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gg Productivity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초

팽이버섯 배지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eding Flammuling veluipes Media on Productivity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나재천;장병귀;김상호;김지혁;김성권;강희설;이덕수;이상진;정종천;이진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3-147
    • /
    • 2005
  • 팽이버섯 배지 부산물(F. velutipes media by-product)의 사료 자원화를 위하여 산란계 사료에 0, 5 및 $10\%$를 12주간 하이라인 갈색산란계 360수에게 급여하였다. 전 시험 기간 동안의 산란율, 난중, 산란량, 사료요구율 및 생존율은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서 120.5g 으로 T2의 123.9g보다 유의적으로 적었다(p<0.05). 난각강도, 난각두께 및 호우유니트도 시험 전 기간 동안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난황색은 대조구, T1, T2에서 각각 7.92, 7.29 및 6.83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T2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팽이버섯배지부산물을 산란계 사료원료로서 $5\%$를 급여하여 대조구와 비교시 생산성 및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으므로 사료자원으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10\%$를 급여시에 난황색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므로 착색제의 첨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Novel Polymorphisms of Adrenergic, Alpha-1B-, Receptor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 Beta Genes and Their Association with Egg Production Traits in Local Chinese Dagu Hens

  • Mu, F.;Jing, Y.;Qin, N.;Zhu, H.Y.;Liu, D.H.;Yuan, S.G.;Xu, R.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256-1264
    • /
    • 2016
  • Adrenergic, alpha-1B-, receptor (ADRA1B)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 beta (PPARGC1B) genes are involved in regulation of hen ovarian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se two genes were investigated as possible molecular markers associated with hen-housed egg production, egg weight (EW) and body weight in Chinese Dagu hens.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SSCP) technique, followed by sequencing analysis. Two nove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identified within the candidate genes. Among them, an A/G transition at base position 1915 in exon 2 of ADRA1B gene and a T/C mutation at base position 6146 in the 3'- untranslated region (UTR) of PPARGC1B gene were found to be polymorphic and named SNP A1915G and T6146C, respectively. The SNP A1915G (ADRA1B) leads to a non-synonymous substitution (aspartic acid 489-to-glycine). The 360 birds from the Dagu population were divided into genotypes AA and AG, allele A was found to be present at a higher frequency. Furthermore, the AG genotype correl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hen-housed egg production (HHEP) at 30, 43, 57, and 66 wks of age and with a higher EW at 30 and 43 wks (p<0.05). For the SNP T6146C (PPARGC1B), the hens were typed into TT and TC genotypes, with the T allele shown to be dominant. The TC genotype was also markedly correlated with higher HHEP at 57 and 66 wks of age and EW at 30 and 43 wks (p<0.05). Moreover, four haplotypes were reconstructed based on these two SNPs, with the AGTC haplotyp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highest HHEP at 30 to 66 wks of age and with higher EW at 30 and 43 wks (p<0.05). Collectively, the two SNPs identified in this study might be used as potential genetic molecular markers favorable in the improvement of egg productivity in chicken breeding.

Impact of Mating Duration on the Fecundity of the Newly Evolved Races

  • Mathur Vinod B.;Sarkar Kuna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2권2호
    • /
    • pp.81-86
    • /
    • 2006
  • Of all factors that govern productivity in sericulture, the role of silkworm egg is of prime importance. The production of silkworm seed involves a long chain of interdependent and highly specialized conditions. Female moths of Bombyx mori L. commence egg deposition immediately when the moths were decoupled. More than 60% of eggs are deposited within 4 hrs after decoupling i.e. 62.33% in CSR-3, 61.67% in CSR-6, 62.50% in CSR-16 and 63.28% in CSR-17. Almost 90% of eggs were laid in the first 12 hrs (93.13% in CSR-3, 90.81% in CSR-6, 89.71% in CSR-16 and 93.17% eggs in CSR-17) after decoupling. Almost 8 to 10% of more eggs were laid when oviposition period was prolonged upto 48 hrs instead of 24 hrs. The present investigation showed that a significant increase of 45 (8.34%), 50 (9.98%), 41 (8.26%) and 45 (8.30%) (P < 0.01) numbers of more eggs were found between 24 to 48 hrs (T6 to T9) in CSR-3, CSR-6, CSR-16 and CSR-17 races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present investigation is very important for sericulture industry while producing layings to keep for different hibernation schedule especially for autumn/late autumn crop, female may be allowed for prolonged oviposition to get 8 -10% more eggs and farmer may fetch 8 -10 kg. more cocoon yield/l00 dfls with more income.

