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7초

Physical Function Monitoring Systems for Community-Dwelling Elderly Living Alone: A Comprehensive Review

  • Jo, Sungbae;Song, Changho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49-57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mprehensive review of monitoring systems to monitor and manage physical function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living alone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unobtrusive monitoring. Design: Literature review Methods: The importance of health-related monitoring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novel corona virus (COVID-19) outbreak.As the population gets old and because of changes in culture,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the elderly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Elders are staying home longer and their physical function may decline rapidly,which can be a disturbing factorto successful aging.Therefore, systematic elderly management must be considered. Results: Frequently used technologies to monitor elders at home included red, green, blue (RGB) camera, accelerometer, passive infrared (PIR) sensor, wearable devices, and depth camera. Of them all, considering privacy concerns and easy-to-use features for elders, depth camera possibly can be a technology to be adapted at homes to unobtrusively monitor physical function of elderly living alone.The depth camera has been used to evaluate physical functions during rehabilitation and proven its efficiency. Conclusions: Therefore, physical monitoring system that is unobtrusive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in the future to monitor physical function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living alone for the aging population.

우리나라 빈곤가구의 빈곤지속기간에 대한 동태적 분석 (A Dynamic Analysis of Poverty Durations in Korea)

  • 김환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183-206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1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특성별로 빈곤가구의 빈곤지속기간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산시간위험률모형을 통해 빈곤탈피율과 빈곤재진입률을 추정하고 이들 확률을 결합하여 빈곤진입 이후의 빈곤지속기간을 추산하였다. 연구결과 빈곤진입가구의 절반가량은 1~2년의 단기빈곤층, 1/4정도는 5년 이상의 장기빈곤층, 나머지 1/4은 3~4년의 중기 또는 반복 빈곤층으로 분류되었다. 가구특성에 따라 빈곤지속기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는데, 여성가구주가구, 노인가구, 가구주 교육수준이 낮은 가구, 배우자 없는 가구, 가구주나 가구원이 미취업이거나 임시/일용직에 종사하는 가구에서 장기빈곤층의 비중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빈곤층이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각각에 알맞은 빈곤정책을 수립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PDF

IT 기술을 활용한 노인돌봄서비스 사례 및 개발 동향 (Cases of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using IT technology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 김한별;김지홍;이성모;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6-498
    • /
    • 2022
  • 초고령사회의 진입에 따라 시니어 헬스 케어를 위한 IT 기술과 보건 의료 산업의 융합형 스마트 헬스 케어가 고령화 시대 독거노인 문제의 해결책으로 급부상 중이다. AI를 활용한 비대면 돌봄 서비스의 발전은 일부 국가가 아닌 세계적 경향으로 AI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노인 돌봄 서비스의 형태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국내 역시 초고령화 사회의 진입을 앞두고 있으며 1인 가구가 증가함으로 인해 독거노인 돌봄과 관련하여 노인 복지 인력 부족 문제가 사회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IT 기술을 이용한 노인 돌봄 서비스는 편리하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노인 돌봄 노동자의 인력난 등의 장기적인 사회적 문제점을 해소해 줄 비전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고령층을 위한 노인 돌봄 서비스의 사례 연구와 초고령화 시대의 대책으로써 노인 돌봄 서비스의 발전 방향이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노인들의 식품위생·안전에 대한 인식, 지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Hygiene·Safety Among the elderly)

  • 이미숙;이심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0-210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hygiene·safety among the elderly,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is for their healthy dietary lif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473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meal preparation status, the relation between awareness, knowledge, food hygiene behavior, and safety. Results: Among the particpants, 44.2% of the total people surveyed were elderly married couples, and 14.0%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For men, most of the meals were prepared by the spouse (74.1%), and among women, 93.8% prepared their meals themselves (P < 0.001). 61.3% of the total subjects answered that they were very interested in food hygiene and safety. Men (32.4%) thought it was more difficult to collect food hygiene·safety information compared to women (14.0%, P < 0.001). The knowledge score about food hygiene·safety was 0.60 (P < 0.05) and the behavior score was 3.70 (P < 0.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knowledge and behavior according to food hygiene·safety was 0.371 (P < 0.001). Conclusions: The food hygiene·safety behavior of the elderly was associated with knowledge (P < 0.001). Therefore, food hygiene·safety education is necessary to ensure information availability and promote the health of the elderly.

도시 및 농어촌 거주 노인의 초가공식품 섭취 상태와 당뇨 및 공복혈당장애에 대한 단면연구 (Association of ultra-processed food with diabete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n elderly populations (urban and rural): a cross-sectional study)

