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ryonal rhabdomyosarcoma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2초

Compound HRAS/PIK3CA Mutations in Chinese Patients with Alveolar Rhabdomyosarcomas

  • Liu, Chun-Xia;Li, Xiao-Ying;Li, Cheng-Fang;Chen, Yun-Zhao;Cui, Xiao-Bin;Hu, Jian-Ming;Li, F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4호
    • /
    • pp.1771-1774
    • /
    • 2014
  • The rhabdomyosarcoma (RMS) is the most common type of soft tissue tum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yet only a few screens for oncogenic mutations have been conducted for RMS. To identify novel mutations and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we conducted a high-throughput Sequenom mass spectrometry-based analysis of 238 known mutations in 19 oncogenes in 17 primary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RMS tissue samples and two RMS cell lines. Mutations were detected in 31.6% (6 of 19) of the RMS specimens. Specifically, mutations in the NRAS gene were found in 27.3% (3 of 11) of embryonal RMS cases, while mutations in NRAS, HRAS, and PIK3CA genes were identified in 37.5% (3 of 8) of alveolar RMS (ARMS) cases; moreover, PIK3CA mutations were found in 25% (2 of 8) of ARMS specime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umor profiling in archival tissue samples is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diagnostic markers and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and suggests that these HRAS/ PIK3CA mutation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genesis of RMS.

전이성 고환주위 폐포성 횡문근육종 1예 (Paratesticular Alveolar Rhabdomyosarcoma with Multiple Lymph Nodes Metastasis Successfully Treated with Chemotherapy)

  • 이하영;현명수;이경희;김민경;고성애;손세훈;박성우;김동근;김명진;장효진;김미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70-76
    • /
    • 2011
  • Rhabdomyosarcomas are soft tissue sarcomas; while extremely rare in adults, they are one of the most common neoplas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istologically, they can be classified into embryonal (ERMS), alveolar (ARMS), pleomorphic, and undifferentiated types. The ARMS type is very rare, and is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Common primary sites of ARMS are the trunk and extremities. We report on a case of paraaortic, supraclavicular, and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from paratesticular ARMS treated with VAC (vincristine, dactinomycin, cyclophosphamide)/ IE(ifosfamide, etoposide) chemotherapy in a young adult. Administration of six cycles of chemotherapy with VAC/IE resulted in complete remission. The patient has maintained complete remission over the past 27 months.

  • PDF

폐로 전이한 Wilms 종양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2예 보고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Metastatic Wilms' Tumor in the Lung - Report of Two Cases -)

  • 김완섭;김남훈;고영혜;박문향;이중달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8-224
    • /
    • 1996
  • We describe two cases of metastatic Wilms' tumor in the lung with emphasis on the cytologic features of specimens obtained by needle aspiration. One of them was extrarenal Wilms' tumor. The findings were correlated with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of the primary lesion. Cellular components in the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slides included blastemal, epithelial, stromal and inflammatory cells with immature tubular differentiation and rosette formation. Recognition of these cellular components in FNAC smears help in establishing FNAC diagnosis of Wilms' tumor. The blastemal cells were represented by small to medium sized cells with scanty cytoplasm having ill-defined borders and round to slightly oval nuclei with evenly dispersed chromatin and small marginated nucleoli. They were seen in our two cases.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s neuroblastoma, malignant lymphoma, malignant rhabdoid tumor, clear cell sarcoma, Ewing's sarcoma and embryonal rhabdomyosarcoma. In conclusion, making a definite cytologic diagnosis of metastatic Wilms' tumor may be possible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above findings may contribute to the diagnosis of FNAC of metastatic Wilms' tumor.

  • PDF

흉폐부에서 발생한 악성소세포 종양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reatment for Malignant Small Cell Tumor of the Thoracopulmonary Region (Primitive Pluripotent Histogene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s -))

  • 오원용;양진영;황인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1호
    • /
    • pp.117-122
    • /
    • 1991
  • 흉폐부 또는 흉벽에서 발생하는 악성소세포 종양군인 Ewings sarcoma, 횡문근육종, Askin tumor, 신경아세포종, PNET, 임파종 등은 현미경학적 소견만으로는 감별하기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는 조직세포화학적검사, 면역세포화학적검사, 세포배양, 세포유전학적 검사등의 도움으로 상기한 악성소세포 종양군들이 모두가 같은 계통의 primitive pluripotent cells로 부터 분화되어 발병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 방사선치료, 항암요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예후는 재발 과원격전이로 인하여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치료한 예를 보고하면서 흉폐부에서 발생하는 악성소세포 종양군의 조직발생과 감별진단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96년도 상반기에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에 대한 고찰 (Epidemics of Ascetic Meningitis in Kyoungsangnamdo from May to August, 1996)

