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convulsive shock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Docosahexaenoic acid가 전기충격성 뇌장애 마우스의 기억력 및 Acetylcholine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ocosahexaenoic Acid on Brain Function and Acetylcholine Level in Cerebral Cortex of Electroconvulsive Shock Induced Mice)

  • 김문정;신정희;윤재순
    • 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1-242
    • /
    • 1995
  • Electroconvulsive shock (ECS) increases the activity of acetylchohnesterase and decreases in brain acetylcholine levels. A large amount of free fatty acids accumulated in the brain tissue affects cerebral blood flow, brain edema and inflammation and results in brain injur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D,L-pyroglutamic acid (D,L-PCA) on the learning and memory deficit using the passive avoidance failure technique and on the change of acetylcholine and choline level in the cerebral cortex of ECS-induced mice. The application of ECS (25mA, 0.5sec)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memory function for 30 min. ECS-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rtical acetylcholine and choline levels 1 min following the ECS application, which were almost recovered to ECS control level after 30 min. DHA (20 mg/kg, i.p.). administered 24 hr before shock. prevented the ECS-induced passive avoidance failure and the decrease of acetylcholine level 1 min following the ECS application. DHA failed to elicit a change in cortical choline level. DHA did not affect memory function and the cortical Ach and choline level of normal mice. The administration of D,L-PCA (500 mg/kg, i.p.) increased the effect of DHA on memory function and the change of cortical acetylcholine level of ECS induced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HA treatment may be contributed to the prevention against memory deficit, and to the activation of cholinergic system in the ECS induced mice.

  • PDF

백서의 중추와 말초 Opiate계에 미치는 전기충격의 영향 (Influence of Electroconvulsive Shock (ECS) on the Central and Peripheral Opiate System of the Rat)

  • 권혁일;김기원;곽용근;양원모;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5-178
    • /
    • 1988
  • 백서에서 전기충격 (electroconvulsive shock; ECS)이 뇌내 및 혈중 opiate system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대한 수종의 psychoactive drugs의 영향을 검토코저 1일 1회씩, 1, 3, 7및 14일간 ECS를 가하거나, 14일간 상기 약물과 ECS를 병행처리한 백서의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 Met-enkephalin 함량, ${\beta}-endorphin$ 함량 또는 혈중 ${\beta}-endorphin$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뇌내 Met-enkephalin의 함량은 1회의 ECS에 의해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기간의ECS를 가한 군에서는 최종 ECS 1시간 후부터 유의하게 증가되어 7일후까지 지속되었다. 2. 뇌내 ${\beta}-endorphin$의 함량은 ECS처리 횟수에 관계없이 최종 ECS 1시간후에는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24시간, 3일, 7일 및 14일후의 측정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3. 혈중 ${\beta}-endorphin$의 농도는 ECS처리 친수에 관계없이 최종 ECS 5분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1시간, 24시간, 7일 및 14일후의 측정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4.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는 1회의 ECS에 의해 변동되지 않았으나 장기간의 ECS를 가한 군에서는 ECS 1시간후부터 유의하게 감소되어 7일후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Kd치는 모든 실험군에서 변동되지 않았다. 5. ECS장기처리군에서 ECS 30분전 phenobarbital(100 mg/kg) 전처리는 ECS에 의한 뇌내Met-enkephalin함량증가를 현저히 억제 하였으며, ECS에 의한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감소, 뇌내 ${\beta}-endorphin$ 함량감소와 혈중 ${\beta}-endorphin$ 농도증가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6. Imipramine 또는 pargyline 장기처리는 자체로써 뇌내 ${\beta}-endorphin$함량증가, 혈중 ${\beta}-endorphin$ 농도증가,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감소를 일으켰으나 뇌내 Met-enkephalin의 함량과 ECS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7. Reserpine, chlorpromazine 또는 haloperidol 장기처리는 자체로써 뇌내 Met-enkephalin의 함량증가, 뇌내 ${\beta}-endorphin$함량증가, 혈중 ${\beta}-endorphin$ 농도증가,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감소를 일으켰고, ECS효과를 강화시켰다. 8. 장기간 ECS를 가한 백서의 뇌내 specific $[^3H]$-morphine binding의 Bmax는 뇌내 Met-enkephalin 함량과는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이 나 뇌내 ${\beta}-endorphin$ 함량과는 관계 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전기충격요법이 생체내에서의 작웅기전에 중추 또는 말초 opiate계가 개입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또한 ECT의 효과가 수종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의해 변동될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경련성 전기충격에 의하여 나타나는 측뇌-피질과 피질을 제외한 대뇌의 Acetylcholine및 Polyamine 함량-변동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ingle and Repeated Electroconvulsive Shock on the Acetylcholine and Polyamine Contents in Temporal Cortex and Decorticated Cerebrum of Mice)

