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e Condition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4초

왕사슴벌레(Dorcus hopei)의 대량사육 기술개발을 위한 생태특성 조사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rcus hopei(E Saunders) for the Development of Mass-rearing Technique in Korea)

  • 김철학;이준석;정근;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5-14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왕사슴벌레의 국내 분포지가 재검토되고 이들의 대량사육기술 개발을 위한 생태적 특성이 조사되었다. 산란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우화 후6개월이 지난 암, 수 성충에게 2주 이상의 교미기간이 허용되어야 하며 성비는 암:수 = 2:1이 이상적이었다. 산란수는 암컷 한 마리 당 최대 27.3개이고 알은 한 개씩 산란된다. 산란전기간은 평균 147.3일, 산란기간은 최소 120일 이었으며 난기간은 평균 15.6일이었다. 산란상은 직경 15cm${\times}$길이 15cm인 산란목이 3-4개 들어 있는 55${\times}$40${\times}$35cm크기의 산란상이 이상적이었다. 산란목으로는 상수리나무가 선호되었다. 사육실조건($25^{\circ}C$, 75% R.H., 16L:8D)에서 1령기간은 24.1일,2령은 29.8일, 3령에는 131.2일이 소요되었으며 용기간은 28.9일이 소요되었다. 성충수명은 35개월 이상이었다. 산란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최소 3-4개월의 휴면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남부지방 콩 만파 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이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Soybean to Planting Density in Late Planting)

  • 박현진;한원영;오기원;고종민;배진우;장윤우;백인열;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43-348
    • /
    • 2015
  • 1. 남부지역에서 대원콩을 이용하여 재배한 결과, 주당본수를 높일수록 식물체 간 경합에 의해 경장은 길어지고 경태는 가늘어지며 분지수가 감소하여 도복에 취약한 초형으로 생육한다. 다만 만파재배 시에는 생육기간이 단축되므로 주당본수를 높이더라도 도복이 우려될 만큼 경장이 신장하지 않는다. 2. 마디수는 주당본수 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협수는 주당본수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재식밀도의 증가에 의한 증수효과는 7월 중순이후로 극만파할 때에 관찰되며 1주 4본 재배 시 표준재배에 비하여 34 % 증수효과가 있었고, 1주 5본 이상 재배할 경우 오히려 수량이 감소하였다. 4. 따라서 만파재배 시에는 밀식하여도 잘 도복하지 않으며 $70{\times}20cm$로 재배할 때 1주 4본까지 재식밀도를 높이는 것이 수량증대에 유리하다.

오이 떡잎의 발달에서 지방 대사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아세틸 단위체의 2차 경로 가능성 (Metabolic Gene Expression in Lipid Metabolism during Cotyledon Development in Cucumbers and the Possibility of a Secondary Transport Route of Acetyl Units)

  • 차현정;김대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055-1062
    • /
    • 2014
  • 본 연구는 떡잎의 발달 동안 지방의 유동 및 대사와 관련된 오이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사하여 유전자의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글라이옥시좀과 미토콘드리아 사이의 탄소원(아세틸 단위)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네 곳의 세포 내 소기관인 글라이옥시좀(퍼옥시좀),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및 세포질에서 작동하는 중요 대사경로의 10개 유전자들이 조사되었다. 나아가 암소에서 발아한 유식물체의 발아 초기 반응과 이후 3일간 빛을 주었을 때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에 따르면, 유식물체의 발달 동안에 저장지방의 유동과 관련된 Thio2, ICL 및 MS 유전자는 항상 유사한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냈다. 오이의 발아 초기에 BOU 유전자와 함께 ICL 및 MS 유전자의 공조된 발현은 퍼옥시좀과 미톤콘드리아 사이에 아세틸 단위의 2차 통로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강한 증거이다. 앞서 보고된 연구에서 보여준 BOU 활성에서처럼 BOU 유전자는 빛 의존성으로 암소에서는 세포막의 미약한 발달로 인하여 활성이 저하됨을 암시한다. 나머지의 유전자들은 떡잎이 초록색으로 발달하고 노쇠화 할 때까지 떡잎의 전 발달 기간 동안에 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 단위의 운반에 대한 새로운 추가적 제안으로써 지방 저장 종자의 발아와 오이 떡잎의 발달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Rapid Molecular Diagnosis using Real-time 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 (NASBA) for Detection of Influenza A Virus Subtypes

