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luents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31초

하수방류수의 대장균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질인자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Water Quality Parameters on Total Coliform Concentrations in Sewage Effluents)

  • 백영석;손진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6-171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paper were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of total coliform in wastewater effluents and the effect of water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s in it. The most correlated parameter with total coliform was COD. It means that the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t effects on total coliform concentration. And we developed predictive model for the total coliform concentration. The estimated parameters for model were COD, temperature, nitrite, chloride, Mn and regression model equation was determined; log (Total Coli.) = 1.861+0.065[COD]+0.038[temperature]-0.0004[$Cl^-$]+3.697[Mn]-0.32 [$NO_2-N$] The developed model provided very strong correlation ($R^2:0.82$) between total coliform and regression equation. The parameters having high sensitivity were COD and temperature. So the study indicated that if the temperature and COD of wastewater effluent were known, we would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otal coliform and decide the most effective usage of chlorine.

Laccase Activity and Azo Dye Decolorization Potential of Podoscypha elegans

  • Pramanik, Satadru;Chaudhuri, Sujata
    • Mycobiology
    • /
    • 제46권1호
    • /
    • pp.79-83
    • /
    • 2018
  • Azo dyes containing effluents from different industries pose threats to the environment. Though there are physico-chemical methods to treat such effluents, bioremediation is considered to be the best eco-compatible technique. In this communication, we discuss the decolorization potentiality of five azo dyes by Podoscypha elegans (G. Mey.) Pat., a macro-fungus, found growing on the leaf-litter layer of Bethuadahari Wildlife Sanctuary in West Bengal, India. The fungus exhibited high laccase and very low manganese peroxidase activities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Decolorization of five high-molecular weight azo dyes, viz., Orange G, Congo Red, Direct Blue 15, Rose Bengal and Direct Yellow 27 by the fungus was found to be positive in all cases. Maximum and minimum mean decolorization percentages were recorded in Rose Bengal (70.41%) and Direct Blue 15 (24.8%), respectively. This is the first record of lignolytic study and dye decolorization by P. elegans.

한국원자력연구원 새빛연료과학동 굴뚝방출 방사능 평가 (Evaluation of Radioactive Stack Air Effluents from the Advanced Fuel Science Building at KAERI)

  • 장시영;김봉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121-126
    • /
    • 2008
  • 한국원자력연구원 새빛연료과학동의 굴뚝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배기의 방사능을 측정, 분석 및 평가하였다. 동 시설에서는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의 핵연료를 생산하는 외에 첨단 핵연료를 연구하고 있으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설외부로 방출되는 굴뚝배기 방사능 감시기를 연속 가동하고 있다. 2008년 1월 $\sim$ 3월동안 굴뚝배기 방사능 감시기의 밀리포어 집진+CY8필터에 포집된 방사능과 핵종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핵종을 분석한 결과, 천연방사성 핵종인 라돈($^{222}Rn$)과 토론($^{220}Rn$)의 단 반감기의 딸핵종들 및 40K이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72시간 이내에 계측기의 최소검출방사능(MDA) 이하로 붕괴하였으며 우라늄 핵종은 검출되지않았다. 이로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새빛연료과학동으로부터 우라늄 핵종은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물벼룩에 의한 전선공장폐수의 급성독성가 (Acute Toxicity on Daphnia Magna for Electric Cable Factory Wastewater)

  • 채수권;김남천;김건흥
    • 물과 미래
    • /
    • 제25권2호
    • /
    • pp.61-66
    • /
    • 1992
  • 본 실험은 3개의 F/M 비 0.36, 0.2, 0.1 mg COD/daymg MLSS로 실험실 규모의 활성슬러지법에 의해 전선공장폐수를 처리사고, 유입수와 유출수의 Daphnia magna에 대한 급성독성을 연구하였다. Daphnia Magna를 이용하여 실험실 bioassay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입수의 24hr, 48hr-LC50은 각각 17.33%, 11.73%이었다. 2) F/M 비 0.36, 0.20, 0.10 mg COD/daymg MLSS로 운반된 유출수의 24hr-LC50은 각각 26.69%, 32.70%, 38.36%ldau, 48hr-LC50은 각각 14.58%, 27.88%, 31.58% 이었다. 3) 활성슬러지 시스템의 유출수와 그 유출수의 여과액에 대한 48hr-LC50의 비는 F/Mql 변화에 따라 각각 1.58, 1.83, 1.47로, 여과함으로써 독성이 감소하였다. 4) 활성슬러지 시스템의 유출수를 다시 활성\ulcorner으로 흡착한 처리수는 Daphnia magna에 거의 독성을 주지 않았다.