  • 최상현;이학회;박청산;전보권;천연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20
    • /
    • 1991
  • 뇌에 대한 경련성 전기충격(electroconvulsive shock: ECS)을 이용한 치료가 시작된 후, 50여년에 걸처 이의 생물학적 작용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이렇다할 결과가 아직 없으며, 특히 뇌의 신경전달물질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acetylcholine의 함량이 ECS로 증가되는지 감소되는지 확실치 않다. 더욱이, 대체로 조직의 재생능에 비례하는 함량의 증감을 보이는 polyamine함량이 가장 재생능이 미약한 뇌에 고농도로 있으며 뇌의 국소에 따라서도 그 함량에 큰 차가 있고, 뇌의 polyamine-합성 또한 ECS에 의하여 촉진된다고 하는데, 최근에 Zawia와 Bondy는 polyamine-대사가 뇌-신경의 장기적 적응현상에 관련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웅성 ICR계 생쥐에 ECS(13mA, 100cps, 1sec)를 단회(1 ECS)-부하하여 나타나는 변동을 검색하고 그 결과를 5회(매일 1회씩 이틀마다 5회: 5 ECS)-부하하여 얻은 것과 비교-검토하였다. 측뇌-피질(temporal cortex: $TC{\acute{x}}$)과 피질을 제거한 대뇌(decorticated cerebrum: dc-CB)의 acetylcholine(ACh)함량이 1 ECS 부하후 각각 10분 및 30분에 79.9 및 49.4% 증가되었으며, 이 증가가 5 ECS 부하시에는 유의하게 감약되었던 바, 특히 TCx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Polyamine의 경우, putrescine함량은 TCx 및 dc-CB에서 1 ECS 및 5 ECS 어느 부하에 의하여도 별 변동을 보이지 않았으나 spermidine(Sd) 및 spermine(Sm)은 1 ECS 후에 다소 감소되었을 뿐 아니라 그 감소의 크기가 5 ECS 후에는 현저히 증폭되었고, 특히 dc-CB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또한 ECS를 4회-부하하고 24시간 후의 Sd및 Sm 함량은 ACh 함량과 달리 정상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 따라서 ECS에 의한 ACh함량-변동에 미치는 Sm(30mg/kg, 복강내주사)의 영향을 관찰하였던 바 별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이상의 성적은 반복되는 ECS에 대하여 대뇌의 ACh 및 polyamine대사가 각각 특이적인 적응성 변동을 보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imipramine or ECS on central $\beta_1$and $\beta_2$receptor Sensitivity in the Cardiovascular Response of Rat

  • Sohn, Uy-Dong;Kim, Choong-Young;Huh, In-Hoi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82-288
    • /
    • 1989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mipramine (IMI) and electroconvulsive shock (ECS), which are used as antidepressant therapy, on the central $\beta_1$or $\beta_2$ adrenergic receptor in anesthetized rats. The rest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decreased in reserpinized group (5 mg/kg i. p., 24 hr before), but not in order 4 groups i. e. acute IMI (20 mg/kg i. p.. 3-5 hr before), chronic IMI (Same dose, twice a day for 14 days), siggle ECS (sinusoidal 20 Hz, 120 V for 2 sec) and repeated ECS (same condition, daily for 12 days). The increase of heart rate and hypotension evoked by 1 or 3 $\mu$g intracerebroventricular (i. c. v.) administration of (+) dobutamine, $\beta_2$-agonist, 1 or 3 $\mu$g i. c. v.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in repeated ECS or reserpine treatment. And, the diminuation of pulse pressure of salbutamol also reduced by repeated E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I or ECS result in attenuation on tachycardia by (+) dobutamine or on hypotension by salbutamol, presumably by which the central $\beta_1$ or $\beta_2$receptor sensitivity may be suppressed, repectively.