  • 권오수;이경림;김원엽;정원조;마상혁;이규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1호
    • /
    • pp.97-105
    • /
    • 1997
  • 목 적 : 무균성 뇌막염은 소아에서 많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여름과 가을에 많이 호발하며 원인은 주로 장바이러스(enterovirus)로 알려져 있다. 감염된 환아들은 단기간에 증상이 좋 아지며 대부분 합병증 없이 회복된다. 이에 저자들은 1996년 5왈말부터 8월까지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무균성 뇌막염이 유행하였던 바 뇌막염 환자 및 뇌막염 증상은 보이지 않으나 고열과 발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원인 바이러스를 규명하고 임상 증상과의 관계를 추구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8월까지 마산파티마 병원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된 환아 및 고열이 나면서 몸에 특징적인 발진이 생겨 바이러스 감염이라고 생각되었던 환아 155명중 57명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뇌척수액22례, 대변57례) 바이러스 배양과 장바이러스 (enterovirus) RNA의 검출을 시행하였다. 뇌척수액은 요추천자를 하여 무균 튜브에 채취하였고 대변은 면봉법으로 채취하여 무균 튜브에 넣어서 검사 전까지 $-30^{\circ}C$ 냉동고에 보관하여 검사실까지 운반시는 밀봉된 용기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어 이송하였다. 채취된 뇌척수액과 대변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행하고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바이러스 배양에 사용한 세포주들은 human embryonal rhabdomyosarcoma(RD), African green monkey kidney(BS-C-1), human lung diploid(MRC-5), human cervix epidermoid carcinoma(HeLa)세포주였고 뇌척수액에서의 장바이러스 RNA는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입원하였던 환아는 155명이었으며 남녀의 비는 1.94:1로 남아가 많았고 연령분포는 생후 15일부터 15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분포를 보였으나 주로 5세미만에서 발생하였으며(74.8%) 시기상으로는 1996년 5월부터 1996년 8월까지 환자가 발생 하였다. 2) 임상 증상은 전례에서 고열이 동반되었으며 그 외에 두통, 구토, 복통, 설사, 발진이 주된 임상 증상이었으며 발진은 4세 미만에서, 특히 18개월 이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p<0.001). 3) 뇌척수액을 이용한 RT-PCR 결과는 22례 중 10례에서 양성의 결과가 나왔고 그중 3례에서 echovirus type 9이 분리되었다. 4) 대변검체가 의뢰된 환자 54례중 41례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바이러스는 모두 echovirus type 9 이었다. 결 론 : 1996년도 상반기에 경상남도 중부 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의 원인 바이러스와 같은 시기에 유행한 고열과 발진의 원인 바이러스는 동일한 바이러스로서 모두 echovirus type 9 이었다.

  • PDF

하절기에 발열을 주소로 입원한 3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장바이러스 감염 (Clinical Significance of Enterovirus in Febrile Illness of Young Children)

  • 곽지연;조미현;김성은;강석호;김미옥;마상혁;이규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1호
    • /
    • pp.94-100
    • /
    • 2001
  • 목 적 : 장바이러스 감염에 있어서 임상양상은 비특이적인 열, 무균성뇌막염, 호흡기 질환, 피부병변, 위장관 질환, 드물게는 심근염, 뇌염 등 치명적으로도 나타날 수 있으며 모든 장바이러스의 혈청형은 사람에게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어린 영아인 경우 전구증상 없이 갑자기 병이 발생하며 고열과 보챔이 주증상이다. 이런 경우 임상에서 다른 감염성 질환과의 감별이 어려운데 특히 3개월 이하의 어린 영아에서 감염이 되면 세균성 패혈증과 유사한 증상을 보여 감별하기가 매우 힘든 면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99년 5월부터 9월까지 3개월 이하 영아에서 발열을 주소로 입원하는 환자에서 장바이러스 감염의 임상양상을 알아보았다. 방 법 : 1999년 5월부터 9월까지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 병동에 3개월 이하의 소아에서 발열로 주소로 입원하는 환자의 뇌척수액, 대변을 채취하여 장바이러스 배양과 PCR을 실시하였다. 뇌척수액은 요추천자를 하여 무균 튜브에 채취하였고 대변은 면봉법으로 채취하여 무균 튜브에 넣어서 검사 전까지 $-30^{\circ}C$냉동고에 보관하여 검사실까지 운반시는 밀봉된 용기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어 이송하였다. 채취된 뇌척수액과 대변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행하고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바이러스 배양에 사용한 세포주들은 human embryonal rhabdomyosarcoma(RD), African green monkey kidney(BS-C-1), human lung diploid(MRC-5), human cervix epidermoid carcinoma(HeLa) 세포주였다. 혈청형이 결정되지 않은 검체는 RT-PCR을 시행하여 다시 확인하였다. 결 과 : 연구 기간동안 발열을 주소로 입원한 3개월 이하의 영아는 총 44명이었고 바이러스 배양검사에서 장바이러스가 분리된 환자는 대변에서는 20명, 뇌척수액에서는 1명이었다. 남녀의 수는 각각 15례, 5례였다. 바이러스가 분리된 환자들의 계절적인 분포를 보면 6월부터 9월까지 분포하였고 6월에 가장 많은 환자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었다. 뇌척수액에서 백혈구 증다증을 보여 무균성 뇌막염이 진단이 된 경우는 4례이고 백혈구수는 $13{\sim}375/mm^3$까지의 범위로 나타났다. 임상양상을 보면 발열 기간은 2~6일까지로 평균 3.4일이었고 설사는 2례, 구토가 3례, 수유곤란이 2례, 발진이 1례에서 나타났다. 분리된 장바이러스의 혈청형은 대변에서 echovirus type 9이 3례, echovirus type 11이 1례, Coxsakievirus type B4가 1례, 나머지는 15례는 혈청형을 결정하지 못하였고 뇌척수액에서는 1례에서 혈청형이 결정이 되지 않은 장바이러스가 분리가 되었다. 혈청형이 결정이 안된 검체는 RT-PCR을 시행하여 다시 한 번 더 확인하여 모두 양성의 결과를 얻었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2례에서 요로감염이 있었으며 1례에서는 Kawasaki 병의 형태로 나타났다. 모든 환자들이 특별한 합병증이 퇴원하였다. 결 론 : 하절기에 어린 영아에서 특별한 임상 증상이나 징후 없이 발열만 있는 경우 장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