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des, implanted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유두체가 제거된 흰쥐의 정위반응 (Orienting Response of Rats Following Damage to the Mammillary Bodies)

  • 김종규;김철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6권2호
    • /
    • pp.1-8
    • /
    • 1972
  • A study was planned to see if the mammillary bodies have any influence upon orienting response Thirty-nine male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of animals received electrolytic lesion of the mammillary bodies through stereotaxically implanted electrodes (mammillary body group), and the other group received the same treatment short of electrolytic lesion(operated control group). All animals were tested for orienting response 3 weeks after surgery. Orienting response was regarded as elicited when an animal in alertness ceased ongoing activity upon 1,000 Hz tone presentation and/or turned head toward the source of stimulus. Weak (momentary and inconspicuous) and strong (marked and more persistent) responses were discriminated. Occurrence and duration of orienting response were measured, and the rate of habituation was estimated in 20 trials. Shift of attention from sound to light stimulus (10 trials) as well as orienting response of thirsty animals to sound stimulus while drinking (5 trials) and while at rest (5 trials) were also tested. 1. Simple orienting respons to sound stimulus tended to occur more often and its duration tended to be shorter in the mammillary body group than in the operated control group. 2. With repetition of trials, the occurrence of orienting response in each trial decreased progressively in both groups (habituation). However, the rate of habituation was significantly less prominent in the mammillary body group than in the operated control group. 3. Under attention·shift situation, orienting response tended to occur less often and its duration tended to be shorter in the mammillary body group than in the operated control group. 4. Orienting response to sound stimulus while drinking to quench thirst tended to occur more often and its duration tended to be shorter in the mammillary body group than in the operated control group. In quiet state, however, there existed no group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occurrence and duration of the orienting response. Although no obvious inference can be drawn from the above results, they may suggest the mammillary bodies being involved in the orienting response as a control mechanism inhibitory to the occurrence and facilitatory to the habituation of the response.

  • PDF

체내 통신을 이용한 신경 보철용 원격 통신 시스템 (A Telemetry System using Intra-body Communication for Neural Prosthesis)

  • 이태형;송종근;이중재;김성준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4권2호
    • /
    • pp.18-23
    • /
    • 2007
  • 체내 통신은 인체를 통신 매체로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방식이다. 체내 통신 방식은 체내와 송수신 시스템 그리고 외부 접지를 통한 하나의 전류 패스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인공 와우와 같은 신경 보철 장치의 경우 피하에 이식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접지를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접지의 영향을 받지 않는 체내 통신을 제안하여 신경 보철 장치를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이식된 보철 장치의 체내에 위치한 전극으로의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효과적인 통신을 위하여 실험동물의 피부 위 실험 및 피하 실험을 통해 신호 전송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피부 위 실험의 경우 약 10MHz, 피하 실험의 경우 약 3M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전송 이득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률 480kbps를 갖는 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을 사용한 인공 와우용 내부 전류 자극기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Antiepileptic and anti-neuroinflammatory effects of red ginseng in an intrahippocampal kainic acid model of temporal lobe epilepsy demonstrated by electroencephalography

  • Kim, Ju Young;Kim, Jin Hyeon;Lee, Hee Jin;Kim, Sang Hoon;Jung, Young Jin;Lee, Hee-Young;Kim, Hee Jaung;Kim, Sae Y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192-198
    • /
    • 2018
  • Background: Chronic inflammation can lower the seizure threshold and have influence on epileptogenesis. The components of red ginseng (RG)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The abundance of peripherally derived immune cells in resected epileptic tissue suggests that the immune system is a potential target for anti-epileptogenic therapies. The present study used continuous electroencephalography (EEG)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RG in intrahippocampal kainic acid (IHKA) animal model of temporal lobe epilepsy. Methods: Prolonged status epilepticus (SE) was induced in 7-week-old C57BL/6J mice via stereotaxic injection of kainic acid (KA, 150 nL; 1 mg/mL) into the right CA3/dorsal hippocampus. The animals were implanted electrodes and monitored for spontaneous seizures. Following the IHKA injections, one group received treatments of RG (250 mg/kg/day) for 4 weeks (RG group, n=7) while another group received valproic acid (VPA, 30 mg/kg/day) (VPA group, n=7). Laboratory findings and pathological results were assessed at D29 and continuous (24 h/week) EEG monitoring was used to evaluate high-voltage sharp waves on D7, D14, D21, and D28. Results: At D29,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liver function test but RG group had higher blood urea nitrogen levels. Immunohistochemistry analyses revealed that RG reduced the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into the brain and EEG analyses showed that it had anticonvulsant effects. Conclusion: Repeated treatments with RG after IHKA-induced SE decreased immune cell infiltration into the brain and resulted in a marked decrease in electrographic seizures. RG had anticonvulsant effects that were similar to those of VPA without serious side effects.

결장염 유발 Rat의 결장운동성에 침술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ditional Acupuncture on Colonic Motility in the Rat with Colitis)

