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s-laying rat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전북지방 닭의 기생충 감염상황 (Prevalence of Parasite Infection of Fowls in Chonbuk Province)

  • 양홍지;윤여백;박태욱;김성훈;최은영;서창섭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2-89
    • /
    • 1993
  • In order to detection of the intestinal parasites, fecal samples were taken from broiler (n=262), laying hen(n=244), parent stock(n=207) and native stock(n=287) in Chonbuk province. The prevalence and identification of intestinal parasites were determined by the fecal examination using the floatation and /or sedimentation methods and microscopical examin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detection rate of parasite-eggs from 4 flocks(total=1,000) was 65.7%. 2. In the breed and type of breeding, infection rate of parasite-eggs was detected 84.0% as native stock (floor breeding, 241 chicken), 79.7% as parent stock (floor breeding, 165 chickens), 73.3% as broiler(floor breeding, 192 chicken) and 24.2% as laying hen(cage breeding, 59 chicken), in order. 3. In the concern of mixed infection such as single, double and triple, the rate was 55.1%, 8.7% and 1.9%, respectively. 4. Ten kinds of infective eggs were isolated from 657 fecal sample of 4 flock. They were classified 51.l% as Eimeria spp., 12.7% as Ascaridia galli, 5.1% as Capillaria spp., 4.1% as Strongyloides avium, 2.3% as Heterakis gallinarum, 0.5% as Hymenolepis spp., 0.3% as Railleina spp. and 0.2% as Syngamus spp., Trichostrongilus spp., or Choanoteania spp., single or in combination.

  • PDF

Influences of Long-Term Feeding of Japanese Green Tea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Hens

  • Biswas, Md. A.H.;Miyazaki, Y.;Nomura, K.;Wakit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7호
    • /
    • pp.980-985
    • /
    • 2000
  • Influences of Japanese green tea powder (GTP) supplementation to commercial diet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were studied by using 60 laying hens. The experimental diet with or without 0.6% GTP was given ad libitum to the birds during the period from 6 to 71 weeks of age. The birds started egg production from 21 wk of age regardless GTP feeding. Body weight, feed intake, egg weight tended to decrease with GTP supplementation, while egg production rate tended to increase. Haugh unit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GTP, which accompanied with the increased albumen height. These were observed almost throughout the laying period over 50 wk. Gel proportion in thick albumen was decreased as storage time is prolonged, then higher values of the gel proportion were recorded in the eggs from GTP group. Thick albumen of the eggs from GTP-fed layers had more carbohydrate than that from control layers. All these indicate physical stability of thick albumen in the eggs from GTP group. Thiobarbituric acid content of egg yolk tended to remain lower in the eggs from GTP group during 5-10 days of storage at room temperature. Levels of egg yolk cholesterol and yolk lipid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GTP feed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shell weight, shell thickness and shell strength between the two groups. Thyroid gland and liver from hens slaughtered at 71 wk of age did not differ in weight irrespective of GTP feeding.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GTP could modify components of edible part of egg, leading to the characteristics favourable to consumers such as high durability of thick albumen and less cholesterol in yolk, without altering general performance of the layers throughout this year round experiment.

Streptococcus mutans 균의 면역과 사료첨가제가 충치 예방용 계란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Supplements on the Production of Anti-Dental Caries Hen's Eggs by Immuniz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 노정해;한찬규;김영붕;이남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3-339
    • /
    • 2005
  • 난황 항체 강화를 위하여 켈프밀 $4\%$ 처리구와 계피 $0.3\%$와 박하 $2\%$가 첨가된 특수사료를 급여하고 Streptococcus mutans를 2주 간격의 5회 면역처리를 복합적으로 실시하면서 40주령 산란계를 사양하였다. 면역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군에서는 박하 첨가군의 산란율이 높았다. 면역한 후에 발생되는 산란율 저하는 대조구와 계피 첨가군에서 적게 나타났다. 계란의 무게는 면역처리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료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면역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구에서 계피, 박하, 켈프밀 모두 총 IgY 함량이 대조구보다 높게 나왔으며, 특히 켈프밀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5.4\%$ 가량 상승하였다. 면역 한 처리구끼리 각각 비교하여 보면 대조구에 비해서 다른 처리구에서 모두 높았으며, 특히 켈프밀 처리구가 월등히 높아 대조구에 비해 $7.9\%$ 정도의 상승이 있었다. S. mutans로 면역처리된 닭으로부터 얻은 계란에서의 충치균에 대한 특이(specific) 총 IgY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항충치균 IgY는 1차 면역하고 4주정도 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마지막 immunization후 5주 이상 경과하더라도 specific IgY의 양이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총 실험기간 동안의 specific IgY 함량의 평균을 보면 켈프밀 처리구는 다른 식이에서 보다 훨씬 높은 specific IgY 역가 보여주었고 대조구에 비해 특이 항체가 약 $8.5\%$ 가량 증가되어 켈프밀의 첨가는 면역처리를 통한 특수 IgY 생산에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산란계 주령과 계란 난각 형태이상 정도가 내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e of Laying Hens and Grade of Egg Shell Abnormality on Internal Egg Quality)

