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in the rural area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5초

Dietary source of vitamin $B_{12}$ intake and vitamin $B_{12}$ status in female elderly Koreans aged 85 and older living in rural area

  • Kwak, Chung-Shil;Lee, Mee-Sook;Lee, Hae-Jeung;Whang, Jin-Yong;Park, Sang-Chul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3호
    • /
    • pp.229-234
    • /
    • 2010
  • Recently, we found and analyzed vitamin $B_{12}$ in some Korean traditional plant foods which had not reported, ye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tamin $B_{12}$ intake and its dietary sources and the vitamin $B_{12}$ status in the very old elderly Koreans. We measured serum vitamin $B_{12}$ level and estimated the amounts of vitamin $B_{12}$ intake from different dietary sources in female elderly Koreans aged 85 and over who had consumed a relatively low animal traditional diet for the whole lif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n = 127) was 98.0 years (85-108 years). The assessment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involved a one-day 24-hour recall, and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Overall diet patter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85-99 yr-old group and centenarians, except centenarians were taking more dairy product. The average ratio of plant food to animal food consumption was 87.5:12.5 in weight. The average vitamin $B_{12}$ intake of our subjects was 3.2 ${\mu}g$, and 52.7% of subjects consumed under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2.0 ${\mu}g$/day. On dietary source, 67.3% of dietary vitamin $B_{12}$ was from meat, eggs and fishes and 30.6% was from plant foods, such as soybean-fermented foods, seaweeds, and kimchi. The average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was 450.5 pg/mL, and low serum vitamin $B_{12}$ (< 200 pg/mL) was found in 9.6% of subjects. Dietary vitamin $B_{12}$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ubjects with low serum vitamin $B_{12}$ (0.79 ${\mu}g$/day) than those with normal serum vitamin $B_{12}$ (3.47 ${\mu}g$/da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tamin $B_{12}$ intake and its dietary sources and serum vitamin $B_{12}$ level between the 85-99 yr- old group and centenarians. In conclusion, several plant-origin foods including seaweed, soybean-fermented foods, and kimchi, ma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good vitamin $B_{12}$ status in very old elderly Koreans.

과소농촌지역(過疎農村地域)의 휴경요인(休耕要因)과 유형(類型) - 경북 상주시 사벌면 덕기리의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Fallow of Depopulation Area in Rural Korea - The Case Study of Deoggali, Sangju Gun -)

  • 이한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4-90
    • /
    • 2001
  • 한국의 과소농촌지역에서의 휴경화는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격심한 인구 유출에 따른 사회변화에 농촌지역사회와 농민의 토지이용방식 및 이농민의 농지처리가 미처 대응하지 못해 나타난 결과이다. 과소지역인 경북 상주시 사벌면 덕가리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농촌 노동력의 질적 저하 양적 부족은 만성적인 농지 공급과잉이 초래되었다. 촌락 내 노동력의 절대적 부족 상태에서 경작조건 불리 농지의 우선적 휴경화가 진행되고 있다. 둘째, 노동력의 상대적 부족 상태, 즉 집약적 노동 투입 또는 노동력 배분 우선 순위에 따라서 자기 소유의 땅이라도 경작 조건이 나쁠 경우는 휴경하고, 조건이 좋은 땅을 임차하여 경영 규모를 확대한다. 셋째, 이농민의 토지 보유 성향과 상속, 매매 부진으로 인한 부재지주 소유농지의 증가는 휴경화를 촉진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노령자의 질병 사망으로 인한 농가 소멸이나 비농가화(非農家化), 촌락 내 노동력의 부족은 부재지주 소유 농지의 우선적 휴경화를 촉진시킨다. 경사도가 높거나 경작조건이 불리한 경지는 부재지주 소유농지를 중심으로 휴경화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덕가리 부재지주의 휴경지는 이촌 이농형 문중답 위토형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한국농촌의 휴경화는 압축적 산업화에 따른 인구유출로 인한 노동력의 양 질적 부족, 경작불리 지의 방치, 농업의 수지조건 악화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부재지주 농지의 온존 증가와 같은 문화적 요인이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유출로 인한 과소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는 원격지 과소농촌지역에서의 휴경화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따라서 또 하나의 한국적 현상인 대도시주변지역에서 나타나는 일시적, 투기적 휴경현상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설명력이 증가되고 전체적인 휴경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라도 장수지역에 거주하는 여자노인의 동거유형에 따른 생화학적 지표 및 영양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ood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Elderly Women Dwelling in Longevity Region in Jeonla Province according to Family Arrangement)

  • 오세인;곽충실;연미영;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40-95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nutrient intake, health statu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females aged 65 years and over in a longevity area according to family arrangement. For analysis, 585 female elderly were recruited from the Kugoksoondam area (Kurye, Goksung, Soonchang and Damyang counties), known as the longevity-belt region in Jeonla province, Korea.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family arrangement (living alone, living with spouse only and living with fami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as well as information on physical measurements, blood tests for biochemical indicators,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dietary behavior, favorite food groups, consumption frequency of food groups, nutrient intake and mini nutrition assessment. In the group living with their spouse only, the highest education, physical activity, diverse food intake, frequency of eating meats and fish, energy and nutrients intake, and score on the mininutrient status assessment (MNA)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favorable factor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group living with their spouse only had relatively superior nutrient intake and the quality of diet. In contrast, the group living alone showed the lowest self-rated economic status, diversity of food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drinking, smoking and regular exercise for almost everyday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those living with family demonstrated the lowest intake of supplements or functional foods, and levels of hemoglobin hematocrit MCH, but the highest HBA1c and blood sugar. Therefore, the group living with family was assumed to be at risk of anemia and diabet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to plan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the health-life expectancy of Korean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according to family arrangement.