  • 이승재;조미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1-64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UPF) consumption and chronic diseases in elderly Koreans. Methods: Data from the 2019-202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Dietary intake and UPF consumption were assessed using the NOVA food classification based on 24-hour recall data from 3,790 participants (aged 65+ year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 quartile of energy intake from UPFs. Regions were classified as urban or rural.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adjusted odds ratios (A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71.3% resided in urban and 28.7% in rural areas. Compared to the urban elderly, rural participants tended to be older, have lower education and income levels, be more likely to liv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have a higher smoking rate (P < 0.05). Urban elderly consumed more UPFs daily (146.1 g) compared to rural residents (126.6 g; P < 0.05). "Sugar-sweetened beverages" were the most consumed category in both regions. "Sweetened milk and its products" and "traditional sauces" were prominent in urban areas, while rural elderly consumed more "traditional sauces" and "distilled alcoholic beverages." Rural areas also had a higher carbohydrate-to-calorie ratio than urban areas. Compared to the lowest quartile of UPF intake, the highest quartil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only in rural areas (AOR, 1.48; 95% CI, 1.00-2.19; P for trend = 0.0014).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for diabetes in either urban or rural area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 intake of UPF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impaired fasting glucose in rural elder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lucidate the specific negative health effects of UPFs in different populations, and targeted efforts should promote healthy diets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교통약자의 공공시설 접근성에 따른 보행안전 만족도 연구 (A Study on Walking Safety Satisfaction according to Vulnerable Pedestrians' Access to Public Facilities)

  • 권연화;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1호
    • /
    • pp.65-74
    • /
    • 2021
  • 앞으로 교통약자의 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노인,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들의 보행안전만족도에 보행자의 개인 및 가구특성과 공공시설 접근성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교통약자의 보행안전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포용적 도시환경 조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보행안전만족도에는 연령, 성별 변수가 중요하였으며, 장애인의 보행안전만족도에는 학력이 중요한 요소였다. 노인과 장애인 모두 1인가구일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광역시가 아닌 지역에 거주할수록 보행안전만족도가 증가하였다. 공공시설 접근성의 경우 공공기관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도시공원 및 녹지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대중교통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노인과 장애인의 보행안전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노인은 상업시설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보행안전만족도가 높아졌으나, 의료시설 접근성에 만족할수록 오히려 보행만족도는 낮아졌다.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독거노인의 고독사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Indoor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on and Response to Lonely Dea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ZigBee Communication)

  • 사공병일;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2-244
    • /
    • 2022
  • 최근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독거노인의 증가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고독사는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고 있다. 고독사는 사망 이후 며칠이 지난 이후 시신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독거노인의 고독사는 장례와 유품 정리 및 처리할 사람조차 없으므로 죽어서까지도 외로운 죽음이라는 문제 인식이 사회적으로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시신이 발견되는 경우는 보통 며칠이 지난 이후이기 때문에 시신의 부패가 심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독거노인의 고독사 예방 및 대응을 위해 온습도 센서와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해서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모바일의 모션 인식 기반의 응급 처치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First-Aid Service Support System based on Mobile Motion Recognition)

  • 박흥복;서정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6-287
    • /
    • 2018
  • 우리나라의 1인 가구 비중은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이나 노인들의 위험 상황에 지원하기 위한 시회적인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모션 센서가 내장된 핸드폰을 가지고 있으며 범죄나 건강상의 응급 상황에 핸드폰의 간단한 동작을 통해 병원의 응급센터나 경찰에 신고하는 체계적인 방법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모바일 앱의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션 인식을 통해 응급 신고 처리를 위한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추가된 하드웨어 없이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한 손동작으로 실내와 실외 환경에서 응급 처치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Using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o extract daily activity routin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Lee, Bogyeong;Lee, Hyun-Soo;Park, Moonseo;Ahn, Changbum Ryan;Choi, Nakjung;Kim, Toseung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4권2호
    • /
    • pp.73-90
    • /
    • 2019
  • The growth in the number of single-member households is a critical issue worldwide, especially among the elderly. For those living alone, who may be unaware of their health status or routines that could improve their health, a continu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could provide valuable feedback. Assessing the performance adequac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can serve as a measure of an individual's health status;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determining a person's daily activities and extracting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behavioral patterns using camera recordings or wearable sensing techniques. However, existing methods used to extract common patterns of an occupant's activities in the home fail to address the spatio-temporal dimensions of human activities simultaneously. Though multiple sequence alignment (MSA) offers some advantages - such as inherent containment of the spatio-temporal data in sequence format, and rapid identification of hidden patterns - MSA has rarely been used to extract in-home ADL routines.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to extract a household occupant's ADL routines from a cumulative spatio-temporal data log of occupancy collected using a non-intrusive method (i.e., a tomographic motion detection system). The findings from an occupant's 28-day spatio-temporal activity log demonstrate the capacity of the proposed approach to identify routine patterns of an occupant's daily activities and to reveal the order, duration, and frequency of routine activities. Routine ADL patterns identified from the proposed approach ar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detecting/evaluating abrupt or gradual changes of an occupant's ADL patterns that result from a physical or mental disorder, and can offer valuable information for home automation applications by enabling the prediction of ADL patterns.

독거 베이비부머와 에코부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Depression of Baby boomers and Echo-boomers who Live Alone)

  • 최소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01-207
    • /
    • 2021
  • 본 연구는 독거 중고령자와 청년의 고독사나 자살 등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사회적 고립의 가능성이 큰 독거 베이비부머와 베이비부머의 자녀 세대에 해당되는 독거 에코부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두 집단 간 비교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2020한국복지패널 1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1955-1963년생인 독거 베이비부머와 1979-1992년생인 독거 에코부머의 자료로 독립표본 t-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거 베이비부머는 에코부머 세대에 비해 교육, 소득, 건강 상태가 낮은 수준이었으며 우울 수준은 높은 반면 자아존중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두 집단 모두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그 영향은 베이비부머(Adjusted R2 .259)가 에코부머(Adjusted R2 .083)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거 중고령자와 청장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