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Fatty Acid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초

고대 토양의 과학적 분석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the Scientific Analysis of Ancient Soil)

  • 서민석;김민희;정용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309-326
    • /
    • 2004
  • 유적지의 발굴 현장에서 고대인의 삶과 동일시대에 존재했던 토양을 이용하여 유기 화학적 방법을 통한 잔존 지방산 분석과 현미경 관찰로 기생충 충란과 화분의 분석, 그리고 고대 미생물의 유전자 분석을 수행 할 수 있다. 지방산 분석은 인간과 동물의 부산물을 규명할 수 있어 고대 화장실 문화의 복원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유기 화학적으로 TLC와 GC-MS 방법을 이용하여 고대 식생활과 영양원을 확인 할 수 있다. 고대 토양의 현미경 관찰로는 기생충의 충란과 화분을 확인 할 수 있는데, 기생충의 확인을 통해 과거 인류의 질병을 유추 할 수 있으며, 화분은 고대 인류 거주지 주변의 환경을 간접적으로 확인 및 복원이 가능하다. 또한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유적지 토양에 존재하는 고대 생명체의 유전적 다양성과 변화 양상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멸종된 생명체의 유전자 보존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유기화학, 토양학, 미생물학, 분자 생물학, 유전학과 같은 자연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고고학적 발굴지의 토양을 분석한다면 기존에 해석하기 힘들었거나 간과하였던 부분을 재해석과 이해를 돕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생물 종 다양성과 고대 인류의 기원과 생활문화를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리라 생각된다.

달걀 노른자에서 분리한 포스파티딜콜린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카놀라유의 가열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from Egg Yolk on Thermal Oxidation of Canola Oil)

  • 김강현;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11-620
    • /
    • 2008
  • 달걀 노른자에 함유된 인지질 중 PC와 PE를 추출, 분리하고 이를 토코페롤을 제거한 TSCO에 0, 200, 500, 2,000 ppm의 농도로 단독으로, 또는 1,000 ppm씩 혼합하여 첨가한 후 $180^{\circ}C$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함유된 인지질의 함량변화와 TSCO의 갈색화 정도를 살펴보고, TSCO의 가열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지방산 조성, 공액이중산값, 아니시딘값으로 평가하였다. TSCO에 첨가된 인지질은 가열 시작 후 2-3시간 내에 매우 빠르게 소실되었고, 가열 중 PE의 분해속도가 PC에 비해 높았다. PC와 PE가함께 첨가된 TSCO를 가열할때 PE는 PC의 분해를 억제하였다. TSCO는 가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화가 증가하였고, PC와 PE는 갈색화를 촉진하였으며 PE가 PC보다 큰 영향을 주었다. 가열 중 TSCO의 P/L, P/Ln, 공액이중산값, 아니시딘값은 증가하였으며, PC의 첨가는 이들 값을 낮추어 가열 카놀라유의 산화방지제 역할을 하였으나 PE는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PC와 PE는 TSCO의 가열산화 억제에 있어서 antagonism이 관찰되었다.

Effects of Rearing Systems on Performance, Egg Characteristics and Immune Response in Two Layer Hen Genotype