Effect of Folic Acid on Economic Traits and the Change of Some Metabolic Substance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Nirwani, R.B.;Kaliwal, B.B.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8-123
    • /
    • 1996
  • 엽산을 뽕잎에 각 농도별(100, 200 및 300$\mu$g/ml)로 처리하여 4령 또는 5령 누에에 첨식시킨 결과 전견중, 견층중, 산란성 및 부화율과 같은 실용형질이 향상되었으며 대조구에 비해 경과일수도 통계적인 유의성 있게 단축되었다. 지방체의 glycogen과 단백질 함량의 증가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체액중 trehalose는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되었으며, 지방체와 체액중의 단백질 함량은 100$\mu$g/ml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300$\mu$g/ml구에서는 체액중 단백질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 PDF

병아리의 발생시기 및 육성계절이 열 스트레스 반응과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tching and Brooding Season of Chicks on Their Heat Stress Response and Production Performances)

  • 조은정;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77-86
    • /
    • 2019
  • 본 연구는 겨울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과 여름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 간의 열 스트레스 반응 정도와 생산능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시계로는 겨울철에 발생된 한국토종종계 초생추 1,156수와 여름철에 발생된 초생추 934수로 총 2,090수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반응정도와 생산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텔로미어의 함량과 heat shock proteins(HSPs)의 유전자 발현율을 분석하고, 생존율, 산란율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HSP-70, $HSP-90{\alpha}$$HSP-90{\beta}$ 유전자 발현율은 겨울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이 여름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높은 발현값을 나타내었다. 텔로미어 함량은 겨울철과 여름철에 발생한 닭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존율에서는 여름철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이 겨울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산란율 및 난중 또한 여름철 발생 계군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초산일령은 겨울철 발생 계군이 여름철 발생 계군에 비해 빨랐다. 체중에 있어서 24주까지는 겨울철 발생 계군이 여름철 발생 계군에 비해 높았으나, 28주 이후부터 발생 계군 간 역전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여름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이 겨울철에 발생하여 육성된 닭들에 비해 열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생산성이 우수함을 보였다. 이는 발생 및 육성 초기에 고온에 노출된 닭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열적응성을 습득한 결과로 사료된다.

Thymus vulgaris 분말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능력, 난품질 및 난황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Thymus vulgaris Powder on the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Egg Yolk Fatty Acid Composition in Laying Hens)

  • 박성복;이경진;이왕휴;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7-161
    • /
    • 2012
  • 본 시험은 CP=16.0%이고, ME=2,800 kcal/kg인 산란계 사료에 0, 0.25, 0.5, 1.0와 2.0%의 백리향(Thymus vulgaris) 가루를 첨가하며, 산란계에 8주간 급이할 경우, 변화하는 생산 능력, 계란의 품질 및 난황 내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35 주령 Brown Nick 산란계 288수를 이용하였으며, 총 4 처리구에 처리구당 4반복으로 반복당 18수씩의 산란계를 배치하며 실시하였다. 산란계의 생산 능력 중 산란율과 난중은 통계적인 유의차가 조사되지는 않았으나, TVP 2.0% 처리구에서 수치적으로 높았으며, 일일 산란량은 산란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료 섭취량은 TVP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조사되지 않았다. 사료 내 TVP첨가 수준에 따른 계란의 품질 변화 중, 난백고, 호우유닛과 난황색도에서는 첨가수준을 높게 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TVP를 2.0% 사료 내 첨가한다면 7.93, 86.79와 7.2의 난백고, 호우유닛과 난황색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난황 내 지방산 조성 중 palmitic acid와 arachidonic acid는 TVP 함량이 가장 높은 TVP 2.0%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linolenic acid의 조성은 증가하여, TVP 2.0%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불포화지방산 조성과 더불어 유의적으로 높은 UFA/SFA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실험에서 TVP의 사료 내 첨가는 계란의 품질과 난황의 불포화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TVP를 2.0%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이 한다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of excreta bacterial community after forced molting in aged laying hens

  • Han, Gi Ppeum;Lee, Kyu-Chan;Kang, Hwan Ku;Oh, Han Na;Sul, Woo Jun;Kil, Dong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1호
    • /
    • pp.1715-1724
    • /
    • 2019
  • Objective: As laying hens become aged,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are generally impaired. One of the practical methods to rejuvenate production and egg quality of aged laying hens with decreasing productivity is a forced molting. However, the changes in intestinal microbiota after forced molting of aged hens are not clearly know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excreta bacterial communities after forced molting of aged laying hens. Methods: A total of one hundred 66-wk-old Hy-Line Brown laying hens were induced to molt by a 2-d water removal and an 11-d fasting until egg production completely ceased. The excreta samples of 16 hens with similar body weight were collect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molting. Excreta bacterial communities were analyzed by high-throughput sequencing of bacterial 16S rRNA genes. Results: Bacteroidetes,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were the three major bacterial phyla in pre-molting and immediate post-molting hens, accounting for more than 98.0%. Lactobacillus genus had relatively high abundance in both group, but decreased by molting (62.3% in premolting and 24.9% in post-molting hens). Moreover,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nterococcus cecorum and Escherichia coli were more abundant in immediate post-molting hens than in pre-molting hens. Forced molting influenced the alpha diversity, with higher Chao1 (p = 0.012), phylogenetic diversity whole tree (p = 0.014), observed operational taxonomic unit indices (p = 0.006), and Simpson indices (p<0.001), which indicated that forced molting increased excreta bacterial richness of aged laying hens. Conclusion: This study improves the current knowledge of bacterial community alterations in the excreta by forced molting in aged laying hens, which can provide increasing opportunity to develop novel dietary and management skills for improving the gastrointestinal health of aged laying hens after molting.