  • 김희수;김선만;노재중;이재익;이현정;조철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43-49
    • /
    • 2012
  • 본 연구는 산란계의 주령 및 난각의 형태이상 및 이상 정도가 내부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동일 주령의 산란계 2계군에서 56주령부터 62주령 사이에 산란한 계란 21,000개 중 각 주별 1,000개를 무작위 추출하여 축산물품질평가사가 정상란과 형태 이상란을 구분하였다. 각각의 출현율과 할란검사를 실시하여 내부품질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정상란은 81.22%, 이상란은 18.78%의 출현율을 보였다. 주령의 증가에 따른 이상란의 출현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Haugh unit은 60주령이 56주령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는 차이가 없었다. 동일 주령대를 비교했을 경우 난백고와 Haugh unit은 형태 이상란이 낮고 또한 이상의 정도가 심한 경우 더 낮게 측정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특히 이상란 중 기형란의 난고와 Haugh unit이 현저하게 낮은 결과를 보여 이상란 중에서도 기형란이 내부 품질이 가장 낮게 판명되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56~62주령 산란계로부터 생산된 계란의 외형적 이상은 내부품질의 저하와 밀접하게 상관한다고 볼 수 있으며, 현 계란 등급판정 체계에서 외관판정은 신선도 평가에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농가의 사육 및 유통 현황 조사 (A Survey on Egg Laying Performance and Distribution Status of Animal Welfare Certified Farms for Laying Hens)

  • 홍의철;강환구;박기태;전진주;김현수;김찬호;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5-63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농가의 세 가지 사육시스템(무창, 개방, 평사+방사)의 현황을 조사하여, 현재 산란계 동물복지에 대한 실태 파악을 위해 수행되었다. 방문조사는 25곳의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농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유통현황 조사는 10곳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농가의 주된 품종은 하이라인 브라운 품종이었다. 개방계사의 경우, 자연농법과 판넬 사육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판넬 계사의 비율이 58.3%로 자연농법 계사에 비해 증가된 추세였다. 모든 무창 계사는 판넬로 제작되었으며, 15,000수 이상 키우고 있었다. 방사계사의 경우, 12,000수 미만의 적은 수의 규모로 사육하고 있었다. 사육밀도는 조사 농가의 56%가 7~8수/$m^2$로 사육하고 있었다. 암수 비율을 보면, 대부분의 농가에서 보통 15:1이나 17:1이나 20:1로 바꾸는 농가도 나타났다. 1일 사료급여량은 110~170 g이며, 150 g이상 급여 농가가 조사 농가 중 32%로서 사료 허실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생산성은 시산일령이 개방 123일, 무창 122일, 방사 120일이었으며, 사육시스템별 산란피크는 개방 91.8%, 무창 94.9%, 방사 86.5%이었다. 평균산란율은 개방 74.0%, 무창 84.6%, 방사 72.7%로 무창계사의 산란율이 가장 높은 편이었으며, 산란지수는 개방 271개, 무창 281개, 방사 239개로서 사료섭취량과 산란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인증 계란의 유통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나 계약 생산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유통 비율은 복지인증 계란이 일반 계란에 비하여 대형마트나 친환경전문판매점과 직거래 비율이 높았다. 평사란과 방사란 모두 계약 판매의 비율이 높았으며, 택배 판매농가의 비율도 높았다. 평사란은 택배를 제외하고 2017년 하반기(AI 이후)에 30원 이상 가격이 상승하였다. 방사란은 택배를 제외하고 2017년 하반기에 50원 이상 가격이 상승하였다. 택배의 경우 AI 전후 동일하게 500원을 유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실정에 맞는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한국토종닭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병아리의 강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ed, Laying Age, and Egg Storage Period on the Vitality of Hatched Chicks in Korean Native Chickens)

