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Condition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8초

대형 수중구조물 보수를 위한 부유식 섹터케이슨 (Floating Sector Caisson for Maintenance of the Large Underwater Structures)

  • 이중우;이승철;이정수;곽승규;김기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21-426
    • /
    • 2007
  • 최근 건설구조물의 하자보수기간은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고 건설품질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교량, 댐, 항만 구조물의 수중부 은폐된 부분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반영구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강관 및 교각의 수중시공에서는 잠수부들의 기술능력부족과 수중에서의 작업조건의 까다로움 등으로 임시적인 작업이 되었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중구조물 유지관리에 실용화 될 수 있는 공법으로 부체식 섹터케이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부구조물이 수면에 가까운 경우 및 구조물간 간격이 좁은 경우 보수구간의 접근성과 교각과 같은 대형 수중구조물 유지 보수 시 드는 고비용의 문제 등으로 전체 구조체를 설치하는 대신 섹터케이슨을 개발하여 도입함으로써 비상시 이동과 장래 신속한 작업수행 및 작업수준 향상에 획기적인 역할이 기대 된다.

신규 benzenesulfonylurea 계 화합물 KSC-13906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a new benzenesulfonylurea compound, KSC-13906)

  • 황인택;최정섭;고영관;최용석;김만호;김대황;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1999
  • 유망한 신규 합성 제초제 후보화합물 KSC-13906의 제초 활성과 특성을 온실 시험과 야외 폿트 및 포장 시험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 KSC의 살초 스펙트럼은 넓어 사마귀풀과 밭뚝외풀을 제외한 7초종(피, 올챙이고랭이, 물달개비, 너도방동사니, 올미, 올방개, 가래, 벗풀)에 대하여 $2.5{\sim}5$ g ai/ha의 처리량에서도 90% 이상 방제하였다. 또한 기존의 sulfonylurea계 제초제들과는 달리 특이적으로 3엽기까지의 피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벼에 대한 약해시험 결과 직파벼 3엽기 이후, 벼 이앙 10일 이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야외 폿트 시험결과 $3{\sim}5$ g ai/ha로 5 DAT에 처리하였을 때 발생초종을 완전히 방제하였으며, 포장시험에서는 3 g ai/ha의 KSC-13906을 이앙 후 5, 10, 15일에 처리하여도 잡초방제효과는 모두 90%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특히 피에 대한 방제효과는 100%로 나타났으며, 대조약제 PYR의 21 g ai/ha와 유사한 잡초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다년생 잡초중에서 올방개에 대한 살초효과는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탁월하였다. KSC-13906을 직파벼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제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약해경감제를 사용하여 직파벼에 대한 안전성을 제고시키지 않으면 안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규 시험화합물 KSC-13906의 직파벼에 대한 약해를 제거시킬 수 있다면 처리 폭이 넓은 강력한 신규 논제초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 지역 권역 응급의료센터 내원환자의 이용 행태 분석 (A Study on the Operatio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the Using Behavior by Visiting Patients)

  • 류황건;송현경;김혜숙;김태곤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0-124
    • /
    • 2007
  • Currently, we have seen sudden increase of demand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by reason for high-speed economic development increase of traffics, etc. in this society. Consequently the government enforced & operated emergency medical system in 1991 as a link of more positive countermeasure against it, but many problem; still remain in reality. In particular, th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alls short of our expectations for its essential role by the reason of such as insufficiency in professional manpower and institutions concerned in small-scale hospital, matters with transportation system, preference of large hospital, etc.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grasp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emergency medical system based upon literature research & the preceding studies and interview research the motive of coming hospital, satisfaction & understand to the subject of 150 persons of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who used regional emergency cente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reby examining & analysing the cause of emergency room overcrowding by non-emergency cases, one of the problem; enumerated from preceding studie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ctual condition of non-emergency patients coming hospital for examining overcrowding of emergency medical center showed that, of the patients who used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non-emergency patients accounted for 49.3%, which acted as the main cause of delaying medical care for emergency cases, cases of which medical person or first-aid man decided to come hospital accounted for 36.1 %, thereby suggesting essential need for re-education & wide public information to even the professional manpower besides patients & guardians for their using emergency medical system. Second, as the result of researching patient acknowledgement with reference to their using emergency medical center, the rate of their giving right answer is no more than 60%, which means that non-emergency cases' using as such is due to the shortage of their knowledge of the said emergency medical center, which suggests us that wider P.R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to common people who may be one of the patients of it at any time is still in need. Third, the result of researching for finding out a future remedy of emergency medical system showed that the users who know well of the way of using emergency medical center ha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of it, ones who have lesser knowledge of it lower satisfaction and users who feel in need of emergency specialized manpower feel the necessity of public information of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1339) at the same time. The finding of examining the subject of study, in conclusion, showed that the degree of the patients & their guardians' understanding of emergency medical system is lower and the medical persons concerned also had no distinct diff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of it from the common people's, which suggests us for extensive enforcement of systematic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in aspect of the government via various media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operation of emergency medical center.