은퇴 후 농촌거주를 위한 주택연동형 연금보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잠재 수요자의 보험가입조건 및 서비스 요구도 분석 (A Study on Development of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for Rural Living after Retirement - Decisive insuring factors and the service demand of potential consumers -)

  • 홍형옥;김정인;임상봉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3호
    • /
    • pp.37-5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valid data about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was a part of national housing projects, which was an incentive for rural living of retired people, in order to relieve residential issues of elderly and revitalize rural communities by residents moving from cities. The insuring intent, decisive insuring factors and the residential service demand degree of people preparing retirement were analyzed. Data was collected in October, 2007. 364 Sample Subjects liv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ly, more than 90% of respondents had intention to purchase a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and about 50% of them necessarily desired receiving premium for moving in. This indicated that it could be developed as an insurance which helped to meet housing expenses by housing-linked system, and in the mean time, it met the original purpose of pension insurance as the pension benefit could be guaranteed for all the insurance subscribers. Secondly, the respondents, whose income and private assets were higher, were able to pay more for insurance compared to averag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regulate monthly insurance bill and the payment period according to asset states of insurance subscribers after establishing certain amount of total insurance payment. Thirdly, by and large, it indicated the tendency that the less they prepare for older age the later they wanted to move into the pension insurance residence. It was inferred that in the case of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older age, people preferred preparing behind time by postponing move in to moving in early to enjoy retired life, due to uncertainties. lastly, the respondents understood the significance of health, medical treatment and emergency management service and these two services were preferred as essential provided services. Because of the necessity of developing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was found to be positive, further research to find the real cost, directives for oper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is type of pension insurance might be needed.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생활습관에 따른 기능적 건강상태의 변화 (Change of Function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Healthy Life-styl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Community)

  • 황병덕;이상원;문효정;이성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0권2호
    • /
    • pp.151-165
    • /
    • 2005
  • 농촌지역노인들이 평소 실천해온 건강생활습관이 기능적 건강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건강상태에 바람직하게 작용하는 건강생활습관요인들을 찾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경상북도 성주군의 65세 이상 노인 중 8개보건진료소권역의 3개리에 거주하고 있는 노 1,295명을 대상으로 하여 1996년 10월 한달간 1차 조사를 실시하고 3년 10개월 후인 2000년 7월과 8월에 이들에 대한 2차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추적된 대상자는 1,014명이었다. 건강생활습관의 경우 요인분석을 통해 6개의 요인 15항목의 생활습관 문항을 사용하였다. 1차조사시 고ADL과 고IADL이었던 자만 대상으로 하여 2차 조사시 건강수준의 변화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였다. ADL은 단순분석결과 남자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경제수준, 직업, 교육수준이, 여자는 연령과 경제수준이 건강상태의 변화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일반적 특성이 ADL의 변화에 유의한 변수로 남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여자는 연령과 경제수준이었다. 건강생활습관으로는 남자에서 식이요인이, 여자에서는 식이요인과 사회 참여요인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였을 경우에는 남 여 모두 식이요인이 유의한 변수였다. IADL은 단순분석결과 남자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이, 여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건강상태의 변화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일반적 특성이 IADL의 변화에 유의한 변수로 남자는 연령이, 여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었다. 건강생활습관으로 여자만 식이요인과 스트레스해소요인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였을 경우에도 여자만 식이요인과 스트레스해소요인이 유의한 변수였다. 결론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기능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식이습관과 적극적인 사회참여활동 그리고 스트레스해소 등의 건강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의 보건관련기관과 주민의 참여를 통한 보건교육 및 생활습관의 개선 작업들에 보다 많은 지원과 인력개발 등의 다각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일 도시근교 농가구원의 보건지소 이용양상 (The Utilization Pattern of a Rural Health Subcenter among Suburban Farmhouse Members)

