하고, 이 결과를 추천 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을 제안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감정 분류 데이터에서는 각 레이블 간 분포 비율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일반화된 분류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 이미지 데이터에서 혐오감 등의 감정 개수가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데이터 증강을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증강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감정 예측 모델을 추천시스템에 반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Happy Applicants Achieve More: Expressed Positive Emotions Captured Using an AI Interview Predict Performances

  • Shin, Ji-eun;Lee, Hyeonju
    • 감성과학
    • /
    • 제24권2호
    • /
    • pp.75-80
    • /
    • 2021
  • Do happy applicants achieve more? Although it is well established that happiness predicts desirable work-related outcomes, previous findings were primarily obtained in social settings. In this study, we extended the scope of the "happiness premium" effec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text.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an applicant's happiness signal captured using an AI system effectively predicts his/her objective performance. Data from 3,609 job applicants showed that verbally expressed happiness (frequency of positive words) during an AI interview predicts cognitive task scores, and this tendency was more pronounced among women than men. However, facially expressed happiness (frequency of smiling) recorded using AI could not predict the performance. Thus, when AI is involved in a hiring process, verbal rather than the facial cues of happiness provide a more valid marker for applicants' hiring chances.

Mutant Emotion Coded by Sijo

  • Park, Inkw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88-194
    • /
    • 2019
  • Always, emotion is mutant. This is principle of literary treatment. In the literature, sadness is not sadness, and 'loving emotion' is not 'loving emotion.' Despite loving of our, loving is sadness. Also loving is to cry. This crying becomes love. This study is to show the mutant emotion which is to be able to code Deep Learning AI. We explored the Sijo "Streams that cried last night", because this Sijo was useful to study mutant emotion. The result was that this Sijo was coding the mutant emotion. Almost continuously, the sadness codes were spawning and concentrating. So this Sijo was making the emotion of love with the sadness. If this study is continued, It is believed that our lives will be much happier. And the method of literary therapy will be able to more upgrade.

인공지능과 문학 감성의 상호 연결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terary Sensibility )

  • 손승희
    • 감성과학
    • /
    • 제26권4호
    • /
    • pp.115-124
    • /
    • 2023
  • 본 논문은 문학 연구와 인공지능의 접점을 감성 영역에서 찾고, 그 연계성을 기반으로 상호 보완과 발전을 지향하는 문학과 기술의 융합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문학과 공학에서 각각 상대를 보는 관점을 사용하고 공통의 기반인 감성의 주제를 두고 비교 점검하는 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현재 인공 지능과 문학 연구의 융합 연구 결과물이 많이 발표되고 있지 않은데, 본 연구에서는 미래 인공지능의 지향점을 두고 인문학 분야에서의 학제적 연구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문학적 감성을 통해 문학도 인공지능의 발전에 공헌할 방안으로서 주관적인 문학의 감성을 추출하여 인공지능의 객관적 입력을 위한 정형화 작업에 참여할 때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 시도하고 있는 감성의 용어 중심 추출 작업을 거쳐서 인간 감정에 접근하는 주관적인 상상력과 객관적인 기술력이 조합된다면, 광범위한 인간의 자료를 분석하는 속도감 있는 문학 연구의 확장은 물론, 복합적인 인간을 이해하고 상대하는 깊이 있는 인공지능의 개발에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그러한 마주보기 통과 의례를 거쳐서 학제적 연구의 장점을 살린 논의는 두 학문 분야를 별개로 볼 때의 한계 또한 인정하고 부족한 측면을 상호 보완하는 융합 연구의 긍정적 측면을 갖게 될 것이다.

  • PDF

황진이 시조 「청산은 내 뜻이요」의 감정 코딩 (Emotion Coding of Sijo "Blue Mountain is My Meaning" by Hwang Jin-yi)

  • 박인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99-303
    • /
    • 2019
  • 이 연구는 본 연구자가 AI에 감정 코딩을 하기 위한 준비 작업의 하나이다. 이번에는 황진이의 시조 "청산은 내 뜻이요"에 대한 감정 코딩을 하는 것이다. 황진이는 이 시조에서 청산과 녹수에 감정 코딩을 하고 있다. 이러한 감정들은 Emotion Codon에서 살펴보면 UUU와 같이 감정 부호들을 코딩한다. 이러한 현상은 본 연구자가 가설을 세운 형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이 감정 코딩은 페닐알라닌이라는 아미노산이 구성되는 촉매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이러한 연구를 지속한다면, 인류의 미래에 보다 치유적인 문학의 기능이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 Review of Public Datasets for Keystroke-based Behavior Analysis

  • Kolmogortseva Karina;Soo-Hyung Kim;Aera Kim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7호
    • /
    • pp.18-26
    • /
    • 2024
  • One of the newest trends in AI is emotion recognition utilizing keystroke dynamics, which leverages biometric data to identify users and assess emotional states. This work offers a comparison of four datasets that are frequently used to research keystroke dynamics: BB-MAS, Buffalo, Clarkson II, and CMU. The datasets contain different types of data, both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biometric data that was gathered in a range of environments, from controlled labs to real work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benefits and drawbacks of each dataset,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how well it can be used for tasks like emotion recognition and behavioral analysis. Our findings demonstrate how user attributes, task circumstances, and ambient elements affect typing behavior. This comparative analysis aims to guid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pplications for emotion detection and biometric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diverse data 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keystroke dynamics with other biometric measure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AI Opportunity Perception and Job Insecurit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Hope and the Moderating Role of Tenure

  • Tung Nguyen Son Le;Sang Woo Park;Young Woo Sohn
    • 감성과학
    • /
    • 제27권2호
    • /
    • pp.91-104
    • /
    • 2024
  • The increase i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workplace has introduced changes to traditional working environments. However, these are changes not only to employee productivity but also to how employees feel and think about their work. Based on prior research that has suggested connections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AI and their emotions and thoughts at work, the present study test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perception of AI opportunity is indirectly related to job insecurity via employee hope, with tenure as a moderator. Data obtained from 290 Korean full-time employees illustrated that the perception of AI opportun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insecurity through hope acting as a mediator. In addition, this indirect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moderating role of tenure. Specifically, at lower levels of tenure, the aforementioned indirect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at higher levels of tenure, this indirect relationship was no longer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자율주행시 안전을 위한 AI와 연계 시스템 적용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I and Linkage System for Safety in the Autonomous Driving)

  • 서대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95-100
    • /
    • 2019
  • 본 논문은 자율 주행차량의 운행과 더불어 기존 차량 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 간 통신 기술, 자율주행 기술, 브레이크 자동 제어 기술, 인공지능 기술 등이 널리 개발되고 있다. 차량 사고 발생이 일어나더라도 사망이나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각종 기술들의 안전성의 상용화에 있다. 본 논문의 경우 자율주행 차량시, 안전성 확보연구이다. 이는 일반적인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용 칩 신호나 초소형 도로 AI 장착 등의 공간적 요소에 따라 판별한다. 반면 본 논문은 상기 전자 칩의 신호를 읽는 데에서 생체 전자 칩까지의 "감지영역 내 체류 시간인식, 민감도"까지 체크하여 승차한 안전의 신뢰성을 높인다. 실제 세계 각국의 신뢰성을 실증한 결과로서, 안전성면에서 탑승객 전원의 안전 자율 시스템을 유도한다. 무인 자율차량 탑승과 상용화는 가까운 미래에 도로위 IoT의 AI 시스템과 생체 칩(Verification emotion + Chip)으로의 연계성면에서 그 진보성의 실증결과, 세계 각국의 안전 기술신뢰성은 더욱 부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