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19초

최근 20년 동안의 초등 과학 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Focus on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the Last Twenty Years)

  • 김남훈;김형진;정숙진;김동석;김지숙;임희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87-499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21년까지 과학과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초등 과학 교과서와 관련된 연구 156편을 분석하여 교과서 분석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기준은 '형식'과 '주제' 두 개의 대범주로 구성하고, '형식'의 하위 범주로 '발행연도', '대상 교육과정', '분석 학년', '과학 내용 영역', '분석 대상', '발행 기관'을 '주제'의 하위 범주로는 '비교 연구', '내용 분석', '삽화', '탐구활동', '교과서에 대한 인식', '기타'로 설정하였다. '형식'에 대한 분석 결과 거의 매년 교과서 관련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에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전 학년(3~6학년) 및 과학의 전 영역을 대상으로 다룬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과학교육 관련 학회지뿐만 아니라 비관련 학회지에서도 과학 교과서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주제'에 대한 분석 결과 비교 연구, 내용 분석, 삽화, 탐구활동, 교과서에 대한 인식 순으로 연구 비율이 높았다. 초등 과학 교과서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귀국학생 지도를 위한 미국과 한국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USA and Korea for leaching the Returnee Students)

  • 한영욱;김대홍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contents between the United States(Science Horizons) and Korea for teaching the Returnee students. The analyzed contents are the name of chapters, the number of chapters, the page amounts of chapters, the structure of chapters and the studying time of chap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1. Korean science textbook's number is 20. 'Science Horizons' has 6. Korean science textbook's total number of chapter is 58, 'Science Horizons' is 75. Korean science textbook's total number of page is 1,60.3, 'Science Horizons' is 2,106. So 'Science Horizons' has more number of chapter and page than Korean textbooks. 2. The ratio of Korean science textbook's contents is as follows: physical area, 22.4%; chemistry area, 12 1%: biology area, 39.6%; earth science area, 25.9%. But the ratio of 'Science Horizons' science textbook's contents is as follows: physical area,21.3%; chemistry area,4.0%; biology area, 46.7%; earth science area. 28.0%. 3. In case of 'Predicting the Weather' chapter, Korean science textbook has 3 lessons, 17 themes and 11 activities, whereas' Science Horizons' has 5 lessons, 10 themes and 5 activities. 4. The themes or chapters of 'Science Horizons' to propose deeper than Korea are about animals and plants, energy and movement, weather and season. our body, and earth and outer space. In case of Korean textbook are about chemistry area, the rock and volcanic activity and electric circui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contents. And the returnee students has many troubles to adapt korean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teachers should know and understand that, and help them.

  • PDF

초등.중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열, 온도 개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oncepts Related to Heat and Temperatur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백성혜;박영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78-489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과학사적 관점을 토대로 온도와 열의 개념 유형을 구분하고, 초등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열과 온도에 대해 진술하는 개념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오개념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과학 및 화학, 물리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열과 온도의 개념이 현대적인 관점을 제시하지 못하고, 과학사적으로 변천해온 개념들이 뒤섞여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학생들이 열과 온도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호기득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Inquiries as Present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심규철;박종석;박상우;신명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24-31
    • /
    • 2007
  • Research into scientific inquiry methods indicates that providing various types of inquiry methods can enhance students' science loaming in terms of providing students with actual science in various ways' more so than exposure to one type of inquiry method. This article develops a framework for an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types based on the nature of scientific enterprise. We selected three types of scientific inquiry: these were minds-on activities, hands-on activities, and experimenting.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ubject areas; earth science, physics, biology, and chemistry. A total of 61 teaching units from 3rd through 6th grade science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frequencies of each type of scientific inquiry method were slightly different among four science subject areas. The most frequent type which appeared in physics and chemistry was the hands-on type, while the minds-on activity type was the most frequent type which appeared in earth science and biology.

  • PDF

중국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삽화 분석 (The Analysis on the Illustrations of the Chines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4
    • /
    • 2010
  •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rvey and analyze the illustrations of Chines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The analysis criterion was composed of two categories, the kind of illustration and the role of illustration. The kind of illustration was divided into six subcategories categories such as photograph, picture, illustration, cartoon, diagram and recording sheet. The role of illustration wa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such as motive induction, guidance for learning, the supply of learning material, the presentation of learning resul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hines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have about 3.55 illustrations per page. Compared with Korean ones, Chinese ones have more illustrations. From the analysis of the kinds of the illustrations on grade basis,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percentage of illustrations of Chines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s photograph, cartoon et al.. Photograph is prominent in entire grade. And From the analysis of the kinds of the illustrations on domain basis, the same results was founded. From the analysis of the roles of the illustrations on grade basis showed that both supply of learning material and guidance for learning are dominant in entire grade. The role of supply of learning material is a little more major than that of guidance for learning. From the analysis of the roles of the illustrations on domain basis, it was found that in domain of physics and chemistry the role of guidance for learning is major, and in domain of biology and earth science the role of supply of learning material is major.