  • 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2
    • /
    • 2021
  • 본 연구는 종계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발생 병아리의 강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시험은 황갈색 재래종, 토착 로드아일랜드종 및 토착 레그혼종을 이용하여 산란 초기(27~29주)와 산란 후기(50~52주) 때 생산한 종란을 각각 3일, 7일 및 14일 보관 후 부화하여 발생한 병아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부화 시간, 발생 후 병아리의 생산능력 및 장기 무게를 조사하였고, 병아리의 생리적 활성도 파악을 위하여 IL-6 유전자 발현율 및 텔로미어의 상대적 길이를 분석하였으며,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알기 위하여 HSP 유전자 발현율 및 H/L ratio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계의 품종과 산란 시 연령이 발생 병아리의 강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란의 보관 기간은 병아리의 강건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된 토종닭 품종 중 토착 레그혼종 병아리가 가장 강건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존율이 저조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심장을 가지며, 모든 생리활성지표가 낮고 스트레스 반응 지표들이 높았기 때문이다. 비록 산란 초기에 생산한 병아리들이 산란 후기에 생산한 병아리에 비해 생존율은 낮았지만, 생존 개체들의 생리활성지표가 높고, 스트레스 반응 지표들이 낮아 산란 후기 때 생산한 병아리에 비해 강건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강건성이 높은 병아리를 얻기 위해서는 강건성이 강한 품종을 선정하여야 하고, 산란 후기에 생산한 병아리의 이용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argassum meal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eghorn layers

  • Fan, Geng-Jen;Shih, Bor-Ling;Lin, Hui-Chiu;Lee, Tzu Tai;Lee, Churng-Faung;Lin, Yih-Fwu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3_spc호
    • /
    • pp.449-456
    • /
    • 2021
  • Objective: Seaweeds could be an alternative and functional feed resourc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argassum meal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ers. Methods: Two hundred 36-wk-old layers were divided into five treatment groups. Each treatment had four replicates with 10 hens per experimental unit. The corn-soybean meal basal diet was formulated as control group. Sargassum meals were included 0%, 1%, 2%, 3%, or 5% to diets for five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Treatment groups were isocaloric-isonitrogenous diets.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were measured for eight weeks. Results: Sargassum meal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daily feed intake. Supplementation 1% to 3% of Sargassum meal in diets increased daily laying rate and egg mass compared with those from control group (p<0.05). Egg qualities among five groups were all similar. Supplementation of 3% Sargassum meal increased the lightness of egg yolk (p<0.05). Eggs produced from layers fed 1% and 2% Sargassum meal had a higher consumer's accept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p<0.05). In blood characteristics, contents of glucose, nitrogen, triiodothyronine (T3) and thyroxine (T4)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supplementation ratio of Sargassum meal (p<0.05). In serum antibody titers, supplementation of 2% Sargassum meal stimulated a higher immunoglobulin M (IgM) level than that from control group (p<0.05). However, IgM content of layers fed diets with Sargassum meal ≥3% were decreased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IgA and IgG titers among groups.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1% to 3% Sargassum meal has shown to increase egg laying rate and egg mass of Leghorn layers. However, high supplementation (5%) would negatively affect laying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consumer responses, and blood antibody, supplementation of Sargassum meal was suggested 2% in the diet for layers.

Estimating total lysine requirement for optimised egg production of broiler breeder hens during the early-laying period

