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o-Deple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The Effects of Self-Referencing and Counteractive Construal on Consumption Goal Reversion

  • Choi, Nak-Hwan;Liu, Cong;Mu, Peipei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7-15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an trigger the escalation of an initially pursued long-term utilitarian goal that is set aside to pursue a competing hedonic goa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experimental study covered three groups : Group 1 (ego-depletion, self-referencing), Group 2 (ego-depletion, neutral), and Group 3 (no ego-depletion, neutral).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comprised 150 undergraduates who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50 students for each.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Results - Ego-depleted consumers are less likely to resist immediate temptation than those who are not in an ego-depletion state. Self-referencing has a positive impact on long-term goal reversion when consumers in an ego-depletion state experience immediate temptations. Counteractive construal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referencing and long-term goal reversion. Conclusions - We found that consumers tend to yield to momentary temptations when they are in an ego-depletion state. Self-referencing and counteractive construal can eliminate the ego-depletion effect and then facilitates escalation of the set-aside long-term goal.

갈증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irst on Impulsive Purchasing: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Self-Control)

  • 이시내;민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143-150
    • /
    • 2021
  • 그 동안 수 많은 마케팅 분야 연구들은 충동구매로 대표되는 소비자의 충동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 주목해왔다. 이들은 문화적 차이와 성격적 특성, 개인의 물질주의 및 위험추구 성향 등 다양한 변수들에 대해 탐색했다. 본 연구는 그간 선행연구들이 거의 다룬 적이 없으나, 소비자의 특성으로서 소비 상황에서 받게 되는 소비자의 신체적 자극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저자들은 소비자가 인지적 자원의 고갈을 유발할 수 있는 감각적 자극으로서 갈증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두 번의 걸친 실험의 결과는, 소비자가 갈증을 느낄 경우 충동구매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을 보였고(실험 1), 이 같은 갈증과 충동구매 간 관계에 자기통제의 저하가 기저에 있음을 보였다(실험 2). 이는, 물리적 자극으로서의 갈증이 인지적인 자원의 고갈을 이끌고, 이것이 자기통제력의 약화로 이어져 충동구매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이를 통해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현상인 충동구매에 대한 완화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