  • PDF

Effect of Panax ginseng on Latency of Passive Avoidance Response and Neuronal Damage of Hippocampus

  • Cho, So-Hyun;Choi, Sang-Hyun;Choi, Jae-Won;Kim, Dong-Hoon;Shin, Kyung-Ho;Chun, Yeon-Sook;Chun, Boe-Gw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4호
    • /
    • pp.345-353
    • /
    • 1997
  • The effects of crude saponin (SAP) and alkaloid (ALK) fractions of Panax ginseng C.A. Meyer on the detrimental effects of electroconvulsive shock (ECS) and scopolamine on passive avoidance response (PAR) were studi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referring their effects on the neuronal injury and plasticity of hippocampus in response to electrolytic lesion of left entorhinal cortex (ECL). The detrimental ECS effect on PAR was attenuated by pre- and post-treatments with SAP and ALK, respectively, or by pretreatment with aminoguanidine (AG), an inhibitor of diamine oxidase and NO synthase. And the detrimental scopolamine effect on PAR was also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ALK or AG, and by post- treatment with SAP or ALK, respectively. On the 7th day after ECL, the brain sections stained by cresyl violet and by acetylcholinesterase (AChE) histochemistry, respectively, showed the chromatolysis and numeral decrease of neurons and the reduction of AChE reactivity in the hippocampus CA1 area and to a lesser extent, in the dentate gyrus. The neuronal cell death of the CA1 area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SAP, ALK, or AG, and the reduction of AChE reactivity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SAP or ALK and to a lesser extent by AG.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protective effect of ginseng SAP and ALK fractions on ECS- or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PAR may be ascribed in part to preservation of hippocampal neurons, particularly cholinergic neurons.

  • PDF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PLC in rat brain after chronic ECS

  • Hey suk Ihm;You, Je-Kyung;Ryu, Jae-Ryun;Shin, Chan-Young;Ko, Kwang-H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97-197
    • /
    • 1998
  • Chronic electroconvulsive shock(ECS) was shown to Increase phosphatidylinositol-4,5-bisphosphate(PIP$_2$) breakdown and the activity of PLC with the accumulation of inositol-1,4,5-triphosphate(IP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CS on the expression of phospholipase C(PLC) isotypes in rat brain. Two groups of animals were prepared: sham and ECS treated groups. Rats in ECS treated groups received maximal ECS(70mA, 0.5second, 60㎐) by constant current stimulator through ear-clip to induce tonic extension seizures for 12 consecutive days. The expression of PLC isotypes in rat brain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procedure using sagital section of rat brain. The immunoreactivity of PLC${\beta}$1 was observed in corpus striatum, hippocampus, thalamus and that of PLC${\gamma}$1 in corpus striatum, hippocampus, thalamus, frontal cortex, parietooccipital cortex, limbic forebrain, pons, medulla, superior colliculus, inferior colliculus, rest of midbrain. The amount of PLC was analyzed by Western blot using antibodies against PLC${\beta}$1 and PLC${\gamma}$1. Chronic ECS reduced the immunoreactivity of PLC${\beta}$1 in corpus striatum, hippocampus, thalamus but had little effect on PLC${\gamma}$1. To quantify this change, quantitative Western blot using antibodies against PLC${\beta}$1 and PLC${\gamma}$1 was conducted. The immunoreactivity of PLC${\beta}$1 in ECS treated rat whole brain was decreased by 40 % in cytosolic fraction and 26 % in membrane fraction. This different effect of ECS on PLC isotypes may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their activation mechanisms and the different effects of ECS on them.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hronic ECS primalily affects neurotransmitter receptors related IP$_3$ signaling in rat brain.

