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ight Provinces of the Chosun Dynast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32초

′조선 8도′의 별칭과 지형의 관련성 (Relevancy between Aliases of Eight Provinces and Topographical Feat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 범선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86-700
    • /
    • 2003
  •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인 행정명칭 이외에 각 도 또는 일부지방의 별칭이 오늘날 뿐 만 아니라 지방행정제도로 도제가 확고하게 시행되었던 조선시대에도 널리 통용되었다. 별칭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은 조선의 8도(정확하게는 경기와 7도)를 대신하는 기호 관동 호서 해서 호남 영남 관서 관북과 강원도의 동부와 서부를 지칭하는 영동 영서이다. 이 별칭들의 유래는 거의 전부 지형을 비롯한 자연지리적 요소에 그 기준을 두고 있어, 도회지명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공식적인 행정도명과 비교된다. 별칭 중에는 13∼14세기의 문헌에 등장하는 것도 있으며, 15세기 후반부터는 8도의 별칭 모두가 널리 통용된 것 같다. 별칭이 길게는 700년이 넘게, 짧은 것도 500여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사용되면서 지리적으로는 공식적인 행정지명에 못지않은 역할을 해온 것이다. 오늘날 조선 8도와 일부 지방의 별칭은 그곳의 문화와 역사적 배경을 담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은연중에 지리적인 '지역구분'의 단위로 받아들여질 만큼 그 의미가 중요해졌다. 각 도의 별칭은 공식적인 행정도명과는 달리 그 유래나 의미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문헌자료를 통해서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이것에 대해 지리학계와 일반인들에게 흔히 소개되는 내용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내용 중에도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 우선 관북 관서 관동의 '관'과 영남 영동 영서의 '영'은 널리 알려진 것처럼 고갯길 한두 개만 지칭한다고 보기보다는 각각 접경지대(변경지대), 군사상의 요충지가 많은 지방과 소백산맥 태백산맥을 의미하는 면도 있다고 믿어진다. 그리고 호남 호서 기호의 '호'는 금강과 의림지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보이지만,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해서는 경기만의 서쪽이라는 의미와 함께 해주와 서하(풍천)의 머릿글자를 따라 정했을 가능성도 있는 것 같다.

조선전기(朝鮮前期) 농업지대(農業地帶)의 분석(分析) (I) (Agricultural-zone Analysis in the Early Chosun-Dynasty)

  • 이호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154-162
    • /
    • 1986
  • This paper is studied in order to examine eight provinces as Agricultural zone in the early Chosun-Dynast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depends on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earch data is obtained from geography of Sejong sillok. In this approach, we believe the possibility of more scientific analysis of agricultural zone. So all cross-sectional data of this period were analysed by mean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method. In the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eight provinces, 54.6% of the country were discriminated. In the territorial map, Kyongsang and Cholla were crossly adjoined and Chungcheong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m. While, Kyonggky and Hwanghae were adjoined in the center, and Pyongan and Hamgil were crossly adjoined, too. And Kangwon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m. Consequently their regional distribution varied widely and the agriculture of this period had considerable regional ga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