  • Lim, Jae-Won;Lee, In-Soo;Cho, Yoon-Jung;Jin, Hyun-Woo;Choi, Yeon-Im;Lee, Hye-Young;Kim, Tae-U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7-304
    • /
    • 2011
  • Influenza A virus of the Orthomyxoviridae family is a contagious respiratory pathogen that continues to evolve and burden in the human public health. It is able to spread efficiently from human to human and have the potential to cause pandemics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It has been estimated that every year about 500 million people are infected with this virus, causing about approximately 0.25 to 0.5 million people deaths worldwide. Influenza A viruses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subtypes by antigenicity based on their hemagglutinin (HA) and neuraminidase (NA) proteins. The sudden emergence of influenza A virus subtypes and access for epidemiological analysis of this subtypes demanded a rapid development of specific diagnostic tools. Also, rapid identification of the subtypes can help to determine the antiviral treatment, because the different subtypes have a different antiviral drug resistance patterns. In this study, our aim is to detect influenza A virus subtypes by using real-time 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 (NASBA) which ha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rough molecular beacon. Real-time NASBA is a method that able to shorten the time compare to other molecular diagnostic tools and is performed by isothermal condition. We selected major pandemic influenza A virus subtypes, H3N2 and H5N1. Three influenza A virus gene fragments such as HA, NA and matrix protein (M) gene were targeted. M gene is distinguished influenza A virus from other influenza virus. We designed specific primers and molecular beacons for HA, NA and M gene, respectively. In brie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ity of the real-time NASBA was higher than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n addition, time to positivity (TTP) of this method was shorter than real-time PC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apid detection of neo-appearance pandemic influenza A virus using real-time NASBA has the potential to determine the subtypes.

담배식물(植物)의 엽서별(葉序別) 질산환원능력(窒酸還元能力) 비교(比較) (Nitrate Reduction of Tobacco Leaves along the Stalk Position)

  • 이윤환;임선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1
    • /
    • 1987
  •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를 선택흡수(選擇吸收)하는 담배식물에 대하여 흡수된 $NO_3-N$의 각조직별(各組織別) 이동양상(移動樣相)과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의 활성도(活性度)(nitrate reductase activity. NRA)를 조사하고 생육과정(生育過程)에서 출엽(出葉)된 잎들의 질산환원능력(窒酸還元能力)을 비교조사(比較調査)한 결과(結果) 1. 도관조직(導管組織)인 엽맥(葉脈)까지는 함유(含有)된 질소(窒素)의 대부분(大部分)이 $NO_3-N$으로써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로 엽맥(葉脈)을 통과(通過)하며 엽육(葉肉)에서는 $NO_3-N$이 환원(還元)되어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가 거의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2. NRA는 성숙(成熟)된 잎에서 가장 왕성하였으며 분열생장중(分裂生長中)인 잎이나 도관조직(導管組織)에서는 환원기능이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3. 하위(下位)의 성숙엽(成熟葉)은 두껍고 수분(水分)을 많이 함유(含有)하였으며 가장 왕성한 질산환원능력(窒酸還元能力)을 보였다. 4. 생장조직(生長組織)으로 유기질소물질(有機窒素物質)을 공급(供給)하기 위하여 유식물(幼植物)때는 소수(小數)의 좁은 잎에서 높은 수준(水準)의 NRA를 유지(維持)했으나 생육(生育)이 진전되어 많은 잎이 착엽(着葉)되면서 상위(上位)쪽의 성숙엽(成熟葉)은 NRA가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 PDF

종자 전처리 및 육묘방법이 큰조롱의 종자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Pre-treatment and Seedling Culture System on Germination and Subsequent Growth of Cynanchum wilfordii)

  • 이수광;조원우;구자정;강호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5-83
    • /
    • 2013
  • 본 연구는 점차 사라져가는 큰조롱의 유전자원을 보호하고 이용하고자 종자 발아 기술과 육묘기술 개발을 위해 종자 침지 처리 온도, $GA_3$ 농도, 트레이 및 토양 종류, 차광처리에 따른 큰조롱의 발아율과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자발아는 $20^{\circ}C$에서 $GA_3$ 100 ppm에 침지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93% 발아율을 보였다. 묘소질 특성은 50구 트레이에서 가장 뛰어났으며 생리적 묘소질 특성은 $20^{\circ}C$에서 $GA_3$ 10 ppm에 침지 처리 한 종자를 TKS 토양이 충진된 128구 트레이에 파종한 조건에서 가장 뛰어났다. 따라서 큰조롱의 묘소질과 생리적 묘소질을 종합하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128구 트레이 혹은 200구 트레이의 TKS, TKS+펄라이트 및 TKS+왕겨 처리구에서 4월 중순에 파종 후 30~ 45일 간 육묘하면 초장과 근장이 각각 10 cm 이상되고 엽수가 8 매 이상 되는 우량한 묘를 획득할 수 있었고 이를 본 밭에 이식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진다.