  • Kucukyilmaz, Kamil;Bozkurt, Mehmet;Herken, Emine Nur;Cinar, Mustafa;Catli, Abdullah Ugur;Bintas, Erol;Coven, Fethiy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559-568
    • /
    • 2012
  • White (Lohmann LSL) and Brown (ATAK-S) laying hens, were reared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cage rearing systems, and the effects of the rearing system on performance parameters, egg production, egg characteristics, and immune response were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a total of 832 laying hens of two commercial hybrids, i.e., 416 white (Lohmann LSL) and 416 Brown (ATAK-S) layers, were used. The experiment lasted between 23 and 70 wk of age. In this study, the white layers yielded more eggs as compared to the brown layers in both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tion systems. Egg weight exhibited a similar pattern to that of laying performance. However, the total hen-housed egg number for the white birds in the organic system was fewer than that of white birds in the conventional cage facility; conversely, a contradictory tendency was observed for the brown birds. Livability of the white layers in the organic system was remarkably lower (14%) than that of the brown line, whereas the white line survived better (3.42%) than their brown counterparts in conventional cages. The feed conversion ratio of the white hens was markedly inferior in the organic system as compared to that of the white hens in the conventional system, whereas relatively lower deterioration was reported in brown layers when reared in an organic system. The organic production system increased egg albumen height and the Haugh unit in eggs of the brown layers. The yolk color score of organic eggs was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eggs for both brown and white hens. The egg yolk ratio of eggs from white layers was found to be higher in organic eggs as compared to those obtained in the conventional system. All organic eggs had heavier shells than those produced in the conventional system. Eggs from brown layers had more protein content than eggs from white layers. Neither housing systems nor genotype influenced egg yolk cholesterol concentration. When compared to conventional eggs, n-3 fatty acid content was lower in organic eggs, and the n-6:n-3 ratio was higher in organic eggs. In conclusion, two hen genotypes showed different responses in terms of performance and egg quality to two different rearing systems. A commercial white strain produced more eggs with higher egg quality as compared to a native brown strain. The brown strain was found to have adapted well to organic production conditions when survival and total egg number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花紛荷(pollen load)의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nents of Pollen Load)

  • 김정헌;이규한;김을상;박성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66-572
    • /
    • 1992
  • 자연식물에서 양봉의 부산물로 생산되고 있는 화분하의 식물영양학적인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6년 6월부터 9월사이에 경기도 안성지역에서 꿀벌들에 의해 수집된 혼합화분하 및 화분하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벌꿀과 7:3의 비율로 섞어 만든 화분꿀에 대하여 일반성분, 유리당, 무기질, 지방산, 아미노산조성과 탄수화물 및 단백질의 인공소화율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분하의 단백질은 27.0%, 지방 5.8%, 섬유질 11.1%이었다. 유리당조성은 과당이 26.6%, 포도당13.1%, 서당 0.2%, 맥아당 1.3%, F/G비는 2.0이었다. 무기질조성은 칼륨이 661.2mg/100g으로 가장 많았고 인, 마그네슘, 칼슘, 철의 순이며 구리가 가장 낮았고 특히 철은 16.7mg.100g이었다. 지방산 조성은 $C_{18:2}$가 28.6%, $C_{18:3}$21.7%, $C_{16:0}$21.2%, $C_{18:1}$이 17.4로 대부분이었으며 SFA/MUFA/PUFA비는 0.61:0.37:1.00, PUFA/SFA비는 1.63이었다. 아미노산조성은 프롤린이 가장 많았고 Glu>Leu>Asp>Val>Phe순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은 39.2%이었다. 단백질의 화학가는 E/T비가 2.03, 단백가는 65.2(Lys), A/E화학가중 난가(egg score)는 61.7(Lys), 아미노산가는 51.7(Lys)이었다. 신선한 화분하의 탄수화물 인공소화율은 1시간후 66.7%, 2시간후 67.0%이었고, 단백질 인공소화율은 각각 67.3%, 75.5%이었다. 신선한 화분꿀의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인공소화율도 신선한 화분하의 인공소화율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 PDF

유기산제와 효모배양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Organic Acid Mixture and Yeast Culture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 류경선;박재홍;박강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6
    • /
    • 2002
  • 유기산제와 효모 배양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주령 이사브라운 갈색계를 이용하여 16주간 사양실험을 시행하였다. 처리구는 무침가구인 대조구, 유기산제와 효모 배양물을 각각 0.1, 0.2% 수준으로 하였고 처리구당 5반복으로 반복당 18수씩 총 450수를 체중이 비슷하게 하여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산란율과 난중, 사료섭취 량은 4주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계란의 난각 강도. 난각 두게, Haugh unit, 난황색을 처리구별로 측정하였다. 난황의 지방산 조성은 실험 개시 후 8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효모 배양물 0.1%급여시 31∼34주령의 산란율은 97.1%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23∼26주령에서 1일 산란량은 유기산제 0.2% 급여구가 증가하였고(P<0.05), 31∼34주령에서는 효모 배양물 0.1%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사료섭취량은 유기산제와 효모 배양물이 대조구와는 타이가 없었지만 27∼30주령에서 효모 배양물 0.1% 급여구는 유기산제 0.1% 급여구 보다 증가하였다(P<0.05). 난각 강도는 34주령에서 유기산제 0.1% 급여구가 효모배양물 0.1% 급여구에 비해서 증가하였으나(P<0.05), 대조구와 차이는 없었다. 34주령에 측정한 Haugh unit은 유기산제 급여구가 대조구보단 현저하게 높았으며(P<0.05), 난황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기산제 0.1%급여구는 난황내 C20:4의 함량을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시켰고(27주령)(P<0.05), 유기산제 0.1%, 0.2%급여구는 Cl6:0의 함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34주령)(P<0.05).

