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number

검색결과 651건 처리시간 0.023초

난용종계 집단에서의 선발에 의한 유전모수 변화 양상 (Time Trends in Estimates of Genetic Parameters in a Population of Layer Breeders)

  • 최연호;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5-268
    • /
    • 1990
  • 본 연구는 상업용 난용종계에서 선발에 의한 유전력과 유전상관계수등의 유전모수가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백색레그혼종 1계통(Line-W)과 갈색난용종 1계통(Line-B)에 대한 1980년부터 1985년까지의 6년간 5세대 동안의 선발결과에 대한 것으로 표현형 능력 변화와 근친교배의 영향력 분석 및 유전력과 유전상관계수의 추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계통의 표현형 능력 변화는 주 선발형질인 300일령 산란수와 400일령 산란수에서, Line-W의 경우는 4세대와 5세대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Line-B에서는 희귀분석에 의해 각각 2.87개와 4.25개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산일령은 두 계통에서 각각 세대당 1.61일과 4.44일씩 단축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Line-B에서 얻어진 수치는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Line-W에서 나타난 산란수의 감소추세가 유전적개량의 한계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는 대조구 집단에 의한 자료가 없는 한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2. 폐쇄집단에서 이루어진 선발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근친교배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매세대 유효양친수에 의한 근교계수 상승도를 추정한 결과 각각 0.2%와 0.3%로 나타났고, 가계형성원을 조사하여 계산된 세대별 근교계수는 각각 0.8%이하로 나타나서 근친교배로 인한 능력의 저하현상이나 유전모수 추정의 오차는 무시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 두 계통의 주요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대부분의 형질에서 모 분산에 의한 추정치가 부 분산이나 희귀분석에 의한 추정치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 이들 형질에 미치는 모체효과를 포함한 비상가적 유전변이의 존재를 암시해 주었다. 300일령 산란수와 산란율 등의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두 계통에서 세대 경과에 따라 감소되는 추세를 보였으나, 30주령 및 40주령시에 난중에 대한 유전력 추정치는 세대 경과에 따라 뚜렷한 감소 추세를 보이지 못했다. 또한, 주요 형질 사이의 유전상관계수도 세대 경과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여러 형질이 동시에 선발되었고 또 각 형질에 대한 선발비중이 세대별로 일정하지 못했던데서 오는 형질간 유전자 작용의 복합성에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간자와응애(Tetranychus kanzawaia)의 생태 및 천적에 관한 연구 (Ecology of Tetranychus kanzawai and its Natural Enemies at Tea Tree Plantation)

  • 이승찬;김도익;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9-255
    • /
    • 1995
  • 차나무의 주요해중인 간자와응애에 대한 생활사, 발생소장 및 천적종류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자와응애는 야외 사육장 조건에서 11~12세대를 경과하였으며, 난에서 우화까지의 기간은 여름에는 평균 8.7~13.1일, 봄.가을에는 12.6~24.9일 이었고, 평균 성충수명은 여름에 15.5~21.9일, 봄.가을에 25.1~31.6일, 평균산란수는 여름에 45.1개, 봄.가을에 526.개로 봄.가을에 성충수명이 길고, 산란수도 약간 많았다. 간자와응애의 연중 발생밀도 변동은 4~6월에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7~8월에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다 10월에 다시 높아졌다. 간자와응애는 3월에 하위엽, 4~6월에는 상위엽, 월동기에는 하위엽을 가해하였다. 간자와응애의 월동은 성충 비율이 높았으며, 각 태가 혼재하여 월동하였다. 간자와응애의 포식성응애로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longisplnosus (Evans)), 긴꼬리이리응애(Amblyseius eharai Amitei et Swirski), 왕게응애(Anystis baccarun (L)) 및 Agistemus fleschnen Summers 등 4종중 A. longispinosus (Evans)가 우점종이었다. 그 외에 Scolothrips sp., 애꽃노린재(Orius sauteri Poppius), 께알반날개(Oligota yasumatsui Kistner)등 3종이 분류 동정되어 총 7종의 천적이 조사되었다.