O1igota kashmirica benefica (딱정벌레목: 반날개과)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과 유자과원에서의 발생소장 (Effects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Oligota kashmirica benefica(Coleoptera: Sthphylinidae) and Its Seasonal Fluctuation in Yuzu Orchards)

  • 최덕수;김규진;박종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9-204
    • /
    • 2002
  • 전남 고흥지역의 유자과원에 발생하는 글응애와 그 우점천적인 O.kashmirica benefica의 발생소장과 온도별 발육특성, 발육영점온도 그리고 유효적산온도를 1997년부터 2000년까지 4년동안 조사하였다. 15, 20, 25, 3$0^{\circ}C$ 항온조건에서, 알부터 우화까지 발육기간은 각각 67.3, 31.4, 19.4, 15.3일이었고, 각 태별로는 번데기, 알, 3령 유충, 2령 유충, 1령 유충 순으로 발육기간이 길었으며, 암성충의 일평균산란수는 각각 3.3, 5.6, 7.3, 7.7개로 온도가 높을수록 산란수는 증가하였으나, 부화율과 우화율은 $25^{\circ}C$에서 각각 92%와 60%로 가장 높았다. 성충 수명은 암컷이 54.3일, 수컷이 58.6일로 숫성충이 약간 길었고, 자연발생 상태에서 성비는 0.58이었다. 알, 1령 ,2령, 3령 유충, 번데기 그리고 알에서 번데기까지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2.7, 10.0, 10.8, 7.9, 10.1, 10.6$^{\circ}C$였고, 유효적산온도는 41.4, 22.9, 22.7, 46.6, 165.3, 292.9일도였다. O.kashmirica benefica는 유자과원에서 4월 상순부터 12월 상순까지 발생하고, 발생최성기는 글응애 발생량에 의존하여 해에 따라 다르며 발생최성기에 글응애와의 비율은 100-200:1이었다.

치은 변연을 고려한 상악 전치부의 심미 수복 증례 (The esthetic prosthodontic treatments in maxillary anterior area, considering the gingival margin)

  • 손다흰;백장현;우이형;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38-444
    • /
    • 2016
  • 상악 전치부의 보철 수복은 치과 영역의 심미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치료이다. 상악 전치부의 보철 수복을 통해 치아의 형태나 배치, 색상 등을 대체함으로써 심미성의 개선이 가능하다. 이러한 치료를 계획할 때, 안모 및 치아와 입술과의 관계 분석, 치아와 치은의 분석 등을 통해 환자마다 개별적인 고려 사항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려 사항 중 치아 주위 치은 구조를 적절히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치은 변연의 높이, 치은 정점의 위치, 치간 유두의 재건, 출현 윤곽, 좌우 측의 대칭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치은 구조가 항상 적절히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철 치료 시 비심미적인 치은 구조의 개선을 위한 처치를 계획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증례에서는 치은 외형의 결함으로 인한 비심미성을 개선하기 위해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에서 외과적 처치 없이 각각 pink porcelain, 치은 연하 형태의 형성, 가공치 기저부 형태의 조정을 통해 만족할만한 심미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Characteristics of Imported Malaria and Species of Plasmodium Involved in Shandong Province, China (2012-2014)

  • Xu, Chao;Wei, Qing-Kuan;Li, Jin;Xiao, Ting;Yin, Kun;Zhao, Chang-Lei;Wang, Yong-Bin;Kong, Xiang-Li;Zhao, Gui-Hua;Sun, Hui;Liu, Xin;Huang, Bing-Che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407-414
    • /
    • 2016
  • Malaria remains a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malaria prevalence situation in the province. In this study, data of malaria cases reported in Shandong during 2012-2014 were analyzed, and Plasmodium species were confirmed by smear microscopy and nested-PCR. A total of 374 malaria cases were reported, 80.8% of which were reported from 6 prefectures. Of all cases, P. falciparum was dominant (81.3%), followed by P. vivax (11.8%); P. ovale and P. malariae together accounted for 6.4% of cases. Notably, for the first time since 2012, no indigenous case had been reported in Shandong Province, a situation that continued through 2014. Total 95.2% of cases were imported from Africa. The ratio of male/female was 92.5:1, and 96.8% of cases occurred in people 20-54 years of age. Farmers or laborers represented 77.5% of cases. No significant trends of monthly pattern were found in the reported cases. All patients were in good condition after treatment, except for 3 who di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ported malari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2 in Shandong Province, especially for P. falciparum, and there is an emergence of species diversity.

황다리독나방(나비목: 독나방과)의 생활사 (Life History of lvela auripes (Lepidoptera: Lymantriidae))

  • 최광식;최원일;김철수;박일권;정영진;장석준;심상준;신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1-373
    • /
    • 2006
  • 층층나무를 가해하는 단식성 해충인 황다리독나방(Ivela auripes)의 생활사를 실내 항온조건과 야외에서 조사하였다. 실험실 $24{\pm}1^{\circ}C$ 항온조건에서 1령 유충부터 번데기까지의 총 발육기간은$26.3{\pm}0.3$일이었고 성충의 수명은 $4.4{\pm}0.2$일이었다. 야외에서 채집된 번데기와 실험실 항온 조건에서 사육된 번데기의 발육 일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실에서 사육된 암컷 한마리당 산란수는 야외에서 채집된 개체들의 산란수에 비해 낮았다. 포충망을 이용한 모니터닝이 유아등 모니터닝에 비해 효율적이었다. 황다리독나방의 성충우화시기는 6월 초순부터 하순이었으며 50% 누적 우화시기는 6월 17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