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sholtzia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초

향유속(꿀풀과)의 신종: 변산향유(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A New species of Elsholtzia (Lamiaceae): E. byeonsanensis M. Kim)

  • 최창학;한경숙;이정심;소순구;황용;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7-201
    • /
    • 2012
  • 전북 변산에서 향유속의 신종인 변산향유(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를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 하였다. 분자생물학적인 결과는 변산향유가 근연종들과 구별되는 신종임을 지지해 주었다. 변산향유는 꽃이 한쪽 방향으로 밀생하는 수상화서이며 난형인 잎과 화관길이가 길어 꽃향유와 유사하다. 그러나 변산향유는 식물체는 작고 줄기는 자주색이며 잎은 혁질이고 윤기가 나며 엽병과 엽신 표면 및 화서의 포 표면에 털이 없고 바닷가 바위틈에 자라는 반면에, 꽃향유는 식물체는 크고 줄기는 녹색이며 잎은 초질이고 윤기가 없으며 엽병과 엽신 표면 및 화서의 포 표면에 털이 있고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한국산 향유속(Elsholtzia Willd., 꿀풀과)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Elsholtzia Willd. (Lamiaceae) in Korea)

  • 전윤창;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9-333
    • /
    • 2006
  • 한국산 향유속 분류군의 분류학적 개정을 위해 영양기관과 생식기관 형질 [외부형태학, 미세형태학, 해부학(엽신, 엽병, 줄기), 화분, 소견과]의 상세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산 향유속의 화서는 원통형으로 배열되는 분류군도 있으나 대개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열하고, 길이는 0.5-10 cm이다. 잎은 난형 혹은 선형으로 길이는 0.2-10 cm이고, 너비는 0.2-6 cm이다. 화서와 잎의 종마다 다른 크기와 모양 등은 종간 구별에 유용한 형질로 나타났다. 식물체의 잎과 포에는 불규칙형(anomocytic)과 교차형(diacytic)의 기공복합체가 관찰되었으며, 소견과의 형태는 난형으로 표면무늬는 다공형이고, 과피는 모두 점액성과피(myxocarpy)의 특징을 가졌다. 화분의 크기는 대부분 중립, 모양은 아장구형, 발아구는 6구형이고, 표면무늬는 전형적인 이중 망상형(bireticulate)이었다. 한국산 향유속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개정을 하였다. 4개의 종이 구별되었고, 각 분류군의 기재문과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Taxonomic status of three taxa of Elsholtzia (E. hallasanensis, E. springia, and E. splendens var. fasciflora) (Lamiaceae) based on molecular data

  • Lee, Chang Shook;Hwang, Kung Ae;Kim, Jin Ok;Suh, Hyoung Min;Lee, Nam Sook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9-266
    • /
    • 2011
  • Elsholtzia hallasanensis, E. springia, and E. splendens var. fasciflora (Lamiaceae) were reported recently as new species or new varieties of E. splendens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reappraise the taxonomic status of these additional taxa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Korean Elsholtzia taxa except E. saxatilis, which is distributed in North Korea, molecular studies based on the nrDNA (ITS) and cpDNA (rpl16, and trnH-psbA) sequences of seven taxa of Elsholtzia and one outgroup were carried out. The molecular data support that E. angustifolia and E. minima are distinct species from E. splendens and E. ciliata, respectively, because they have several private marker genes and show monophyly. The molecular data also support that E. splendens has a very close taxonomic relationship with both E. hallasanensis and E. springia. We found that E. splendens var. fasciflora, with multiple inflorescence, was based on several private marker genes and on the monophyly of its trees, suggesting that it can be considered as a variety. Elsholtzia springia, with the same sequences and the sa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E. hallasanensis after transplanting, should be treated as a synonym of E. hallasanensis. Moreover, we consider the taxonomic status of E. hallasanensis as E. splendens var. hallasanensis (Y. Lee) N.S. Lee & C.S. Lee, stat. nov.

향유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및 항염효과와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 (Inhibitory Effect of Melanogenesi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lsholtzia ciliata Extract and Its Application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 이대우;김영진;김영실;엄상용;김종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19-225
    • /
    • 2006
  • 본 연구는 항유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미백 및 항염 효과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30%, 70% 그리고 100% 메탄올로 추출한 각각의 향유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효과는 30%와 70% 추출물들은 0.025% 이상의 농도에서, 100% 추출물은 0.1% 이상의 농도에서 8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포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는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 모두 0.1% 이상의 농도에서 8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후 70% 메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MPLC를 사용하여 성분 분리 실험을 실시한 결과 4개의 분획들을 얻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1번, 2번 그리고 3번 분획들에서 항산화(DPPH 라니칼 소거, Mn-SOD 생성 억제), 미백(멜라닌 생성 억제) 그리고 항염($IL-1{\alpha}$, IL-6, COX-2, Total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Effect of Elsholtzia splendens Extracts on the Blood Lipid Profile and Hepatotoxicity of the Mice