  • PDF

콩은무늬밤나방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Three Spotted Plusia (Chrysoideixis agnata S.) in the laboratory)

  • 황창연;엄기백;최궤문;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89
    • /
    • 1980
  • 1976년 본해충을 실내사육하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 마리당 산란수는 $1202.0{\pm}150.6$개 산란전기간 $9.0{\pm}0.8$일 산란기간 $13.3{\pm}1.2$일 산란후기간은 $1.7{\pm}0.2$일이었고 산란시기는 일몰후였다. 2. 유충은 5령형과 6령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5령형의 유충기간은 $15.36{\pm}1.59$일 용기간 $7.82{\pm}1.01$일 6령형의 유충기간은 $16.92{\pm}1.08$일 용기간 $8.23{\pm}1.09$일 이였으며 난기간은 2일 자성충 수명은 $21.29{\pm}3.15$일 웅성충은 $19.14{\pm}2.47$일이였다. 3. 령기별 두건은 5령형 $2.77\~21.89mm$ 5령형이 $2.78\~22.38mm$였다. 4. 두건을 logarithum으로 변형했을 때 령기에 따른 두건의 증가는 5령형이 $log \;y=0.228\chi+0.228(r=0.997)$, 6령형이 $log \;y=0.182\chi+0.259(r=0.999)$로 표현되어 고도의 정상관 관계였다.

  • PDF

유제품과 육제품에서 황색포도상구균 신속검출을 위한 PCR법의 비교검증 (Evaluation of a PCR Assay for the Rapid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Milk and Meat Products)

  • 김홍석;천정환;김동현;송광영;서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91-79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제품 및 육제품에서 Staphylococcus aureus를 검출하기 위한 PCR과 배지배양법을 비교검증 하였다. 우유, 분유, 소시지, 소고기 분쇄육에 S. aureus를 인위적으로 접종시킨 후, 축산물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에 따라 10% NaCl이 첨가된 tryptic soy broth(TSB)에서 증균배양 하였으며, Baird Parker agar에 선택배양 하였다. PCR은 TSB에서 1 mL를 채취한 후 DNA를 추출하여 시행하였으며, S. aureus의 23s rRNA를 표적으로 하는 primer를 사용하였다. 의심집락에 대해 coagulase test와 colony PCR을 통한 확인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우유와 분유에서는 배지배양법과 PCR간에 통계학적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았다. 소시지와 소고기 분쇄육의 경우에는 PCR이 배지법에 비해 더 많은 양성을 검출하여 높은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유제품 및 육제품에서 PCR을 통한 S. aureus의 검출은 기존 배지배지배양법에 비해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가숭어 (Liza haemotocheila)가 감염원으로 추정되는 광절열두조충 집단감염 (Five human cases of Diphyllobothrium latum infection through eating raw flesh of redlip mullet, Liza haenatocheila)

  • 정평림;최운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4호
    • /
    • pp.283-290
    • /
    • 1997
  • 경기도 부천시에 거주하는 5명의 주민이 1996년 2월경에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가숭어 (Liza haematocheila)글 구입하여 함께 회로 먹고 편절배출을 주소로 1997년 2월에 인하대학교 의괴대학 기생충학효실을 찾아왔다. 이들은 모두 조충의 편절이 자연배출된 경험이 있었다고 하였으려 복통 소화녈량 두통 어지러움증 및 복부 불쾌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였으나 혈액검사 소견을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공복 상태인 환자들에게 praziquantel 15 mg/kg를 단회 투여하고 악 30분 후에 하제 (magnesium sulfate. 30 g)를 투여한 후 충체 수집을 시도하였던 바. 3명으로부터 각각 투절이 포함긴 310 cm와 340 cm 길이의 충체와 두절이 없는 약 100 cm 길이 의 충체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충란 및 충체들의 형태학적 소견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광절열두조 충 (Diphyllobothrium Inturn)으로 동정되었고. 환자들의 과거력과 증례발생의 시점 등의 종합적 인 성황을 미루어 보아 가숭어가 감염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유자와 탱자의 속간교잡후 배주배양에 의한 식물체 유기 (Plant Regeneration via in Vitro Culture of Ovule Obtain by Intergeneric Crossing Between Citrus junos Sieb. et Tanaka and Poncirus trifoliata Raf.)