  • PDF

초등 과학교육의 회고 (Retrospection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조선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3호
    • /
    • pp.266-272
    • /
    • 2004
  • This retrospection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s very carefully and only my opinions during about 40 years in my life. They are a few articles as follow, 1. My body put into science education about 30 years ago, and started college life at that time. 2. The author participated the SCIS programs from the Unites States. 3. He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units on earth science parts and photographs), observation note-books, and teachers guides from third period (1973) to sixth (2000), and also middle school textbooks in 1976. 4. He participated in the setup of science education center in Chenogju National University 1976, and science gift education center 1998. 5. He was the member of earth science Part in observation group to visit south Asia (Japan, Philippines, Malaysia and Thailand on 1-28 August, 1977. 6. He was the president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OCIETY in 1997-1998.

  • PDF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STS Content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고한중;전경문;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289-29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STS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TS 내용의 포함 비율은 쪽수의 측면에서는 26%, 수업 시수의 측면에서는 40%이었다. '에너지'와 '물질' 영역에서의 비율이 높고 학년별 비교에서는 5학년 교과서에 포함된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2) 대부분의 STS 주제는 기술이나 사회보다는 과학과 관련 있었다. (3) STS 내용이 한 시간 수업의 전체 과정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많았다. (4) 대부분의 활동이 '그룹활동'과 '실험.관찰'에 해당하였고 '역할놀이, '현장견학', '인터뷰' 등의 활동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정된 교과서가 최근의 STS 교육사조를 잘 반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STS 주제나 활동유형을 보다 다양화시키는 등 일부 측면에서의 개선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초등과학 교과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 구슬기;박일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4호
    • /
    • pp.463-480
    • /
    • 2012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scientific writing tasks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ypes of posing the writing task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hildren's scientific cogni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writing ones of each chapter and thus to propose an effective way of presenting scientific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Korean 'Science' and 'Experiment Observation Workbook'and Macmillan Mcgraw-Hill(MMH) Science for fourth graders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textbooks contain more science writing tasks per pages, and less per chapters than MMH one. Both text books provide balanced amount of science writing tasks, yet MMH especially does systematic exercises for each chapter.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xtbooks' scientific writing shows that both textbooks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ory" writing, which reflects that the purpose of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is leaning towards acquiring and verifying scientific concepts. In American textbooks, however, writings utilizing extensive cognition process and materials are also present. It is necessary for textbooks to present diverse and expressive writing assignments including personal opinions.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science writing tasks. Science writing tasks in Korean textbooks are present independently with lesson objectives of the chapters and practices, while those in MMH are systematically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textbooks' way of presenting writing task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By organizing the writing materials and thus developing diverse materials, and by implementing extensive cognitive process in the writing activities, textbooks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attracting the students' interests and in improving their scientific knowledge.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 '물체의 무게' 단원을 중심으로 - (Content Diversity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Authoriz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Weight of an Object" Unit)

  • 신정윤;박상우;정현지;홍미나;김현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307-324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국정 교과서와 동 교육과정에 따라 2022년에 출판된 초등 과학과 검정 교과서 7종의 '물체의 무게' 단원에 진술된 과학 개념의 서술과 탐구활동 내용의 특징을 비교하여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의 내용 다양성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각 교과서의 설명텍스트에서 개념 서술 내용의 흐름, 개념 서술 과정에서의 특이점을 분석하였고,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 수, 연결중심성이 높은 중심 단어를 분석 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에서 탐구활동 유형, 탐구과정기능 및 탐구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검정 교과서에서는 과학 개념의 서술이나 탐구활동 내용 구성에서 다양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하위 개념의 포함 여부, 중심 단어 등이 교과서별로 유사하였다. 탐구활동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탐구활동 내용과 탐구 유형, 탐구과정기능이 유사하였다. 특히 이전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탐구활동 주제나 실험 방법을 도입한 경우는 없었다. 하지만 동일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검정 교과서 체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노력들이 일부 시도되고 있었다. 핵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하위 개념의 배치 순서가 교과서마다 달라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이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탐구활동의 내용은 동일하였지만 기존 실험에서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 탐구 활동 준비물이 교과서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검정 교과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시도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 및 장애의 측면에서 초등 과학 교과서 인물 삽화의 다양성 분석 -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Diversity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ism and Disability: Science Textbooks in Third Grade)

  • 김정연;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618-629
    • /
    • 2023
  • 우리 사회는 다양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으나 초등 과학 교과서를 인종이나 장애의 측면에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 삽화의 다양성을 다문화와 장애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검정 초등 과학 교과서 중 3학년 1, 2학기 교과서 7종 총 14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 삽화의 인종을 분석한 결과, 3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인물 삽화 중 다문화 인물 삽화는 8.2%로 실제 국내 거주 외국인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종별로는 백인 삽화가 가장 많고 아시아계 외국인 삽화가 가장 적어, 아시아계 외국인이 많은 우리나라 상황과는 다른 분포로 제시되고 있었다. 출판사별로는 이 분포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 인물 삽화의 성별 분포는 남성이 59.0%, 여성이 41.0%로 차이가 있었으며, 일부 출판사는 남성 다문화 인물이 80%에 이르는 등 출판사에 따라 성별 편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셋째, 삽화의 기능 측면에서 한국인과 다문화 인물 삽화의 분포는 설명적 기능의 삽화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예시적 삽화, 장식적 삽화, 보충적 기능의 삽화 순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 과학 교과서의 인물 삽화를 장애 다양성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장애인의 비율은 2.0%로, 국내 장애인 비율보다 적은 비율이었다. 인종과 장애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상황과 다양성을 고려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