마늘발효액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말기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ermented Garlic Solution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in Finishing Period of Laying Hens)

  • 임천익;강창원;천현수;최호성;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01-207
    • /
    • 2018
  • 본 연구는 산란 후기사료에 마늘발효액을 수준별로 첨가 급여시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79주령 로만브라운 산란계를 4개 처리구 6반복으로 반복 당 18수씩 총 432수를 배치하였고, 각 처리구에 마늘발효액을 0%, 0.05%, 0.10% 및 0.20%로 4주간 급여하였다. 산란 수와 난중은 매일 조사하였고, 계란품질, 난황지방산 및 혈액성상은 사양실험 종료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산란율과 사료요구율은 마늘발효액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수치적으로 개선되었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고, 난각강도와 두께도 마늘발효액 첨가수준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다. 계란의 난백 높이와 호우유닛은 마늘발효액 첨가수준에 따라 일관적으로 증가하여 0.20%급여구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P<0.05). 난황지방산은 마늘발효액의 0.10%와 0.20% 첨가구에서 포화지방산은 감소되었고, 단일불포화지방산과 전체 불포화지방산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혈중 알부민, AST 및 ALT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은 0.20%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매우 감소하였다(P<0.05). 또한 HDL콜레스테롤은 마늘발효액 0.10%와 0.20%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세포성 면역능 지표인 IL-2 mRNA와 CD4+CD8+의 비율도 0.10%와 0.20% 급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본 실험 결과, 산란 말기 사료에 마늘발효액 0.20% 수준의 급여로 대조구에 비하여 계란품질과 건강 및 혈중 면역인자는 개선되었다.

성게껍질이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 Urchin Shell on Egg Quality)

  • 김경은;정용진;김옥미;박난영;이광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3-37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성게껍질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대조구(A), 3%성게껍질 분말첨가 사료(B)와 5%성게껍질 분말첨가 사료(C)로 구분하여 생산된 계란의 성분을 비교.조사하였다. 일반성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칼슘과 철분의 함량은 (B), (C)가 높게 나타났으며 인과 마그네슘은 비슷하였다.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 (B), (C)는 tryptophan을 제외한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A)보다 높았으며 taurine은 모든 실험구에서 검출되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은 66.91%인 (A)보다 (B), (C)는 각각 68.22, 70.06%로 높았으며, 전구간에서 EPA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DHA조성은 0.56, 0.68, 0.89%로 성게껍질 식이 계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성게껍질 식이 산란계의 계란과 일반사료 식이 계란의 외관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칼슘강화 계란뿐 아니라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기능성 계란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꾸지뽕 열매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능력, 혈액 성상,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Fruit on the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IgG in Laying Hens)

  • 임천익;최홍환;최승민;이동길;강민수;이봄미;김형주;신민경;이아라;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20
    • /
    • 2016
  • 이 연구는 꾸지뽕 열매(Cudrania tricuspidata fruit; CTF)의 산란계에 급여가 생산 능력, 계란의 품질, 지방산, 혈중 콜레스테롤,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48주령 산란계 닉브라운 288수를 4개 처리구 4반복 반복 당 18수씩 개체별 케이지에 배치하였으며, 처리구는 건조된 꾸지뽕 열매를 0, 0.25, 0.50, 1.00%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기초사료의 ME와 CP는 2,800 kcal/kg, 16.0% 수준으로 하였으며, 산란율, 1일 산란량은 CTF 1% 급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사료섭취량은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사료요구율은 CTF 1.0% 급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현저하게 개선되어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P<0.05). 알부민의 높이, 호유닛과 난각강도는 CTF 첨가로 인하여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난황색도는 CTF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P<0.05). 난황의 지방산은 일관성은 없었지만, n6/n3 비율이 CTF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혈중 콜레스테롤과 TG는 CTF 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매우 낮았으며(P<0.05), 면역글로불린은 CTF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 실험 결과 산란계 사료에 CTF 1% 첨가는 생산능력과 계란 품질을 개선하였지만, 혈중 콜레스테롤, TG, IgG는 CTF 0.25% 수준으로 충분하였다.