  • 이만상;남궁승박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17-322
    • /
    • 1995
  • 속간교잡에 의한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유자와 탱자를 정역교잡한 후 배주배양하였고, 자웅배우체 형성 및 수정현상을 조사하였다. 속간교잡의 결과율은 유자$\times$탱자가 16.6%, 탱자$\times$유자는 11.7%이었다. 수분후 6주된 배주를 MT 기본배지에 Zeatin 0.5 mg/L에 NAA 1 또는 3.0 mg/L에 배양했을 때 callus형성율이 높았지만, 14~15주된 배주를 2,4-D 0.1 mg/L 또는 0.5 mg/L이 첨가된 배지에 배양했을 때는 식물체 유기가 잘 되었다. 20주된 배주배양시 발아율은 유자 $\times$ 탱자의 경우 54.5%, 행자 $\times$ 유자는 48.6%이었다. F$_1$식물의 삼엽형 출현율은 유자$\times$탱자는 56.7%, 탱자$\times$유자는 100%이었다. 유자와 행자의 염색체수는 모두 n=9 (2n=18)이었고 화분립의 크기는 각각 33.75 $\mu$, 25.0 $\mu$이었다. 유자와 탱자 배낭의 길이와 폭은 69.38~79.23 $\mu$, 27.50~38.56 $\mu$, 난세포의 길이와 폭은 17.50~41.50 $\mu$, 6.25~8.12 $\mu$이었다. 수분 후 72시간이면 수정이 끝났다.

  • PDF

Free Range Hens Use the Range More When the Outdoor Environment Is Enriched

  • Nagle, T.A.D.;Glatz, P.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584-591
    • /
    • 2012
  • To evaluate the role of using forage, shade and shelterbelts in attracting birds into the range, three trials were undertaken with free range layers both on a research facility and on commercial farms. Each of the trials on the free range research facility in South Australia used a total of 120 laying hens (Hyline Brown). Birds were housed in an eco-shelter which had 6 internal pens of equal size with a free range area adjoining the shelter. The on-farm trials were undertaken on commercial free range layer farms in the Darling Downs in Southeast Queensland with bird numbers on farms ranging from 2,000-6,800 hens. The first research trial examined the role of shaded areas in the range; the second trial examined the role of forage and the third trial examined the influence of shelterbelts in the range. These treatments were compared to a free range area with no enrichment. Aggressive feather pecking was only observed on a few occasions in all of the trials due to the low bird numbers housed. Enriching the free range environment attracted more birds into the range. Shaded areas were used by 18% of the hens with a tendency (p = 0.07) for more hens to be in the paddock. When forage was provided in paddocks more control birds (55%) were observed in the range in morning than in the afternoon (30%) while for the forage treatments 45% of the birds were in the range both during the morning and afternoon. When shelterbelts were provided there was a significantly (p<0.05) higher % of birds in the range (43% vs. 24%) and greater numbers of birds were observed in areas further away from the poultry house. The results from the on-farm trials mirrored the research trials. Overall 3 times more hens used the shaded areas than the non shaded areas, with slightly more using the shade in the morning than in the afternoon. As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increased the number of birds using the outdoor shade also increased. Overall 17 times more hens used the shelterbelt areas than the control areas, with slightly more using the shelterbelts in the afternoon than in the morning. Approximately 17 times more birds used the forage areas compared to the control area in the corresponding range. There were 8 times more birds using a hay bale enriched area compared to the area with no hay bales. The use of forage sources (including hay bales) were the most successful method on-farm to attract birds into the range followed by shelterbelts and artificial shade. Free range egg farmers are encouraged to provide pasture, shaded areas and shelterbelts to attract birds into the free range.

Seminal Attributes and Semen Cryo-banking of Nepalese Indigenous Achhami (Bos indicus) Bull under Ex-situ Conservation