  • Choi, Eun-Jeong;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13-416
    • /
    • 2008
  • Effects of extracts obtained from the flowers of Elsholtzia splendens on the serum lipid profile and hepatotoxicity in mice were investigated. Female ICR mice were given E. splendens ethanolic extract (ESEs) orally at a dose of 10 or 50 mg/kg BW for 50 days. Significant dose-dependent decreases in triglyceride and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of serum were observed. In addition, ESEs prolonged the lag-time of LDL oxidation in vitro. In the serum of ICE mice given ESEs orally at 10 and 50 mg/kg BW, the serum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lactic dehydrogenase (LDH)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total protein, albumin, creatinine,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total bilirubin did not change. Therefore, ESEs may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although it has some hepatotoxicity.

In vivo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the Aromatic Herb Elsholtzia splendens

  • Choi, Eun-Jeong;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128-1130
    • /
    • 2008
  •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an Elsholtzia splendens ethanol extract (ESE) were examined in vivo. Oral administration of 10 or 50 mg ESE/kg BW in mice for 50 days resulted in a dose-dependent decrease in several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including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protein carbonyls, and serum 8-hydroxy-2'-deoxy guanosine (8-OH-dG). Moreover, the level of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SE treatmen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SE may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via its antioxidative properties.

좀향유의 삽목 증식 및 시비에 따른 유묘의 생장 효과 (Cutting Propagation and Seedling Growth Effect According to Fertilizer Application of Elsholtzia minima Nakai)

  • 김태근;김현철;송진영;이희선;고석형;이유미;송창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3-252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특산식물인 좀향유의 현지 내・외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증식체계를 마련하고 전처리제 처리에 따른 발근 특성과 시비에 따른 유묘의 생장 효과를 등을 알아보았다. 온실과 밀폐상의 온습도 조사결과 평균 온도는 비슷하였으나 공중 습도는 온실보다 밀폐상이 높은 습도를 유지하였으며, 좀향유 삽목 후 온실은 10일, 밀폐상은 7일만에 최초 발근을 확인하여 밀폐상의 빠른 발근율을 보였으며 온실과 밀폐상에서의 생존율, 발근율, 뿌리수 등은 근소하게 밀폐상이 높게 조사되어 온실보다 밀폐상이 효과적이었다. 발근억제물질 제거를 위한 전처리제 처리는 AgNO3 77.5%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에서 95% 이상의 높은 발근율로 조사되어 좀향유의 경우 발근억제 물질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유묘의 용기별 질소 시비량 및 Osmocote 시비시험 결과 시비량과 용기의 조건에 따라 생존율과 생장 등에 차이를 보였다. 배양판에서 완효성 비료인 Osmocote를 시비한 결과 생존율, 지상부, 지하부 생장 등이 가장 양호하여 좀향유의 유묘 증식을 위해서는 Osmocote 시비가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원지 (Polygala tenuifolia), 백지(Angelica dahurica) 및 꽃향유 (Elsholtzia splendens) 추출물의 혼합 비율 최적화 (Optimization of mixing ratio of Polygala tenuifolia, Angelica dahurica and Elsholtzia splendens extracts for cosmetic material development)

  • 정서아;송가현;박수인;정연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93-1000
    • /
    • 2023
  • 최근 화장품 소재로서 환경친화적인 식물성 유래 천연물질이 주목받고 있으며, 천연물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약용식물 원지 (P olygala tenuifolia), 백지 (Angelica dahurica), 꽃향유 (Elsholtzia splendens) 3종 추출물의 배합 비율을 달리하여 항산화, 항염증, 보습 및 항균 효능을 조사하였다. 배합 비율은 7가지 조건 (M1, 1:1:1; M2, 0.5:1.5:1; M3, 1.5:0.5:1; M4, 0.1:0.95:0.95; M5, 0.5:0.5:2; M6, 0.95:1.95:0.1; M7, 1.45:0.1:1.45)으로 설정하여 추출하였고,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위해 최적의 혼합 비율을 확인하였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M6 1,000 ㎍/mL에서 각각 75.37% 및99.19%의 소거능을 나타냈다. M6 200 ㎍/mL 농도에서는 염증반응을 유도한 lipopolysaccharide 처리군 대비 50% 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M3와 M6은 50 ㎍/mL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hyaluronic acid 생성량이 각각 1.47배, 1.49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Disc diffiusion 테스트에서는 M6 8 ㎍/mL에서 clear zone이 9.75 mm로 나타나 Staplylococcus aureus 균주의 생장 억제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원지, 백지, 꽃향유 혼합 추출물은 화장품의 기능성 천연소재로 사용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