  • PDF

원자력발전소의 온배수 배출량을 고려한 어업생산감소율 추정 모델 (A Quantitative Model for Estimating Fishery Production Damages as a Result of Thermal Effluents from Nuclear Power Plants)

  • 장창익;이성일;이종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94-502
    • /
    • 2009
  • A quantitative model was developed in order to estimate fishery production damage due to anthropogenically induced environmental changes. The model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quation, $Y_D=\frac{{\phi}_D}{{\phi}_G}[Y_0{\cdot}(t_p-t_0)-\frac{Y_0}{{\phi}_G}(1-e^{-{\phi}_G(t_p-t_0)})]$, where, $Y_D$ is annual amount of fishery production by nuclear power plant. ${\varphi}$ D and ${\varphi}$ G are instantaneous decreasing coefficient of fishery production by nuclear power plant and instantaneous decreasing coefficient of gross fishery production, respectively. $Y_0$ is annual mean fishery production without damages. $t_p$ is the present time, and $t_0$ is the starting time of damages. The model was applied to fishing grounds near a nuclear power plant on the east coast of Korea. Since fishery production damages have become bigger with increasing emission of thermal effluents from generators activities in the power plant, this factor has also been considered as, $\delta_{D_i}=\delta_D\({\sum}\limits_{i=0}^{n}\;W_i/W_T\)$, where, $\delta_{Di}$ is the cumulative damage rate in fishery production from generators, $\delta_D$ is the total cumulative damage rate in fishery production, $W_i$ is the emission amount of thermal effluents by generator i, and n is the number of generators in the nuclear power plant. This model can be used to conduct initial estimates of fishery production damages, before more detailed assessments are undertaken.

마산만 해양방류 혼합구역에서의 하수농도 분포 변화 (Concentration Changes of Wastewater Effluent Discharge in the Mixing Bone of Masan Sea Outfall)

  • 강시환;유승협;김상익;오병철;박광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24
    • /
    • 2001
  • Huang 등[1996]이 제안한 해양방류 혼합구역에 대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마산만 해양방류 해역의 혼합구역에서 주변해수의 흐름과 밀도성층의 변화에 따른 혼합 희석에 의한 수중방류하수의 농도변화분포를 산정하였다. 방류해역에서 5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3개월 동안 연속 관측된 조류의 매 시간별 유향과 유속변화에 따른 혼합구역에서의 하수농도분포를 계산하고, 마산만 해수유동에 있어 가장 큰 요소인 조류의 변화를 고려하여 15일 간격으로 방류하수의 평균된 농도분포를 구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조류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강했던 기간동안에는 혼합구역에서의 평균농도는 매우 낮았고, 유속이 약했던 기간에는 낮은 희석률로 인해 평균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측된 조류의 주 방향으로 인해 혼합구역이 방류해역의 서측 해안까지 확장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방류해역에서 조사된 퇴적물의 오염도 분포결과와도 잘 일치되었다.

  • PDF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방사성 물질의 대기 확산 평가 (A Study on the Diffusion of Gaseous Radioactive Effluents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

  • 나만균;이경진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251-257
    • /
    • 1998
  • 국내 원전에 적용하기 위한 기체 방사성 물질 확산 및 피폭 평가 코드를 개발하였다. 정상 운전에 의한 기체 방사성 물질 확산 및 피폭 평가에는 직선 궤도 가우시안 플륨 모델을 사용하는 XOQDOQ 코드가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 코드의 단점인 발전소 주변 지역에서의 바람 방향의 영향, 산악 지형에 대한 모델, 습식 침적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현실적인 유효 고도 보정 및 산악 침투 모델을 통해서 산악 지형에 대한 고려를 하였고, 바람 발생 확률 빈도를 수정하여 직선 궤도 모델을 보완하였다. 개발된 코드는 영광원전의 주민피폭선량평가를 위해 채택되었으며, 산악이 많은 우리 나라 다른 발전소에 적용하기 위해 산악지형 입력변경을 통하여 적절히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