  • PDF

제초제 처리가 콩의 생육 및 근류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icide Application on Growth and the Nodulation in Soybean)

  • 한인수;오정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3-309
    • /
    • 1989
  • 콩밭에 사용하는 제초제가 콩의 생육 및 근류형성에 미치는 여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밭제초제인 랏소와 데브리놀을 올콩, 장엽콩 및 팔달콩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출현율, 초장, 생체중, 주당절수, 분지수, 협수, 입수, 백입중 및 근류수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율은 제초제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비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사용권장농도에서도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초기생육단계에서 심함 기형묘가 관찰되었다. 2. 초장은 제초제의 종류에 무관하게 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였으며 사용권장농도에서는 무처리에 비해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배농농구에서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고 감소현상은 파종 3주후부터 뚜렷하게 나타났다. 3. 주당입수는 백입중은 제초제의 종류에 무관하였으나 주당분지수와 주당협수는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품종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4. 근 수는 제초제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비례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제초제의 종류에 따라 품종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4. 근류수는 제초제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비례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제초제의 종류에 따라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5. 콩의 생육 및 수량에 감소는 근 형성력의 감소와 유의적 상관을 보였으며 제초제의 과다사용에 의한 근류형성력의 저하는 콩 수량 감소의 중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수온에 의한 멍게(Halocynthia roretzi)의 물렁증 유도와 생리 및 조직학적 반응 (Induction of Soft Tunic Syndrome by Water Temperature and 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Responses of the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 신윤경;박정준;명정인;김혜진;이정식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225-233
    • /
    • 2014
  • 수온조절 (6, 9, 12, 15, 18, 21, 24, $27{\circ}^C$)에 의해 유도된 멍게의 물렁증 진행에 따른 생리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수온조절에 의한 물렁증 유도율은 수온 $15^{\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24^{\circ}C$에서 가장 낮았다. 물렁증은 피낭 색깔 및 탄성을 기준으로 S0, S1, S2, S3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정상개체와 물렁증을 가진 개체들 사이에서 산소소비율과 여수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0에 비해 S3단계에서 혈구 구성비의 가장 뚜렷한 변화는 multi-vacuole cell은 약 1/2 감소하였으며, morula cell은 약 10배 증가하였다. 기관계 구조의 변화는 피낭, 수관, 새낭, 육질부, 소화선에서 상피세포의 변성, 미세섬유의 변성, 혈구의 증가 및 근섬유의 변형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모든 특징들은 멍게의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염증 반응과 수면 장애 (Inflammation and Insufficient or Disordered Sleep)

  • 이석준;김진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97-104
    • /
    • 2015
  • 수면현상은 인간의 삶의 1/3을 차지하는 중요한 생리적 현상으로 인간의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생리적 기능뿐 아니라 수면을 통한 휴식을 통하여 신체 건강을 유지하고 성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의 급격한 산업화와 정보화로 인하여 급격한 사회 생활구조의 변화를 유발하여 성인뿐 아니라 소아에서도 평균수면 시간의 감소와 다양한 스트레스 환경으로 인한 수면의 질적 저하로 인한 다양한 수면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단순히 수면 부족 또는 수면의 질적 저하뿐 아니라 수면 장애,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심혈관 질환뿐 아니라 비만, 대사증후군,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등 의 다양한 만성 질병의 발생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핵심기전으로 염증 반응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수면 현상과 다양한 수면 장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이러한 질병의 이환에 대한 기전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핵심 기전으로 알려진 염증반응의 활성화가 병태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수면 무호흡증을 낮은 수준의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더불어 비만과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연관된 질병의 이환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종설에는 수면의 질적 또는 양적 저하뿐 아니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염증성 반응의 활성화가 인간의 신체 면역 과정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 결과 및 수면 무호흡증과 비만의 잠재적 상호작용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 Waterhouse)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Copris tripartitus Waterhouse (Coleoptera: Scarabaeidae))

  • 방혜선;나영은;김명현;노기안;이정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7-362
    • /
    • 2007
  • 토양의 비옥도를 높여주는 분식성 곤충으로써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의 발육생태를 각 온도에서 관찰하였다. 대량증식 및 환경변화 모델 적용을 위해 15, 17.5, 20, 25, 27.5 및 $30^{\circ}C$(16L:8D)에서 발육실험을 한 결과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17.5^{\circ}C$에서 118.0일이고, $27.5^{\circ}C$에서는 49.3일이었다. 온도가 높을수록 짧은 발육기간을 보였으며, 알, 유충, 용,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12.1, 11.2, 12.1, $9.2^{\circ}C$, 그리고 82.7, 462.0, 225.7, 947.2일도이었다. 난 및 유충의 발육단계에서 사망률은 $25^{\circ}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애기뿔소똥구리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는 $25^{\circ}C$이었다.