  • 손석준;권순석;김상용;변주남;남해성;손명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1호
    • /
    • pp.65-77
    • /
    • 1999
  • 보건지소에 대한 도시근교 농가구원의 인식도 및 이용률, 이용양상과 이에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여 향후 도시근교 보건지소 활성화 및 개선방안에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지역주민의 포괄적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및 이용의 적정 유지를 위한 기본자료로 삼고자 696명을 면접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난 1년간 보건지소를 이용한 지역주민은 전체대상의 25.0%이었으며 지역주민의 연간 평균 방문횟수는 0.22회였다. 2. 보건지소 이용자의 이용시 질병은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의 질환 30.6%, 호흡계질환 14.1%, 소화기계질환 13.9% 순이었다. 3. 보건지소 이용동기는 가까운 거리 49.6%, 경한 증상 18.9%, 낮은 치료비 18.1% 순이었으며 반면에 보건지소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전문의의 부재 20.2%, 치료의 미비 19.2%, 시설 및 장비의 14.7% 순이었다. 4. 보건지소 이용자의 이용시 불충분한 점으로는 치료내용의 제한 40.7%, 신뢰감 부족 22.5%, 교통불편 13.4% 순이었다. 5. 다변량 분석결과 보건지소 이용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교육수준이 유의한 변수였다. 6. 주민이 인지한 보건지소에서 향후 시행하여야 할 중점업무는 노인질환관리, 예방보건서비스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도시근교 보건지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향후 보건정책개발을 위한 기본자료로서 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 PDF

다문화 가정 시어머니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Stress of Mothers-in-Law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김계하;박경숙;선정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39-651
    • /
    • 200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str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omatization in mothers-in-law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 rural area. Methods: Elderly mothers-in-law (n=227) living with foreign daughters-in-law complete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August 2009. Questions related to stress (Visual Analog Scale, VAS), coping strategies (Coping Strategy Scale) for stress, and somatization (Symptom Check List 90, Revised). SPSS/WIN 12.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ubjects had a moderate level of stress (5.0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level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religion, chronic disease, health status, number of children, agreement of an international marriage of her sons, satisfaction in living with a foreign daughter-in-law, and family conflict.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ffensive coping strategy, passive strategy, and somatization. Stress, offensive coping strategy, and passive coping strategy affected the level of somatization. Conclusion: In a family situation involving co-habitation of mother- and foreign daughter-in-law, increased stress experienced by the mother-in-law can lead to increased offensive and passive coping strategies, and increased somatization. More effective means of stress reduction are needed for mothers-in-law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PDF

신체활동 현황과 국가수준의 정책 제안 (Current status of physical activity and policy proposals of the national level)

  • 양윤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7-54
    • /
    • 2016
  • Objectives: The prevalence of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y is relatively high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it is increasing. The national strategies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are essential and are suggested in this paper. Methods: National level of physical activity is compared globally by WHO statistic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howe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National strategies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were suggested referring to the other countries' strategies, public health books and Health Plan 2020. Results: Prevalence of insufficient aerobic exercise in 2010 were 33.4%, 94.8% in over and 18 years old, 11~17 years old, respectively. And it is increasing. Sufficient exercise to fit the national guidelines of physical activity were done by 15.6% of Korean older and 19 years old. Prevalence of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y was high in the elderly, female, adolescent, rural area and lower income. The national spread of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primary care physicians involvement, supports for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s,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protocol for the programs and environmental supports are suggested. Conclusions: The government induced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s needed urgently.

지역사회 노인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기억과 성공적 노화 (Psychosocial Stress, Memory, and Successful Aging of the Community-Residing Elderly)

  • 이혜경;이계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2호
    • /
    • pp.89-97
    • /
    • 2021
  •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는 나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고, 대상자의 성공적 노화는 기억과 정적관계가 있고,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부적관계가 있었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기억 간에 부적 관계가 있었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스트레스 개입 프로그램의 경험적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농촌지역 노인들의 사회경제적인 요인 및 건강습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 최정숙;권성옥;백희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29-41
    • /
    • 2004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403명을 대상으로 HRQO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의 핵심 4문항을 이용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및 건강습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2002년7월부터 2003년 7월에 걸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건강일수는 평균 15.0일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별로 남자 노인은 건강관련 삶의 질이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노인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강일수는 적고 활동제한 일수와 신체적 장애일수는 증가하였다. 비만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일수에 있어서 과체중군이 남녀 각각 13.5일, 13.9일로 가장 짧았다.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따라서 남녀노인 모두 교육수준이 높고 직업이 있으며. 혼자 사는 것보다는 가족들과 함께 살수록 건강일수는 유의하게 길었으며 활동제한 일수, 신체적 장애일수, 정신적 장애 일수는 짧아서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습관에서 남녀 모두 흡연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차이가 없었으나 음주에 대하여 남자노인은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이 여자노인은 음주를 하다가 끊은 사람이 활동제한 일수와 신체적인 장애일수가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이 적거나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거나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경우에 건강일수가 높고 활동제한 일수 신체적 장애일수, 정신적 장애 일수가 짧았다.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그룹이 50.2%로 절반에 해당하였다.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다고 응답한 그룹의 건강일수가 남녀 각각 21.8일 19.6일로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유의하게 더 길었으며. 그렇지 못한 그룹은 활동제한 일수와 신체적 장애 일수가 2배 이상, 정신적 장애일수는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농촌 지역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수준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 주관적으로 평가된 건강상태 등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및 지역사회 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들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건강관련 삶의 질이 취약한 집단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적인 삶의 질의 조사를 통하여 노인대상의 지역사회 프로그램들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