  • Kim, Eunjoo;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Shin, Taeg Kyun;Cho, Hyun Min;Kim, Hyeun Bum;Heo, Jung M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4호
    • /
    • pp.521-532
    • /
    • 2020
  • The production performance of broiler breeder hens in response to different levels of total lysine during the early laying period was investigated. A total of 126 Ross 308 parent stock hens were offered one of seven dietary treatments formulating elevated contents of total lysine ranging from 0.55% to 0.79% (0.04 scale; 133 g of feed) from 23 to 29 weeks of age. Each treatment had six replicates with three birds per pen. Body weight was recorded triweekly and eggs were collected and weighted at 9:00 am daily. One hen from each pen was euthanized to collect blood samples and visceral organs were harvested and weighed.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egg mass were lower (p < 0.05) in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55% total lysine compared to those fed the diet containing higher total lysine.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71%, 0.75%, and 0.79% total lysine had greater (p = 0.008) egg production rate compared to those offered a diet containing lysine less than 0.71%. The number of total eggs produced tended to be greater (p = 0.083) in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71 and 0.75% total lysine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The number of settable egg production was higher (p < 0.001) in hens offered a diet contacting 0.79% total lysine compared to those fed the diet containing lower levels of total lysine. The relative weights of oviduct and ovary were lower (p < 0.05) in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59% total lysine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No difference found in body weight, the number of total eggs, double-yolk eggs and abnormal shell eggs among the treatments. The urea nitrogen, estradiol-17 beta and progesterone in plasma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s. Based on linear- and quadratic-plateau models, total lysine requirements for egg production, settable egg production and egg mass at the early laying period were to be 0.73%, 0.77%, and 0.71%, respectively. Modern broiler breeder hens likely require higher total lysine than NRC recommendation in a diet for enhancing productivity during the early-laying period.

양질의 계란 생산전략 II. 계란내용물의 질, 콜레스테롤 함량, 난황색, 난중조절, 유기란 (A Strategy for Quality Poultry Egg Production II. Egg Interior Quality; Cholesterol Content, Egg Yolk Pigmentation, Controlling Egg weight and Organic Eggs)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3-153
    • /
    • 2000
  • The egg's interior qua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commercial producers and consumers. Internal quality is complex, including aesthetic factors such as taste, freshness, nutritional and processing values, and the genetic influences upon these upon these factors ranges from none to considerable. The rate of cholesterol synthesis in the hen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animals and humans. Genetic selection, diet drugs and other chemicals can alter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plasma of laying hen, but attempts to manipulate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egg yolk are generally unsuccessful since the cholesterol can only be changed to a small extent.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degree of pigmentation of the yolk include the type of xanthophyll and its concentration in the feed, the feed composition, and the health of the hen. Several feed ingredients interact with carotenoid pigment to improve or reduce their deposition rates in yolks. Egg weight is determined by genetics, body size prior to first egg housing density, environmental temperature, lighting program, total feed consumption, calcium, phosphorus, niacin, water, methionine, total sulfur amino acids, energy, linoleic acid, fat and protein levels. Eggs need to be promote levels. Eggs need to be promoted a versatile commodity and new processed egg items need to be developed. Organic eggs are laid by hens which were raised in chemical and drug frdd environments.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producing these eggs due to the availability of organic poultry feeds and cost of organic grains.

  • PDF

연안환경 수은 모니터링용 괭이갈매기 알의 산란순서별 농도 차이 (Mercury Concentrations of Black-tailed Gull Eggs Depending on the Egg-Laying Order for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 이장호;이종천;장희연;박종혁;최정희;이수용;심규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538-55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연안환경 오염물질 중 수은의 생물축적 모니터링 지표종인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알의 산란순서 간 수은 농도차이를 서해 백령도 번식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평균${\pm}$표준오차, $234.4{\pm}11.2ng/g\;wet$) 산란한 알의 총수은 농도는 두 번째($182.8{\pm}9.1ng/g\;wet$) 산란한 알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각 n=18, t=8.4, p<0.01). 또한 생체특성치에서도 장경, 단경, 중량 모두 첫 번째 알(길이: $63.10{\pm}0.49mm$, 단경: $44.51{\pm}0.19mm$, 중량 $65.53{\pm}0.87g$) 이 두 번째 알(장경: $62.37{\pm}0.40mm$, 단경: $43.55{\pm}0.17mm$, $62.48{\pm}0.72g$)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각 n=18, 장경 t=2.4, p<0.05; 단경 t=4.3, p<0.01; 중량 t=4.2, p<0.01). 이러한 차이는 알 생성기에 암컷이 섭취하는 먹이량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수컷이 암컷에게 먹이를 공급하다가 첫 번째 알을 낳으면 급이 빈도와 양을 줄이는 구애급이 행동패턴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암컷의 섭취량 감소는 메틸수은이 주로 존재하는 알 속 흰자(albumen)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수은의 경우, 산란순서에 따라 축적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에 지역 간 그리고 시기별 비교 모니터링을 수행할 때는 목적과 조사여건(번식경과를 고려한 채취 시기, 입도(入島) 체류가능기간 등) 등을 고려하여 둥지 내 알 선택방법(첫 번째 알만 선택 또는 두 번째 알만 선택 또는 랜덤선택 등)을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