성공적인 전치부 심미 임플란트를 위한 3가지 요소 (Three key factors for successful esthetic anterior implant restoration)

  • 임필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5-49
    • /
    • 2016
  • 최근 심미성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이제는 임플란트 수복에 있어서도 기능적인 면 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면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은 임상가들에게 항상 도전적인 과제로 다가오는데 그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 요소를 모두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첫째, 충분한 경조직이 필요하고 둘째, 충분한 연조직이 필요하며 그리고 셋째, 심미적인 수복물이 필요하다. 연조직의 심미성은 그 하부에 있는 경조직에 의존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하부의 경조직의 골격적인 지지가 있어야만 그것을 바탕으로 그 위에 건강하고 심미적인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경조직 재건은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에 있어서 첫번째 단계이며, 특히 3차원적으로 적절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설정은 심미성 있는 최종 수복물을 얻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두번째 단계가 순측으로 충분한 두께의 연조직을 얻기 위한 수술 기법이며, 마지막 세번쨰 단계가 적절한 출현외곽을 갖는 임시 수복물을 통해서 얻어진 심미적인 최종 수복물이다. 본 임상 증례 보고는 순측의 골 열개 결손에서의 골 증대술 과정과 전치부 영역에 주로 사용되는 VIP-CT 라고 일컫는 유경 판막술을 이용한 연조직 증대술, 그리고 임시 수복물을 통한 연조직 형태 만들기와 맞춤형 인상 코핑을 이용한 인상채득법 등을 소개함으로써 경조직, 연조직, 수복물의 세 가지 요소가 심미적인 최종 수복물을 위해 서로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맥류의 출수기에 관한 연구 VI. 광질이 대맥의 출수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Heading Date of Wheat and Barley VI. Effects of Light Qualities on Head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Barley)

  • 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4-191
    • /
    • 1989
  • 맥류재배시 보조조명의 광질이 출수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맥류세대족진에 이용코자 오월보리, 완주봄쌀보리, 사천6호, 강보리를 공시하여 8시간의 자연일장과 16시간의 보조조명으로 장일처리하였다. 보조조명은 백열등(80W), 청색형광등(80W), 주광생형광등(80W), Biolux 형광등(80W), 백열전구(40W)+청색형광등(40W), 백열전구(40W)+주광색형광등(40W), 백열전구(40W)+Biolux형광등(40W), 자연일장(8시간) 등 8처리구를 두고 15$^{\circ}C$로 조절된 온실에서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질에 따라 지엽전개까지 일수는 백열등조명구 또는 백열등 혼합조명구가 가장 짧았고, 품종간에는 사천6호가 가장 짧았다. 2. 이엽전개까지 일수가 가장 짧은 백열등조명구가 출엽속도는 빨랐으나 주간의 엽수와 초장의 일당생장량은 가장 적었으며, 기타 간장 절간장 및 엽면적 등의 생장량도 적었다. 3. 엽위별 엽록소함량은 상위엽일수록 많았고, 지엽전개가 가장 빨랐던 배열등조명구의 하위엽(제1엽, 2엽)의 엽록소함량이 특히 적었다. 4. 지상부 건물중은 품종별 다같이 백열등조명구가 가장 적었으나 천입중은 백열등조명구 또는 Biolux 조명구에서 가장 높았다. 5. 주당입수와 수량은 Biolux 조명구가 가장 많았고 백열등조명구에서 가장 적었다. 6. 출수족진만이 목적일 때는 보조조명 방법으로 지엽이 가장 빨리 출현하는 백열등조명이 바람직하나 출수기와 수량을 다같이 고려한다면 백열등+청색형광등으로 혼합조명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 PDF

벼의 저온발아성에 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Low Temperature Germinability of Rice)

  • 강종래;고미석;김호영;임상종;김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66-777
    • /
    • 1997
  • 수도 저하발아성에 대한 유전 양상을 구명하여 저온발아성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숙기가 다른 세 그룹에서 10품종을 선정 '94년에 15일 간격 4시기로 파종 및 이앙을 실시하여 수량한 종자를 '95년 4~5월에 13$^{\circ}C$ 항온 실내 시험과, 건답 직파의 포장 시험으로 저온발아성을 조사하고, 저온발아성 고 1품종, 저 1품종, 중 4품종을 선정 '94 하계에 절영법에 의한 정역이면교잡을 실시하여 얻어진 F$_1$ 교배입을 '95년 5월에 13$^{\circ}C$ 항온에서 저온발아 시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 시기를 달리하여 수량된 종자의 실내 및 포장에서의 저온발아성 분산분석 결과 품종에 따라 재배시기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 실내 13$^{\circ}C$ 항온 저온발아계수와 포장의 자연상태 건답직파에서의 출아계수와의 상관분석 결과 고도의 유의한 상관(r=0.5111)이 인정되었다. 3. 조합능력 분석 결과 일반조합능력 및 특정조합능력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일반조합능력이 특정조합능력보다 커서 상가적작용이 상위성 작용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정역차이 분산분석 결과 정역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5. 부친열 공분산/모친열 공분산 Graph에서 6개의 교배열 모두가 모본 효과를 보였으며, Alpha와 Beta 유전 분석 결과, 저온발아성의 정역간 차이는 Alpha 유전의 효과로 나타났다. 6. 평균우성도 분석 결과, 30개 조합 중 17개 조합에서 초월분리를 보였으며, 그 중 9개 조합이 저온발아성이 낮은 쪽으로 초월분리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