  • Jha, Pankaj Kumar;Sapkota, Saroj;Gorkhali, Neena Amatya;Pokharel, Bhoj Raj;Jha, Ajeet Kumar;Bhandari, Shishir;Shrestha, Bhola Shankar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2-279
    • /
    • 2019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eminal attributes and cryobanking of Achhami (Bos indicus) bull semen. Of two Achhami bulls, 8 ejaculates from each bull were evaluated for seminal attributes. For semen freezing and cryo-banking, 4 ejaculates (having ≥2 mL semen volume, ≥75% of sperm motility and ≥1,000 × 106 cells/mL of sperm concentration) from each bull were used. Semen samples were diluted in egg-yolk-tris-citrate extender using a two-step dilution protocol, and were frozen in liquid nitrogen (LN2) vapour in a styrofoam box. The mean semen volume, colour, sperm mass activity, motility, viability, concentration, abnormal acrosome, midpiece and tail and, abnormal head of two Achhami bulls were 4.4 ± 0.5 mL vs. 2.5 ± 0.2 mL, 2.5 ± 0.1 vs. 2.4 ± 0.1, 3.5 ± 0.1 vs. 3.5 ± 0.1, 77.0 ± 1.1% vs. 78.3 ± 1.3%, 94.4 ± 0.5% vs. 91.0 ± 0.6%, 1137.7 ± 73.7 × 106 cells/mL vs. 1060.0 ± 44.3 × 106 cells/mL, 10.2 ± 0.5% vs. 10.3 ± 0.5% and 6.7 ± 0.5% vs. 8.2 ± 0.3%, respectively. The post-thawed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were 53.0 ± 2.0% vs. 50.0 ± 0.0% and 80.2 ± 0.4% vs. 73.2 ± 0.7%, while evaluating by computer-assisted sperm analysis (CASA) system, the percentage of the progressive motility, fast motility, slow motility, local motility and immotile sperm were 75%, 68%, 7.4%, 16.6% and 8.6%, respectively. A total number of 620 doses semen straw were cryo-banked. Due to the acceptable post-thawed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recorded, cryopreservation of Achhami semen is hereby recommended so as to preserve the Achhami breed. For further validation, the fertility will be observed from the produced frozen semen.

전문가 포커스 그룹을 활용한 한식 데이터베이스 작성과 한식 섭취 수준에 따른 식품군 섭취 균형도 평가 (Development of Han-sik Database Utilizing an Expert Focus Group and Assessment of Han-sik Effects on Diet Quality)

  • 강민지;정현주;정효지;심재은;이상은;박영희;백희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1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n-sik database as well as to assess the effects of Han-sik on dietary quality among Koreans. The Han-sik database was developed by a focus group composed of food and nutrition specialists considering the results of Han-sik perception surveys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for frequently consumed dishes. Among the 1,322 dish items identified in the $4^{th}$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973 items (73.6%) were classified as Han-sik. Han-sik usage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Han-sik items of all individually consumed dish items in the dietary data of 22,113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a 24-hour diet recall in the $4^{th}$ (2007-2009) KNHANES. Dietary quality was evaluated based on adherence to the Korean Food Guidance System (KFGS), which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servings consumed in each food group out of recommended servings according to age and sex. Mean usage of Han-sik was 80.1% and was higher in older age groups, rural areas, as well as in households at the lowest income level. Han-sik usage was also higher on weekdays as well as for breakfast. Adherence to the KFG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grains, meat fish egg beans, vegetables, and fruits (p<0.001) but lower for milk dairy products and oils fats sugars (p<0.001) across the quartiles of Han-sik us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an-sik usage is high among Korea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pdate the Han-sik database as well as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related factors and Han-sik use.

Comparison of TEMPO BC and MYP Plate Methods for the Enumeration of Bacillus cereus in Various Foods

  • Lee, Da Yeon;Kim, Hee Yeon;Cho, Yong S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49-253
    • /
    • 2017
  • 본 연구는 자동화 MPN 분석 장비인 TEMPO (TEMPO BC)와 MYP 배지법을 이용한 바실러스 정량 시험 결과에 대한 상관관계와 유의성을 연구하였다. 자연적으로 오염되어 있는 B. cereus 다빈도 검출 식품을 선별하여(N = 384) 두 시험법으로 정량 시험한 결과값의 차가 1 log CFU/g 미만이 95.3%였으며, B. cereus가 검출된 시료에서는 92.5%였다. 통계학적으로 TEMPO BC 시험법과 MYP 배지법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 < 0.05). 국내 정량 규격이 있는 식품에 인위적으로 B. cereus를 접종하고 두 시험법을 비교하였다. $R^2$값은 소스류(0.98), 조림식품류(0.98), 젓갈류(0.96)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생식류(0.94), 청국장류(0.86), 된장류(0.71)는 시험법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콩, 메밀 등의 곡류 제품은 TEMPO BC 결과값의 오류가 날 수 있는 재료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선식류와 청국장류, 된장류는 자동화 시험법인 TEMPO BC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험법을 추가적으로 검증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자연적으로 오염되어 있는 식품 시료와 인위적으로 접종한 시료에 대한 선형 방정식은 $log(TEMPO\;BC)=0.8453{\times}log$ (MYP배지) + 0.1642이며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최근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여 식품공전 및 국제 기준에 정량기준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TEMPO BC의 수요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비하여 식품의 안전성 평가에 사용되는 기존의 실험법과의 비교 및 타당성 연구 기초 자료로 쓰일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