  • PDF

백서의 조건회피반응-유지에 대한 경련성 전기충격의 저해작용에 미치는 CDP-Choline, Aminoguanidine, 및 Difluoromethylornithine의 영향에 관한 연구 : 뇌내 Acetylcholine과 Polyamine 함량-변동에 연관하여 (Effects of CDP-Choline, Aminoguanidine and Difluoromethylornithine on the ECS-induced Impairment of Active Conditioned Response Retention)

  • 김형건;김창현;최상현;임숙영;이민수;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5-128
    • /
    • 1992
  • Two-way shuttle box에서 active conditioned response (ACR)을 10일간 매일 30회 부하하여 10회 이상 반응한 웅성 Wistar 백서를 이용하여, 경련성 전기충격 (ECS: 50 mA, 100 Hz, 1.5 sec)에 의한 ACR-유지의 변동에 미치는 CDP-choline (250 mg/kg/day/CC), aminoguanidine (100 mg/kg/day: AG), ${\alpha}-difluoromethylornithine$ (250 mg/kg/day, DO), 및 spermine (10/mg/kg/day: SM) 각각의 10일간 복강내-주사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0일간 획득된 ACR은 그 다음 10일후에 더욱 증가되었으며, 이는 일일 간격의 5회 ECS (5-ECS) 또는 ACR-유지검사 3시간전 일회 ECS (ECS-3h)로 현저히 억제되나, ACR-유지검사 24시간전의 일회 ECS (ECS-24h)로는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아울러, ACR의 자연증가현상은 CC와 SM에 의하여 현저히 저하되었으나 AG와 DFMO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5-ECS에 의한 ACR-유지저해는 AG, SM, 및 CC에 의하여 유의하게 되었으며 DFMO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ECS-3h 후의 ACR-유지저해는 SM와 AG에 의하여 다소 더 악화되었고 CC와 DFMO에 의하여는 별 영향을 받지 않았는데, 정상 백서에 비하여 큰 차를 보이지 않은 ECS-24h 후의 ACR은 CC, SM, DO, 및 AG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ECS-3h와 ECS-24는 백서-대뇌 시상하부(HT), 해마(HC), 및 내후피질(EC)의 acetylcholine (ACh) 함량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5{\times}ECS$는 다소 증가시켰으며 특히 EC의 ACh증가는 유의하였다. 아울러 CC과 SM도 대뇌-ACh 함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 DO와 AG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CS-3h와 ECS-24h는 대뇌 HT, HC, 및 EC의 polyamine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5{\times}ECS$는 HT와 HC의 putrescine (Pt) 함량과 HC의 spermine (Sm) 함량을 각각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CC는 PT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spermidine (Sd)와 Sm 함량은 현저히 증가시켰다. 그러나 이같은 CC의 작용을 ECS-3 시간후와 24시간후에는 전혀 볼 수 없었을 뿐 아니라, ECS-3 시간후의 HC의 Sd 함량은 정상치보다 유의한 감소로 역전되었다. 또한 CC는 $5{\times}ECS$에 의한 Pt와 Sm 함량-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SM은 전 부위의 Sd 함량과 EC의 Sm 함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이같은 증가가 ECS-3 시간후에 더욱 상승되었으며, 이때 HC와 EC의 Pt함량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SM은 $5{\times}ECS$에 의해 Pt와 Sm 함량-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DO는 HC의 Sd와 모든 부위의 Sm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또한 Pt와 Sm에 대한 $5{\times}ECS$의 감소작용을 더 상승시켰다. AG는 모든 부위의 Pt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켰을 뿐 아니라 HT의 Sd와 모든 부위의 Sm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5{\times}ECS$에 의한 Pt와 Sm 함량-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성적은 $5{\times}ECS$로 나타나는 ACR의 유지-저해에 대한 aminoguanidine의 보호작용의 일부가 polyamine 대사에 대한 그의 diamine oxidase 억제작용에 기인됨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새앙쥐 강제수영시 부동자세 시간에 대한 Central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의 역할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Central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 on the Immobility Duration in the Forced-swimming Test Mice)