Bacterial 및 Fungal Phytase의 단일 및 혼합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or Mixed Supplementation of Bacterial Phytase and Fungal Phytase on Laying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 강환구;박수영;유동조;김지혁;강근호;나재천;김동욱;서옥석;이상진;이원준;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7-142
    • /
    • 2008
  • 본 시험에서는 bacteria 또는 fungi로부터 유래된 phytase를 단일 및 혼합으로 45주령 Hy-Line Brown 산란계 450수에 12주 동안 급여하였다. 공시계는 시험개시 전 일주일 동안 산란조사를 하여 처리간에 비슷한 산란율이 되도록 하였다. 대조구(Control)사료는 nonphytate phosphorus 함량이 0.3% 되게 하였으며, 처리구는 bacterial phytase(BP)와 fungal phytase (FP) 2종류를 각각 T1(300 DPU, 0 DPU), T2(300 DPU, 300 DPU), T3(300 DPU, 3000 DPU), T4(0 DPU, 3000 DPU)로 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들의 nonphytate phosphorus 함량은 Control의 60%로 하였다. 사료와 물은 전 기간 자유채식토록 하였고, 점등은 17L7D로 하였다. 산란율은 T4가 Control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두 종류 phytase의 동시 급여 효과는 없었다. 평균 난중과 1일 산란량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후자의 경우 시험 후반기에 T4에서 Control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사료 섭취량, 사료요구율, 계란의 품질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건물, 조단백질 및 지방 소화율은 처리구간 유사하였으며, 무기물, 칼슘 및 인 이용율은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본 실험 결과에서 산란계 사료에 BP 300 DPU 수준일 때 NPP 첨가량을 NRC (1994) 권장량 대비 약 40%가 저감되었으며, 인 이용율 역시 개선되었으나 FP와의 혼합 급여로 인한 개선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남은 음식물 사료와 생균제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Waste feed and Probiotics Supplement on Productivity in Layer Chicks)

  • 양철주;;박일철;김광현;고흥범;이봉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102-112
    • /
    • 2003
  • 본 실험은 산란계에서 남은 음식물사료에 생균제를 첨가할 경우 난의 생산율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양시험은 일반 사료만으로 구성된 대조구와 Food 30% + Protein 30% + Probiotics (0%, 0.5%, 1.0% 및 1.5%)로 구성된 첨가구로 총 5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6수로 120수를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산란률은 생균제 1.5%첨가구가 평균 산란율 9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대조구와 생균제 첨가구들 사이의 난중은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P>0.05). 산란량은 생균제 0% 첨가구가 60.40으로 가장 높은 산란량을 보여주었다 (P<0.05). 생균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백색도 (L), 적색도 (a), 황색도 (b) 대조구에 비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적색도(a)에서는 생균제 0%, 0.5%, 1.0% 및 1.5% 첨가구가 각각 5.35, 6.25, 5.23 및 4.75로 대조구 -0.17에 비해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P<0.05). 하우 유니트(HU)는 생균제1.5% 첨가구의 수치가 63.41로 가장 높았으며 생균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하우 유니트(HU)는 증가하였다 (P<0.05).

  • PDF

산란계 육성기 계란급이가 초기 산란 특징에 미치는 영향

  • 김상호;장병귀;최철환;서옥석;이상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7-98
    • /
    • 2003
  • 육성기 제한급이가 육성기 발육특성 및 기초 산란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갈색 산란계 1,080수를 공시하여 2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C는 자유채식을 시켰으며, T1은 6∼12주령까지 대조구 70%, 18주령까지 75% 수준으로 급여하였고, T2는 12∼18주령까지 T1과 동일하게 급여하였다. 18주령 체중은 T1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C와 T2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20주령 체중은 처리간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18주령까지 사료섭취량은 T1이 가장 적었으며 C가 가장 많았다. 초산일령은 C가 가장 빨랐지만 90% 산란일정은 T1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란과 쌍란 발생률은 C가 가장 많았고 T1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육성 초기 사료 제한급이는 육성기 사료섭취량과 산란초기 연란 및 쌍란 발생률을 감소시키며 급격한 산란증가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