Nutritional and Hormonal Induction of Fatty Liver Syndrome and Effects of Dietary Lipotropic Factors in Egg-type Male Chicks

  • Choi, Y.I.;Ahn, H.J.;Lee, B.K.;Oh, S.T.;An, B.K.;Kang, C.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8호
    • /
    • pp.1145-1152
    • /
    • 201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male chick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rmones and nutrients on the development of fatty liver syndrome (FLS) as well as the effects of dietary lipotropic factors on hepatic fat accumulation and lipogenic enzyme gene expression. A total of two-hundred sixteen 4-wk-old Hy-Line male chick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ed an experimental diet (T1, low-energy diet with low levels of lipotropic factors; T2, high-energy diet with low levels of lipotropic factors; T3 and T5, low-energy diet with high levels of lipotropic factors; T4 and T6, high-energy diet with high levels of lipotropic factors) for six weeks. The chicks in T5 and T6 groups were treated with intramuscular injections of estradiol benzoate for three days prior to biopsy and clinical analysis of FLS. Chicks treated with estrogen had significantly greater liver weights than untreated chicks. The abdominal fat contents were increased in chicks consuming high-energy diets as compared to those consuming low-energy diets. Treatment with estroge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serum cholesterol, triacylglycerol and phospholipid (p<0.05). The hepatic triacylglycerol levels were tenfold higher in the estrogen treated chicks than in the untreated chic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londialdehyde levels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Estrogen treatment dramatically increased the levels of fatty acid synthetase, acetyl-CoA carboxylase and ApoB mRN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eatment with exogenous estrogen in growing male chicks induced hepatic fat accumulation, which might be partially due to increased lipogenic enzyme gene expression.

A Themotropic Behavior of Egg PC Liposome Containing the Very Long Chain Fatty Acyl Component,${\alpha},{\omega}$-13,16-Dimethyloctacosanedioate Dimethyl Ester(DME C30) Isolated from The Thermophilic Anaerobic Bacteria, Thermoanaerobacter ethanolicus

  • 김현명;강세병;정승호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9호
    • /
    • pp.979-983
    • /
    • 2001
  • Thermoanaerobacter ethanolicus is a strictly anaerobic and thermophilic bacterium whose optimum temperature ranges over $65-68^{\circ}C.$ T. ethanolicus was known to contain a bipolar very long chain fatty acyl component such as $\alpha$, $\omega-1316-dimethyloctacosanedioate$, as one of the major membrane components. However, exact physiological role of this unusual component in the membrane remains unknown. Such a very long chain fatty acyl component, $\alpha$, ${\omega}-1316-dimethyloctacosanedioate$, dimethyl ester (DME C30), was isolated, and purified from the membrane of T. ethanolicus. As a function of added concentrations of the $\alpha$, $\omega-1316-dimethyloctacosanedioate$, dimethyl ester (DME C30) or cholesterol into the standard liposomes, the acyl chain ordering effect was investigated by the steady-state anisotropy with 1,6-diphenyl-1,3,5-hexatriene (DPH) as a fluorescent probe. Acyl chain order parameter (S) of vesicles containing DME C30 is higher comparing with phosphatidylcholine (PC) only vesicles. This result was discussed thermodynamically with the aid of the simulated anneal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all the possible conformational changes of DME C30 or cholesterol, we showed that DME C30 is very flexible and its conformation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comparing with cholesterol, which is rigid and restricted at overall temperature. We propose that the conformational change of DME C30, not the configurational change, may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he membrane fluidity against the changes of external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