  • 임병용;김상곤;이원식;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0-98
    • /
    • 1985
  • 새앙쥐 강제수영 실험에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향주도성 행동의 항진이라는 본능적 충동의 유발이라는 가정 아래 중추 noradrenaline neuron에 있어서 ${\alpha}_1$- 및 ${\alpha}_2$-adrenoceptor의 역할과 관련지어 이 실험을 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새앙쥐를 이용한 강제수영 실험에서 부동자세 시간은 clonidine 및 guanabenz 등과 같은 ${\alpha}_2$-agonists에 의하여 용량에 의존하여 단축되었다. B-HT 933 및 oxymetazoline은 용량에 의존하지 않으나 단축시켰다. xylazine에의하여는 오히려 증가되었다. 2.${\alpha}_1$-Agonists 인 cirazoline, amidephrine 및 methoxamine은 부동자세 시간에 일관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3. Clonidine과guanabenz에 의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alpha}_2$-antagonists, yohimbine, idazoxan 및 phentolamine 전처치로 봉쇄되었으나 ${\alpha}_1$-antagonists, prazosin 및 corynanthine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4, d-Amphetamine 투여시 부동자세 시간은 용량에 비례하여 단축되었고, 이러한 단축효과는 yohimbine에 의하여는 길항되었으나 prazosin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5. ${\alpha}$-methyl-p-tyrosine 이나 reserpine 또는 두 약물을 동시에 전처치 하였을때 clonidine에 의한 부동자세 시간의 단축은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6. Desipramine 및 imipramine 같은 항우울제를 장기처치 또는 장기간 저기충격 요법을 가한 새앙쥐에서도 clonidine의 효과는 영향을 받지 아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새앙쥐의 강제수영 실험에서의 부동자세 시간의 변동은 중추내 noradrenergic neuron의 postsynaptic ${\alpha}_2$-adrenoceptor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시사되며 이러한 ${\alpha}_2$-agonists에 의하여 항진되는 escape-directed behavior는 자기보호를 위한 일종의 충동의 유발로 인한 행동으로 사료된다.

  • PDF

인삼 및 인삼 사포닌이 쥐의 건망증 및 신경세포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and Its Saponins on Experimental Amnesia in Mice and on Cell Cultures of Neurons)

  • Saito Hiroshi;Nishiyama Nobuyoshi;Iwai Akihiko;Kawajiri Shinichi;Himi Toshiyuki;Sakai Toshimi;Fukunaka Chizu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92-98
    • /
    • 1988
  • 본 연구는 중앙대서전에 인삼의 주 효과중 건망증 방지작용이라고 수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행하여졌다. Step through 시험에서 $GRb_1$$GRg_1$은 기억력 획득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전기충격 쇼크에 의해 야기되는 기억상실 효과를 억제하였다. 게대가 $Rg_1$은 에타놀 야기 기억재생 저해작용을 방지하였다. Stepdown test에 있어서 $Rb_1,\;Rb_2,\;Rg_1$은 전기충격쇼크에 의해 야기되는 기억보지 저해효과를 방지하였다. 또한 $Rg_1$은 에타놀에 의해 야기되는 기억재생 저해효과를 방지하였으며 단기적 기억력 획득을 용이케 하였다. Shuttle box와 lever press 시험에서도 $Rb_1$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기억획득과 재생에 효과를 미치지 못했다. $Rb_1$은 shuttle box 시험에서 조건회피반응의 재생 (retrieval)을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4가지 시험이 끝난후에 인삼의 구강투여가 진정, 진통, 해열, 진경효과와 자발 및 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500 mg/kg 투여 범위내에서 조사하였으나 아무런 반응도 관찰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연구결과는 $Rg_1$이 기억의 재생 및 학습반응의 획득과정에 대하여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의 신경성장인자(NGF)가 성숙동물에 있어 뇌신경세포의 생존, 재생 및 조절에 미치는 작용에 관한 연구결과는 지능장해와 건망증에 대한 신경성장인자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NGF에 의해 야기된 신경세포돌기 성장의 특이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병아리 배배근 신경절에 있어서 NGF의 영향은 $Rh_1$에 의해 증가되었다. 다음으로 $Rb_1$은 병아리 배의 감각 및 교감신경단위에 있어서 NGF-관련 신경섬유 증가를 강화시켰다. NGF와 $Rb_1$을 함께 했을 때도 역시 쥐 대뇌피질의 신경세포 생존수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NGF는 쥐의 배격부 부근의 신경세포를 배양했을 때 cholineacetyl transferase 활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Rb_1$은 뇌에 있어서 신경세포의 생존이나 재생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는 것은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