  • Kim, Hee-Young;Shim, In-Sop;Lee, Hye-Jung;Jeong, Seong-Mok;Kim, Sun-Young;Nam, Tchi-Chou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2-25
    • /
    • 2003
  • 본 연구는 정상 및 결장염을 유발한 rat에서 침술이 결장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내인성 opioid가 관여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2마리의 Sprague-Dawley rat을 정상군 (n=8), 결장염군 (n=6) 및 maloxone군(n=8)의 세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Rat의 근위 결장의 장막하에 스테인레스 전극을 장착하고, 전극장착 7일 후에 trinitrobenzene sulphonic acid(TNBS)과 ethanol을 이용하여 결장염을 유발하였다. 결장의 근전도는 전극장착 11일 후에 trinitrobenzene sulphonic acid(TNBS)과 ethanol을 이용하여 결장염을 유발하였다. 결장의 근전도는 전극장착 11일 후에 polygra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상군에서는 정상 결장의 기초 근전도를 60분간 기록한 후에 GV-1에 20분간 전통 침술을 실시하고, 다시 60분간 근전도를 가록하였으며, 결장염군에서는 TNBS/ethanol이 미리 투여된 rat에 정상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근전도 기록 및 침술을 실시하였다. Naloxone 군에서는 결장염군과 같은 방법으로 TNBS/ethanol이 미리 투여된 rat에 침술을 실시하기전 naloxone(3 mg/kg, SC)을 투여하고 다른 군에서와 마찬가지로 근전도와 침술을 실시하였다. 정상군에서는 침술이 결장의 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TNBS/ethanol을 투여하여 결장염이 유발된 결장염군에서는 침술에 의해서 결장의 운동성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p<0.01). Naloxone군에서는 침술에 의한 결장운동성의 저하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rat에서 GV-1 혈위의 침술에 의해 유발된 내인성 opioid는 염증상태의 결장 운동성을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유두체를 떼어버린 흰쥐의 일반활동 및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General Activity and Stress Response of Rats Following Removal of the Mamillary Bodies)

  • 김철;최현;김정진;김종규;김명석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권1호
    • /
    • pp.79-88
    • /
    • 1968
  • 유두체가 일반활동 및 스트레스 기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를 알기 위하여 유두체가 제거된 흰쥐들(유두체군), 유두체군과 마찬가지 수술 조작을 가하였으나 유두체는 제거하지 않은 흰쥐들(수술 대조군) 및 정상 흰쥐들(정상 대조군)을 마련하여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두체 제거에 있어서는 뇌 정위 고정법에 의하여 동물을 좌우 유두체에 각각 전극(+)을 심고 이와 항문에 넣은 전극(-) 사이에 0.3 ma의 직류 전류를 7초 동안 흘려 유두체를 파괴하였다. 첫째 실험에서는 광선차단 회수 측정 방법에 의하여 유두체군(9마리)의 일반활동을 48시간 동안 측정하여 수술 대조군(13마리)의 그것과 비교하였으며, 둘째 실험에서는 $-10^{\circ}C$의 추위에 한 시간 동안 폭로하는 것을 스트레스로 삼고 추위에 폭로되기 전, 폭로가 끝난 직후, 2시간 후 및 4시간 후에 유두체군(52마리), 수술 대조군(45마리), 및 정상 대조군(37마리)의 부신 아스코르빈산 함유량을 측정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8시간 동안의 일반활동을 총괄한 성적을 비교할 경우에는 유두체군과 수술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유두체군의 일반활동은 수술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저녁 때와 실험이 시작된 직후의 몇 시간 동안은 유두체군의 값이 수술 대조군의 값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2. 스트레스를 받고 난 직후의 유두체군의 부신 아스코르빈산 함유량은 스트레스를 받기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정상 대조군 및 수술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현저하였다. 그러나 유두체군과 수술 대조군은 정상 대조군 보다 스트레스로 부터의 회복과정이 각각 유의하게 또는 다소 촉진되어 있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유두체는 정상시 일반활동에 미약하나마 억제성 영향을 끼치는 경향이 있으며 스트레스 기전에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되나 이들 문제를 결정짓기에 앞서 많은 연구가 요망된다.

  • PDF

유두체가 손상된 흰쥐 수컷의 성 행동 (Sexual Behavior of Male Rats Following Damage to the Mammillary Bodies)

  • 김종규;김철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6권1호
    • /
    • pp.33-37
    • /
    • 1972
  • 유두체가 성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하여 흰쥐 수컷 20마리를 두 무리로 나누어 한 무리에서는 유두체에 둔 전극을 거쳐 직류전류를 흘림으로써 유두체를 파괴하여 유두체군으로 하였으며, 다른 한 무리에서는 전류를 흘리기 전까지의 모든 조작을 유두체군에서와 마찬가지로하여 수술대조군으로 삼았다. 수술이 끝난 3주후 두 무리의 성 행동을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부 압박을 하고 음경(陰莖)을 질내에 삽입하지 않은 오르기(mount)의 회수는 유두체군의 값이 수술대조군의 값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2) 질내 음경 삽입(intromission)을 동반한 오르기의 수효에 관해서는 두 무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두체군의 값이 수술대조군의 값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3) 질내 음경 삽입 유무를 가리지 않은 모든 오르기의 회수는 수술대조군에 비하여 유두체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4) 첫 번째 질내 삽입에서부터 첫번째 사정시 까지의 시간 간격인 사정 지체시간(ejaculatory latency) 및 사정이 있은 때로부터 다음번 질내 음경 삽입 까지의 시간 간격인 사정-질내 삽입 시간 간격(postejaculatory interval)에 관하여는 두 무리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유두체군의 값이 수술대조군의 값에 비하여 다소 단축되는 경향이 있었다. 5) 그 밖에 관찰상자에 흰쥐 암컷을 넣은 다음 처음으로 질내 음경 삽입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오르기를 하기 까지의 시간인 오르기 지체시간(mounting latency)과 관찰상자에 흰쥐 암컷을 넣은 후 처음으로 질내 음경 삽입을 하기까지의 시간인 질내 삽입 지체시간(intromission latency) 및 한 질내 삽입과 다음번 질내 삽입사이의 평균 시간인 질내 삽입 간 시간간격(interintromission period)에 관하여는 두 무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유두체는 정상 동물에서 성 행동에 현저한 영향은 끼치지 않았으나 이 행동을 다소 억제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이들 문제를 결정 짓기에 앞서 더 많은 연구가 요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